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ture percep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9초

지형공간정보 기반의 침투위험도 예측 모델을 이용한 최적침투지역 분석 (Analysis of Infiltration Area using Prediction Model of Infiltration Risk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신내호;오명호;최호림;정동윤;이용웅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9-205
    • /
    • 2009
  • A simple and effective analysis method is presented for predicting the best infiltration area.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numerical estimation barometer for degree of infiltration risk has been derived. The dominant geospatial features influencing infiltration risk have been found to be area altitude, degree of surface gradient, relative direction of surface gradient to the surveillance line, degree of surface gradient repetition, regional forest information. Each feature has been numerically expressed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infiltration risk of that area. Four different detection probability maps of infiltration risk for the surveillance area are drawn on the actual map with respect to the numerically expressed five dominant factors of infiltration risks. By combining the four detection probability maps, the complete picture of thr best infiltration area has been drawn. By using the map and the analytic method the effectiveness of surveillance operation can be improved.

APLICATION OF FRACTAL DIMENSION ESTIMATION ALGORITMS TO EVALUATING HUMAN SKIN STATE

  • Araghy, Ali Parchamy;Sato, Mie;Kasuga, Masa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655-658
    • /
    • 2009
  • Fractal dimension has been used for texture analysis as it is highly correlated with human perception of surface roughness and applied to quantifying the structures of wide range of objects in biology and medicine.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of the human skin state is based solely on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clinicians; this assessment may vary from moment to moment and from rater to rater. Therefore we attempt to analysis of skin texture image using fractal dimension and discuss its application to evaluating human skin state. It can be helpful for extracting human features and also can be useful for detection of many human skin diseas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calculate fractal dimension of skin with use of camera lens magnification. We take multiple pictures frequently from skin with different camera lens magnification as a magnification factor of fractal set, and counting the number of objects (cells) in each picture as a number of self similar pieces of fractal set.

  • PDF

중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 유형 탐색 (Exploring the Image Typ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Talented Person in Convergence)

  • 이준기;이태경;신세인;정덕호;오상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486-150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의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는 어떤 유형으로 형성되어있는지 알아보고, 융합인재교육(STEAM)을 경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간에 융합인재 이미지 유형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중등학생 187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로 하여금 자신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해 그림을 그리고 간략한 설명을 적도록 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중등학생들의 '융합' 및 '융합인재'에 대한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등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인식은 크게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 '산물로서의 융합'으로 크게 범주화되었다.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는 '개인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유형으로 '두뇌수준 사고융합형', '누구나 아는 유명 인사형', 생활의 달인형', '다양한 직업인형', '문제해결자형', '창조적 개발자형', '실존하지 않는 이상적 인간형'이 있었으며, '집단인지과정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로는 '전문가 집단형'과 '학생 집단형'이 있었고, '산물로서의 융합'의 하위단계에는 '단순 융합체형'이 나타났다. 중등학생들은 융합인재교육의 경험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유형의 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건교사의 비만관리실태 조사연구 (A study on practice of obesity control by school nurses)

  • 주현옥;송미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9-261
    • /
    • 2002
  • This study was a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real picture and practice of student obesity control by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chool nurses. The study sampled 196 school nurses working in the Busan City and Northern Gyungsang Province, who agre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When it comes to the study process, at the meeting of the whole school nurses,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sked them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return on the spot. The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chool nurses in fiel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control student obesity by examining perception of school obesity control and the real picture or practice of obesity control as well as its problems. The study used SPSS 10.0 to analyz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nual plans about obesity control appeared significant at the primary school, 89.3%, higher than 77.3%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5). Annual project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s, 56.0% of metro cities vs. small cities(p<0.01). The number of measuring weight of obese students was higher at the primary school than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5). Also small cities conducted the weight measurement more often than metro cities(p<0.001). Among the health education methods for obesity, counseling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e health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e experienced school nurses. Among the educational media, environment postings were used at the primary school, 24.0%, higher than 5.3%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HP or epidiascopes were used at the primary school, 36.4%,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1). In addition, computer was used at the primary school, 21.5%, higher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p<.05). Problems of obesity education data included a lack of textbooks and programs and a short of educational media. However it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s or in regions. Counseling activities for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s(p<.01) and in regions(p<.001). When parents with obese students were in counseling, those in their 20s used home correspondence and those in their 30s and 40s used phone call(p<.01). The rate of equipment to measure obesity was higher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than the primary school,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Therefore, regular health education curriculums for school nurses should be systematically created to promote student health. Furthermore, it needs to make standard textbooks for health education by grades as well as by levels an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media.

