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mushroom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초

송이 생산(生産)과 소나무 연륜생장(年輪生長)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nd Annual 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32-240
    • /
    • 2000
  • 송이(Tricholoma matsutake, Songyi, matsutake) 생산과 소나무 생장과의 관계를 알기 위하여, 경북 상주지역의 18년(1978-1995)간의 송이 생산량과 인접 속리산의 소나무 연륜생장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r=0.408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상관관계가 낮은 이유로는 송이생산 변동은 버섯발생 및 생장시기인 9월과 10월의 기상에 영향을 받는 데 비하여 소나무 연륜생장 변동은 5월과 6월의 기상에 주로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1999년의 경우 충북 월악산 국립공원내 송이생산이 절정을 이룬 시기는 10월 초 1주일간으로 이때 일최저기온은 약 $7^{\circ}C-13^{\circ}C$이었다. 이러한 것은 송이생산의 풍-흉년이 단순한 해거리 현상이 아님을 의미한다. 송이증산을 위해서는 자실체 발생기간 중에 발생지의 토양수분과 온도조절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송이균(松茸菌) (Tricholoma matsutake)의 배양환경(培養環境)에 대한 증식반응(增殖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Multiplication Response of "Tricholoma matsutake" (Pine Mushroom) Conidio to Cultural Media Environment)

  • 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33-41
    • /
    • 1984
  • 송이(松茸)는 적송(赤松)의 세근(細根)에 활물기생(活物寄生)한다고 하나 그 본질(本質)이 아직 구명(究明)되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공재배(人工栽培) 확립(確立)이 모색(模索)되고 있는 중이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일차적(一次的)으로 송이(松茸)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균(菌)을 배양(培養)하여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인공원기(人工原基)를 만들어 인공적(人工的)인 송이재배(松茸栽培)의 본질(本質)을 구명(究明)하여 송이재배(松茸栽培) 방법(方法)을 돕고자 송이균(松茸菌)의 생리특성(生理特性)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의 송이균계(松茸菌系)의 발육(發育)은 봉밀(蜂蜜)+송이발생토양전즙(松茸發生土壤煎汁)+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건조효모(乾燥酵母)+$KH_2PO_4$+Inositol+엽산(葉酸)+Biotin의 배지(培地)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송이포자(松茸胞子)의 발아(發芽) 및 균계배양(菌系培養)에서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4^{\circ}C$, 최적(最適) pH는 4.5였다. 3) 송이균계배양(松茸菌系培養)에 있어서 송이자실체(松茸字實體)의 조직(組織)에서 분리(分離)한 것과 포자(胞子)에서 분리(分離)한 것은 그 발율(發育)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4) Hamada 배지(培地)에 각종(各種) 미량중금속염류(微量重金屬鹽類) $ZnSO_4$, $MnSO_4$, $MgSO_4$, $CaCl_2$ 구연산철(枸櫞酸鐵) 등(等)의 첨가(添加)는 별효과(別效果)가 없었다. 5)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첨가(添加)는 균계발육(菌系發育)에 확실(確實)한 효과(效果)가 있었다. 적송(赤松)에는 송이균계(松茸菌系)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는 인자(因子)가 존재(存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송이균계(松茸菌系) 배양용(培養用)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의 C원(源)으로서 glucose보다 봉밀(蜂蜜)의 효과(效果)가 크다. 7) Fairy Ring이 가장 많이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인 Mortierlla spp의 배양여액(培養濾液)을 송이균계(松茸菌系)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에 첨가(添加)한 것이 대조치(對照値)에 비(比)하여 균계(菌系)의 발육(發育)이 양호)良好)하였다. 8) 송이인공원기(松茸人工原基)의 배지(培地)에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lnsitol Biotin 엽산(葉酸)의 첨가(添加)는 효과(效果)가 크다. 균계(菌系)의 만연(蔓延)된 후(後) 온도(溫度)를 내려서 $19^{\circ}C$로 유지(維持)할 때 primordium의 형성(形成)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Differences in the Nonvolatile Metabolites of Pine-Mushrooms (Tricholoma matsutake Sing.)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Heating Times Using $^1H$ NMR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Cho, In-Hee;Kim, Young-Suk;Lee, Ki-Won;Choi, Hyung-Ky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682-1687
    • /
    • 2007
  • The differences in the nonvolatile metabolites of pine-mushrooms (Tricholoma matsutake Sing.)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heating times were analyzed by apply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o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data. The $^1H$ NMR spectra and PCA enabled the differences of nonvolatile metabolites among mushroom samples to be clearly observed. The two parts of mushrooms could be easily discriminated based on PC 1, and could be separated according to different heattreated times based on PC 3. The major peaks in the $^1H$ NMR spectra that contributed to differences among mushroom samples were assigned to trehalose, succinic acid, choline, leucine/isoleucine, and alanine. The content of trehalose was higher in the pileus than in the stipe of all mushroom samples, whereas succinic acid, choline, and leucine/isoleucine were the main components in the stipe. Heating resulted in significant losses of alanine and leucine/isoleucine, whereas succinic acid, choline, and trehalose were the most abundant components in mushrooms heat-treated for 3 min and 5 min, respectively.

