•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금강형 소나무림에 있어서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s)

  • 주성현;정성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9권
    • /
    • pp.31-37
    • /
    • 2001
  • Uyeki(1928) classified Pinus densiflora into six ecotypes(Northeastem type, Middle-southern flat type, middle-southern upland type, Wibong type, Ankang type, and Geumgang type) based on the pine tree type. The bark color of Geumgang type was ash-brown color on the lower parts of stem and yellowed color on the upper parts of stem.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forests to obtain basic data for preservation of exellent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oil texture of th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s were showed nearly as sandy loam, that is, sand, silt and clay were consisted of 72%, 15% and 13%, respectively. Soil acidity(pH 4.6) was lower than Korea average forest soil acidity(pH 5.2). The averag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ate was 11.7ppm at Sokwang-ri, 26.8ppm at Mt. Eungbong, 24.2ppm at Mt. Kumma. It was the lowest at Uljin(4.6ppm). The contents of carbon was 6.2% at Mt. Chungok, 6.1% at Mt. Eungbong. This value was more than average of Korea forest soil.

  • PDF

소나무와 금강송의 수종식별을 위한 화학계량학적 접근 - 근적외선 분광법과 다변량분석을 이용한 수종 분류 - (Chemometrics Approach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 Species Classification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in combination with Multivariate Analysis -)

  • 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01-713
    • /
    • 2015
  • 소나무와 금강송의 수종 분류를 위해 근적외선(NIR) 분광법과 주성분분석(PCA) 및 부분최소자승법 판별분석(PLS-DA)을 결합하여 수종 분류 모델을 설계하였다. 측정된 모든 NI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PCA를 실시한 결과 소나무와 금강송의 수종 분류는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2차 미분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시험편의 단면과 심 변재 구분에 따른 수종 분류에서는 변재부에서 수종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특히 방사단면의 변재에서는 명확하게 수종이 분류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PLS-DA 예측 모델을 통해 명확한 수종 분류가 가능하였다. 2차 미분으로 전처리된 스펙트럼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좋은 분류 결과 얻을 수 있었다. 2차 미분 스펙트럼을 이용한 예측 모델은 100%의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예측 모델의 $R_p{^2}$ 값은 0.86, RMSEP는 0.38로 나타났다. 전처리하지 않은 스펙트럼과 2차 미분 스펙트럼을 이용한 예측 모델의 신뢰도는 유사하였다. 근적외선 분광법과 부분최소자승법 판별분석을 결합한 수종 분류 모델은 소나무와 금강송의 분류에 적합하였다.

국내산 주요 수종의 가구 및 목공예재 활용을 위한 특성 평가 (I) - 금강송과 소나무를 중심으로 - (Domestic Use of Wood for Furniture and Woodcraft Materials Characteristics Evaluation (I) - Focusing on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

  • 박병호;조원희;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44
    • /
    • 201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sensible characterist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 to estimate value of the craft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The sensual characteristics of wood are evaluated by wood figure, wood grain, odor,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by weathering, abrasion, surface roughness and hardness. The wood figure of these species were observed at flat grain in the radial section and edge grain in the tangential section. Also, burl's figure was observed in Burl of Pinus densiflora woo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Camphene, Thymyl ether, ${\alpha}$-Longipinene, etc. Pinus densiflora wood had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alpha}$-Longipinene, (+)-Cedrol, etc. The moisture soption, abrasion, hardness and roughness were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species.

  • PDF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 (Biomass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by Planting Density and Its Allocation Chracteristics)

  • 이돈구;권기철;김영환
    • 임산에너지
    • /
    • 제18권1호
    • /
    • pp.6-10
    • /
    • 1999
  •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서울대학교 칠보연습림내 12년생 강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재밀도가 1.0m×1.0m, 1.8m×1.8m, 3.0m×3.0m인 강송 조림지에서 각각 6본, 5본, 4본씩 표본목을 선정하여 부위별로 생중량을 측정하고 식재밀도에 따른 임분의 biomass 현존량 및 배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ha당 biomass 현존량은 밀도 순으로 나타났다. (2)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가지와 침엽이 차지하는 biomass 현존량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3) 당년생 가지와 줄기의 경우 밀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침엽과 전년생 가지의 경우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4)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최대광합성부위가 위쪽에 나타났다.