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형태의 표현유형에 따른 어린이의 반응 연구 (children's response according to the expressive method of the form which is expressed on the picture book Illustration.)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313-322
    • /
    • 2006
  • 화면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조형요소 중에서 형태는 그려지고 표현된 모양에 따라 어린이의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이야기내용에 따른 주제와 배경의 관계,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이나 감정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진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화면에 표현된 형태가 시각적, 심리적으로 어린이에게 어떻게 작용 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형태에 대한 어린이의 지각발달과 지각경험이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어린이의 독창성과 창의성발달, 시각적, 심리적 사고발달, 그리고 꿈과 상상력 자극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형태의 표현형식을 재현적 형태표현, 단순화된 형태표현, 과장된 형태표현, 왜곡된 형태표현으로 각각 구분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1, 2차에 걸쳐 진행되는 설문자료로 활용하여 어린이의 표현 형태별 유형에 따른 반응과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어린이의 반응분석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성과 창의성이 바탕이 된 형태표현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표현방법 연구와 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 자녀와 일반인 자녀의 독서행태 비교연구 - 어린이도서연구회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ading Behavior between Children of Children's Reading and Culture Movement Organization Members Versus Non-member Children: Based on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 김은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5-64
    • /
    • 2021
  • 이 연구는 부모의 독서 활동이 자녀의 독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와 일반인·일반인 자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전국 5개 특별광역시 초등학생 477명, 학부모 48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독서행태를 조사하였다. 독서행태는 독서 빈도, 도서 선택정보원, 독서 인식, 선호도서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의 회원·회원 자녀와 일반인·일반인 자녀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가 일반인·일반인 자녀보다 양질의 독서행태를 보여 독서 빈도가 높고, 도서선택 정보원을 활용하였다. 독서 인식에서는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가 독서 목적에서 학습보다는 즐거움으로 인식을 하였다. 선호도서에서는 어린이 독서문화 운동단체 회원·회원 자녀가 우리 창작동화, 그림책 위주의 도서를 선택하였으며 일반인·일반인 자녀는 우리 창작동화, 그림책, 학습만화를 선택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장기적인 측면에서 건강한 독서문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독서 참여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아웃도어 재킷의 기능성표기 행택 유형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도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Hang-Tag Type and Preferred Method of Functional Information for Outdoor Jackets)

  • 방기성;유신정
    • 감성과학
    • /
    • 제19권4호
    • /
    • pp.83-94
    • /
    • 2016
  • 본 연구는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에 따라 분류된 소비자 그룹에 대하여 아웃도어 재킷의 행택 타입에 따른 정보 이해도와 기능성 의류제품 정보 표기의 대안적 방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행택타입에 따른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투습방수성능 표현한 네 종류의 행택('그림만으로', '그림+한국어 설명', '그림+외국어설명', '그래프')을 제시하여 행택을 통해 알 수 있는 성능을 답하게 하였다. 기능성 재킷의 인식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분석을 위해, 20-60대 472명의 남녀를 세 그룹('비전문적/브랜드 디자인 추구집단',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 '고가 제품 선호집단')으로 분류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적용하여 행택 타입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유형과 관계없이 '그림만으로' 표기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래프' 표기 방법을 가장 선호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답률에 있어서는 '그래프' 표기 방법이 가장 높았으며 소비자 유형 중 특히 '전문적/기능성 중시 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의류를 인식하는 유형에 따라 정보 표기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문적/기능성 중시 집단'은 대안적 표기 방법에 있어서 '세탁 후의 성능변화' 등과 같이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표기해 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기능성 의류를 인식하는 유형에 따라 행택(hang-tag)에 표현 된 성능정보의 표현방법에 따른 이해수준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으므로 연령, 성별 등의 단순 인구통계학적 분류보다 타겟층의 특성, 정보를 활용하는 유형, 제품의 특성 등을 종합하여 적합한 표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의미론적인 단순화된 그림 및 표의문자를 인지하는 과정에 대한 fMRI 연구 (Functional MRI Study on Perceiving Orthographic Structure and Simplified Semantic Pictures)