송이 감염묘를 이용한 송이 발생 및 발생환경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 and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Matsutake-infected Pine Trees)

  • 가강현;김희수;허태철;박현;전성민;유림;장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4-42
    • /
    • 2018
  • 송이는 매우 고가의 버섯이기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인공재배를 시도하고 있다. 지금까지 야외 조건에서 인공적으로 송이 발생을 성공시킨 예는 송이 감염묘를 이용한 방법뿐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00년부터 송이 감염묘 방법을 다시 연구하여 2010년과 2017년에 각각 송이 발생 재현에 성공하였다. 이 결과는 송이 감염묘를 이용하여 송이가 인공재배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며, 세계 최초로 송이 인공재배가 성공한 사례가 된다. 송이 감염묘 이식 후 6년 6개월만인 2010년 10월에 송이가 처음 발생하였다. 그리고 또 다시 송이 감염묘 이식 후 13년 5개월 또는 15년 5개월이 경과된 시점인 2017년 9월에 송이 5개가 재 발생하였다. 송이 감염묘 소나무와 발생한 송이 사이의 거리는 12 cm (6.6년), 90~115 cm (13.5년), 95 cm (15.5년)으로 나타났다. 송이 버섯 발생은 지온이 $19^{\circ}C$이하로 떨어진 이후 13~16일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송이 감염묘법은 송이를 인공재배 할 수 있는 현재까지의 유일한 방법으로, 앞으로도 송이 자실체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 인자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송이 발생림의 송이 균환 주변에 출현하는 외생균근성 균류 (Ectomycorrhizal Mushroom Occurrence around the Fairy Ring of Tricholoma matsutake at a Pine-Mushroom Forest)

  • 박현;가강현;류천인;김교수;김현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06-313
    • /
    • 1998
  • 대한민국 홍천의 송이 발생림에서 외생균근성 버섯의 발생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송이 균환은 3년간$(1995{\sim}1997)$의 송이 자실체 발생위치를 토대로 파악하였고, 다른 외생균근성 버섯의 출현 위치는 x축과 y축의 좌표를 표시하며 2년간$(1996{\sim}1997)$ 조사하였다. 송이 균환의 직경은 $2{\sim}10m$의 범위를 나타내어, 송이 균은 대체로 연간 10 cm 정도 생장하는 것을 감안할 때 균환의 연령은 $5{\sim}50$년에 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무당버섯(Russula bella), 회갈색무당버섯(R. sororia), 푸른주름무당버섯(R. delica), 애기꾀꼬리버섯(Cantharellus minor)이 조사기간에 주로 출현한 버섯이었는데 그 출현빈도는 전체 조사된 종류의 각각 16.0%, 12.8% 12.4% 및 7.0%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지는 송이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숲으로 여겨졌다. 또한, 마귀광대버섯(Amanita pantherina), 황소비단그물버섯(Suilllus bovinus), 다박싸리버섯(Ramaria flaccida) 및 졸각버섯(Laccaria amethystea)은 송이의 균환주변에 많이 출현하여 송이 생산성이 감소하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여겨겼다.

  • PDF

기술사마당 - 맞춤형 숲 가꾸기를 통한 송이균류 활력증대방안 (The New Method To Improve Pine-Fungi Activity By Customed Forest Tending)

  • 천명석
    • 기술사
    • /
    • 제42권5호
    • /
    • pp.50-54
    • /
    • 2009
  • The new method to improve pine-fungi activity are needed by customed forest tending. Fungi is essencial for human life. Pine-mushroom (Trichroma matsutake)products are related to fungi activity. These are improved by customed forest tending. For example, species arrangement, thinning ratio, light control, water supply etc.