  • PDF

울진 금강송재의 재질: 수지구 및 방사조직의 출현형태 (Property of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 and Ray)

  • 김동우;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78-87
    • /
    • 2014
  • 울진산 금강송재의 재질발현 수령의 판단기준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울진금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대표목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울진금강송의 기건밀도는 소나무재보다 약 20% 이상 높았다. 또한 심재율은 70% 이상이었다. 단위면적($1mm^2$)당 수직수지구의 분포수는 0.3개로서 울진금강송이 소나무보다 약 40% 높았다. 수직수지구의 평균 직경은 소나무 $67.8{\mu}m$, 울진금강송 $67.3{\sim}69.9{\mu}m$로서 수종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경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평수지구의 분포수는 울진금강송-1이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 보다 약 55%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의 수지구 분포수는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울진금강송-1은 연륜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방사조직 분포수는 수종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일 수종 내 조재와 만재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소나무와 울진금강송 모두 방사조직의 분포수가 감소하였다. 방사조직의 세포고는 소나무가 비교적 높았으며, 조재와 만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울진금강송의 재질발현 기준 수령은 약 150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림의 송이발생지와 능이발생지의 토양환경 비교 (Comparison to Soil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at Uljin Sokwang-ri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

  • 허태철;주성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77-82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useful material for the forest multiple use and forest protection by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of studied area in Sokwang-ri Forest Genetic Resource Protection Forest which was divided into in standard plots include Tricholoma matsutake and Sarcodon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soil analysis represented as following. The soil type of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Dry brown forest soil(B1), while on the other hand the soil type of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was Moderately moist brown forest soil(B3). Between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changes in soil pH(5.22-5.60) and soil depth(47cm), but available phosphorus,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were different results. CN ratio of the fairy ring of T. matsutake was quite lower than that in S. aspratus production forests, which indicated that T. matsutake production forest was built up in the relatively immature soils which contain little organic matter. Generally, it was predicted that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succeeded to deciduous tree forest in stable soil environments. To conserve these T. matsutake and S. aspratus production forest, the contents of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cation should be increased by continuous soil environment management and it should be established the secondary growth forests of old aged Pinus densiflora for. erecta trees as soon as possible.

  • PDF

우리나라 소나무속(屬)의 Monoterpene 조성(組成)의 변이(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ariation of Monoterpene Composition of the Subgenus Diploxylon of the Genus Pinus in Korea)

  • 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60-169
    • /
    • 1976
  • 한국산(韓國産) Pinus속(屬)의 Diploxylon아속(亞屬)의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 대(對)한 류별(類別)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GLC에 의(依)한 monoterpene 조성(組成)을 분석(分析)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의 monoterpene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 terpinolene 외(外)에 2개의 미지(未知)의 조성분(組成分)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의 주요(主要) monoterpene조성(組成)은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terpinolene 이다. 중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beta}$-phellandrene, ${\alpha}$-plnene, terpinolene 이다. 곰솔의 주요(主要) monoterpene 조성(組成)은 ${\beta}$-pinene, ${\alpha}$-pinene, ${\beta}$-phellandrene, limonene 이다. 소나무, 중곰솔, 곰솔, 금강소나무에서 모두 monoterpene 조성분(組成分)은 개체간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중곰솔은 monoterpene 조성(組成)에 있어서 소나무와 곰솔의 중간에 해당되었다. 소나무와 곰솔을 구별(區別)하는 가장 좋은 분류적기준(分類的基準)이 되는 monoterpene의 주성분(組成分)은 ${\alpha}$-pinene, ${\beta}$-pinene, myrcene이었고 소나무는 ${\alpha}$-pinene이 ${\beta}$-pinene보다 항상 많았고 중곰솔을 그 반대(反對)였다. 안면도와 치악산(産) 소나무의 산지별(産地別) 차이(差異)에서는 ${\alpha}$-pinene에서 유이성(有異性)이 보였으나 이는 개체 사이의 변이(變異)가 큰 것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 PDF