  • 김경환;이성기;송명성;권민정;정준영;박현욱;윤효운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7권2호
    • /
    • pp.93-99
    • /
    • 2003
  • 문자와 그림을 인식하는데 있어 인식패턴의 반구차이는 인지심리학적으로 널리 연구되어왔고 또 증명되어졌다. 일반적으로 그림을 인식하는 있어서는 우반구 우세를 문자를 인식하는 있어는 좌반구 우세를 이야기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사실을 바탕으로 fMRI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양문화권에서 문자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 역시 그림으로 인식한다는 견해가 있다는 것이다. 한자의 인지가 좌반구 또는 우반구 우세라는 엇갈린 견해들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한자와 그림의 인식패턴에 대한 반구차이 및 활성화되는 두뇌의 영역을 규명하기 위해 비교 실험하였다. 자극으로 사용되어진 그림은 한자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순화된 것이다. 실험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록디자인을 사용하였고 SP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한자와 그림 인식패턴 모두 반구우세성을 이야길 할 경우 시각영역인 후두엽 및 측두엽 부분에서는 우반구 우세가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반구우세성을 이야기하기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 PDF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전후의 아동학대 인식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s of Child Abuse Before and After Special Law)

  • 이경은;김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629-636
    • /
    • 2019
  •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실제 우리 사회에서 아동학대에 대해 공유 되어 지는 사회적 인식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추론하기 위해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중의 아동학대 인식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를 키워드로 선정하여 특별법 시행 전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2013년 특별법 시행 이전에는 유치원, 교사, 신체, 문제, 신고 의무, 방임 등이 이후와 비교하여 차이나는 단어들이다. 특별법 시행 이후에는 어린이집, 사건, 근절, 캠페인, 가정폭력, 예방 교육 등이 새롭게 나타났다. 둘째 핵심어들의 상호연관성은 2013년 이전 그림에서 II 집단은 아동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 위주로 나타나고, III 집단은 아동학대를 가정폭력과 연계하여 가정 내의 문제로 인식하는 이혼, 훈육, 방치, 부모교육들이 보여진다. 2013년 특례법 이후에는 4개 그룹으로 세분화 되고 아동학대 사건에 대해 특례법과 아동보호체계가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등 강화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Usefulness of Assessment of Stool Form by the Modified Bristol Stool Form Scale in Primary Care Pediatrics

  • Gulati, Reema;Komuravelly, Arpitha;Leb, Stephen;Mhanna, Maroun J;Ghori, Abdullah;Leon, Janeen;Needlman, Rober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1권2호
    • /
    • pp.93-100
    • /
    • 2018
  • Purpose: Rome criteria are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for diagnosing functional constipation. The modified Bristol stool form scale (m-BSFS) was validated to measure stool form in children. However, neither the potential use of the m-BSFS as a tool to facilitate the diagnosis of potential constipation, nor the agreement between m-BSFS and stool consistency by Rome has been studied. Our objective is to determine if m-BSFS is a reliable tool to facilitate detection of constipation; and the agreement between stool form by m-BSFS and hard stool criteria in Rome. Methods: A survey tool with the Rome III criteria and the m-BSFS was developed. A Likert-scale addressed frequency of each stool form on the m-BSFS. Responses to Rome III and m-BSFS were compared. Resul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BSFS was 79.2% and 66.0% respectively; and in children <4 years. improved to 81.2% and 75.0% respectively. There was poor agreement between hard stools by m-BSFS and the painful or hard bowel movement question of Rome Criteria. Conclusion: The potential utility of m-BSFS as a reasonably good tool to facilitate the diagnosis of potential constipation in children is shown. The poor agreement between painful or hard stool question in Rome III, and ratings for hard stool on the m-BSFS illustrates that one's perception may differ between a question and a picture. A useful pictorial tool to appraise stool form may, thus, be a favorable complement in the process of enquiry about bowel habits in well-child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