  • PDF

생송이 버섯과 냉동송이 버섯의 품질 및 향기 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aw and Frozen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 구경형;조명희;박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25-630
    • /
    • 2002
  • 등급별 송이 버섯과 $-20^{\circ}C$$-70^{\circ}C$에서 급속냉동한 후 저장한 송이버섯의 일반성분과 AromaScan 및 GC/MSD에 의한 향기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냉동하지 않은 송이 버섯은 수분 함량 $89.48{\sim}90.77%$, 회분은 건물량으로 환산하여 등외품인 D시료를 제외하고 6.81%, 단백질 $16.19{\sim}20.01%$, 지방 $2.24{\sim}2.52%$로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20^{\circ}C$$-70^{\circ}C$에서 6개월 저장한 냉동송이 버섯도 냉동하지 않은 송이 버섯과 각 성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전자코에 의한 향 패턴 분석과 다차원 판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송이 버섯은 등급별 차이가 거의 없게 나타났으나, 냉동 저장한 등급별 송이 버섯의 경우 분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등급별 송이 버섯 및 냉동 송이 버섯을 GC/MSD에 의한 향기 성분 분석 및 동정한 결과 50여개의 peak가 검출되었으며, 이중에서 29개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휘발성 향기 성분중 1-octen-3-ol, 2-octen-1-ol, 3-methy-butanal이 공통적인 성분이었고, 등급이 낮아질수록 1-octen-3-ol 함량이 감소하였다. 각 등급별 생송이 버섯 및 냉동 송이의 이취, 향미 등의 관능검사 결과 생송이 버섯은 등급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냉동 송이는 A(1등급), B(2등급), C(3등급) 시료에 비하여 D(등외품)시료를 낮게 평가하였다.

The effects of biomaterials in growing medium on the response of Zelkova serrata in a containerized production system

  • Youn, Woo-Bin;Han, Si-Ho;Seo, Jeong-Min;Aung, Aung;Dao, Huong Thi Thuy;An, Ji-Young;Park, Byung-Bae;Cho, Min-Seok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781-790
    • /
    • 2019
  • Changes i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materials during the nursing proces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containerized seedlings and on growth and survival after planting.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iomaterials and their mixed ratios on the growth of Zelkova serrata seedlings in a containerized seedling production system was investigated. Mushroom sawdust, pine bark, and carbonized rice husk were used as biomaterials. The mixed ratios were 10% and 20% volume ratio of the growing medium volume, including the untreated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ight growth of the Zelkova serrata seedlings according to the biomaterials. The root collar diameter was the highest with the 20% carbonized rice husk and the lowest with the mushroom sawdu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quality index and the lowest quality index was 30% in the order of the carbonized rice husk, pine bark, control, and mushroom sawdus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if the growing medium mixed with biomaterials does not reduce the seedling growth compared with the control, it is considered that the biomaterial can replace a part of the growing media.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some of the growing media can be replaced with carbonized rice husk or pine bark when producing Zelkova serrata seedlings.

송이 감염묘 육성을 위해 야외 조건에서도 송이균 생존이 가능한 소나무의 최소 크기 결정 (Determination of the Minimum Size of Seedlings with Matsutake Mycelia That Can Survive in the Field for Matsutake-infected Pine Tree Production)

  • 가강현;김희수;전성민;유림;장영선;왕은진;정연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88-195
    • /
    • 2017
  • 송이는 세계적으로 상용 가치가 높은 버섯이나, 아직까지 자연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까지 송이 감염묘를 통해 송이를 한 개씩 발생시키는 것까지는 한국과 일본에서 성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 감염묘법에서 송이균이 생존할 수 있는 소나무의 최소 크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균이 생존한 것은 이식 2년째에 14본(50%)과 이식 1년째에 10본(71%)이었다. 이식 후 송이균이 생존한 송이 감염묘는 이식 당시 평균 수고가 25 cm (최소 12 cm ~ 최대 40 cm) 였다. 결론적으로 송이 감염묘의 수고가 최소 12 cm 이상이 되면, 야외 조건에서 송이균이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송이 감염묘에서 사용하는 기주식물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여 송이 감염묘 방법을 개선하였고, 송이 인공재배를 위해 어느 정도 크기의 소나무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의 저장성 향상

  • 강선철;김민정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666-667
    • /
    • 2003
  • 송이버섯의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산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대조구로하여 이끼, 솔잎, 양파의 구근을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연장 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지에서 포장하는 방법으로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 7일 까지 상품성이 있으나 14일에 급격한 품질 저하 현상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양파를 이용한 방법과 이끼를 깔아 포장하는 방법은 무처리구 보다 7일 이상의 저장성 향상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