강송의 기초적 재질에 관한 연구(제1보) (Studies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 Wood of Gumgangsong(Pinus densoflora for. erecta Uyeki) (Part 1))

  • 김정환;이원희;홍선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5-61
    • /
    • 1999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properties such as the structure of annual ring, density distribution, compressive strength with parallel to grain, relative crystallinity, and microfibril angle of Gumgangsong(Pinus densoflora for. erecta Uyeki). The wood specimens, Gumgangsong and Sonamu(Pinus densiflora S. et Z.), for this experiment were prepared at Ulijingoon Sokwangri and Kyungpook university's forest in Kyungpook province, respectively. Average annual ring width is $2.0mm{\pm}0.3$ in heartwood of Gumgangsong. The respectively of heart wood was over 60 percent in Gumgangsong and 20~50 percent in Sonamu. Heartwood density were ranged from 0.5 to $0.8{\;}g/cm^3$ in Gumgangsong and from 0.4 to $0.5{\;}g/cm^3$ in sonamu. Compressive strength in Gumgangsong and Sonamu was about $30{\pm}5MPa$ and $25{\pm}5MPa$, resepectively. But the relative crystallinity and microfibril angle of two species were not different clearly. From these results of Gumgangsong and Sonamu,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e main difference factors for both species were annual ring width and heartwood percentage.

  • PDF

황장목의 부후 및 흰개미 저항성 (Decay and Termite Resistance of Yellow-Hearted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 이애희;장재혁;황원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2-19
    • /
    • 2017
  • 황장목(黃腸木)은 적황색을 띠는 심재부의 비율이 높고 연륜폭이 매우 조밀하며 최소 수령이 100년 이상 되는 귀중한 소나무 자원이다. 조선시대에는 황장목을 궁궐, 사찰 등 중요 건축물에 사용하였다. 하지만 황장목의 재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장목의 천연내구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부후균 및 흰개미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공시균은 갈색부후균(Fomitopsis palustris)과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 균주를 사용하였고, 공시 흰개미는 일본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갈색 및 백색부후균에 의한 중량감소율은 심재부에서 3.7~5.6%, 변재부에서는 16.1~26.3%로 나타났다. 또한, 흰개미 사충률은 심재부에서 약 4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황장목의 심재부는 부후균 및 흰개미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염도가 금강소나무의 종자발아와 유묘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 Lee, Ho-Joon;Kim, Se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4호
    • /
    • pp.219-236
    • /
    • 1989
  • The effect of salinit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were studie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s in the growth chamber. The seeds were sorted into three classes in weight such as large ($15.49\pm$1.63mg), medium($10.61\pm$1.38mg), and small ($6.57\pm$1.33mg) to determine the role of seed weight i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pine. Polymorphic seeds of the pine were germinated an salinity range of 0 to 1.5% NaCl under various temperature ($10^{\circ}$ $-25^{\circ}$ with $5^{\circ}$C interval of constant temperature, and $10^{\circ}$ $-20^{\circ}$C, $15^{\circ}$ $-25^{\circ}$C of alternating tempera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ir germinability and seeding growth. In control plo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germination percentage among the seed weight classes, but in saline plot, the larger seeds generally had a higher percentage and rate of germination. There occurred synergistic interaction between salinity and temperature in the germination and the increase of temperature enhanced germination of seeds at the same salinity level. Alternating temperature regimes of $15^{\circ}$-$25^{\circ}$C yielded maximum germination and no germination was occurred at $10^{\circ}C$. The germination at alternating temperature showed higher germination percentage than at constant temperature. The percentage and of germination decreased drastically with increased salinity level to 1.00%; no germination was occurred at 1.50% salinity level. The growth fo sddelings from larger seeds was better than that of smaller seeds at the same salinity and temperature. The hypocotyl and radicle were more sensitive than cotyledon to the increased salinity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