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kl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3초

저장 기간 중 돌산갓 피클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변화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 during Storage)

  • 손혜련;오선경;최명락
    • KSBB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00-104
    • /
    • 2016
  • Dolsan leaf mustard has various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those in the immune system and cancer prevention. It contains high amounts of nutritional and medicinal compounds, which are important for maintaining optimum heal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otal phenolic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Dolsan leaf mustard pickle (DLMP) during storage. DLMP methanol extracts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35.56{\pm}0.01GAEmg/g$ and $4.54{\pm}0.03QEmg/g$,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the DLMP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of 79.4 and 85.36%, respectively.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showed 2.24-3.82 mM $FeSO_4$ eq. (p<0.05) in DLMP extracts. Overall, storage at day 14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인삼, 더덕 및 도라지 피클의 품질 특성 연구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 김애정;한명륜;정경희;조재철;박원종;한치원;장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3-447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pickles. Prior to the processing of the 3 kinds of pickles,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 SOD -linked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water extracts were assessed. After the processing of 3 kinds of pickles, we conduct a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values assessment.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Korea Ginseng, Deoduk and Doragi water extracts were $1.66{\sim}1.70mg/m{\ell}$, levels which were similar to that of tocopherol($1.81mg/m{\ell}$)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4.06mg/m{\ell}$)(p<0.05). The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the Ginseng extract(98.86%) were similar to those of BHT(98.90%),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eoduk(35.70%), Doragi(78.07%) and tocopherol(65.91%). SOD-linked activity of Korea Ginseng water extract (42.58%) was similar to those of BHT(47.86%) and tocopherol(50.47%),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eoduk (17.98%) and Doragi(20.75%).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Ginseng water extract(87.85%) was similar to that of BHT(8.58%),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eoduk(79.51%), Doragi(77.62%) and tocopherol(78.95%). In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s of the 3 kinds of pickles, the Ginseng pickle evidenced significantly lower acceptance scores in 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quality. The luminance of the Ginseng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Deoduk pickles, the value of the Doragi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inseng and Deoduk pickles, and the b value of the Deoduk pick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inseng pickle.

순창 고추장민속마을에서 생산한 장아찌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ckle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 정도영;김용석;이선규;정성태;정은정;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2-99
    • /
    • 2006
  • 전북 순창지역의 고추장민속마을에서 생산한 장아찌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10품목의 장아찌 제품 90종을 수집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 마늘, 오이, 무, 더덕, 매실장아찌는 고추장으로 버무렸으며, 깻잎장아찌는 된장으로, 울외장아찌는 주박으로, 고추장아찌는 된장과 간장으로 버무렸다. 장아찌 제품의 수분 함량, pH 및 총산함량은 원료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당도는 $22.10{\pm}3.04$(간장고추) - $55.53{\pm}7.67$(마늘장아찌) $^oBrix$로서 비교적 높았으며, 고추장으로 절임한 경우가 된장이나 간장 절임보다 높았다. 염도는 $3.56{\pm}1.11$(매실장아찌) - $9.15{\pm}6.35%$(간장고추)로서 매우 높았으며, 간장으로 절임한 제품에서 높았다. 경도는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매우 컸으며, 총균수는 $5.62{\pm}0.10$(간장고추) - $6.83{\pm}0.55$ log CFU/g(된장깻잎)로서 비슷하였다. 결론적으로, 제품의 품질 균일화와 함께 염도가 높은 장아찌 제품들의 염도를 낮추는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여주 피클 숙성 중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Pickle during Ageing)

  • 이희율;박경숙;주옥수;황정은;안민주;정영심;홍수영;권오경;강상수;육흥주;김행란;박동식;조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1-411
    • /
    • 2015
  • 여주는 항당뇨, 항암, 항염증,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활성의 다양한 생리적 효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쓴맛으로 인해 여주를 이용한 식품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주를 이용하여 피클을 제조하고 숙성 기간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숙성 4주 후에 피클의 pH, 염도, 가형성 고형분 및 환원당은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한편 총 균수, 젖산균수 및 효모균수는 1주까지 빠르게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여주 피클 숙성 중 수용성 phenolics는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또한 여주 피클의 조단백질, 칼륨 및 인 함량은 여주 원료보다는 낮았으나 조지방 및 소금 함량은 높았다. 여주 피클 숙성 중 쓴맛과 향의 개선을 위하여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첨가하였는데 0.25% 옥수수수염 추출물 여주 피클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유기산에 의한 조개젓 비린내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Organic Acids on Suppression of Fishy Odor in Salted Clam Pickle)

  • 이영은;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0
    • /
    • 1982
  • 유기산에 의한 조개녹젓(염분 15.5%)의 비린내 억제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비린내의 변화와 트리메틸아민(TMA)의 잔존량을 관능검사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 관능검사 결과 식초 첨가량을 조개녹젓 100g당 0,2,5,8 및 10 ml 순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비린내 억제효과가 있었으며$({\alpha}=0.01)$, 저장기간과 산의 종류(acetic, malic 및 citric acid)의 변화에 대해서는 비린내를 느끼는 정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개녹젓 100g당 식초가 8 ml 첨가되었을 때 overall acceptability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아세트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과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또한 산의 종류를 아세트산, 말산 및 시트르산 순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TMA잔존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4\;{\mu}l/ml$ 아세트산(8 ml vinegar/100g clam pickle)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반응시간을 충분히 주어도 TMA잔존율이 95% 정도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3. 관능검사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결과로부터 산은 TMA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불휘발성 염을 생성하여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과 평상시 사용하는 농도에서 유기산의 비린내 억제효과는 주로 가리움 효과에 기인한다는 것을 추정하였다.

  • PDF

키토산 첨가 순무피클 저장 중 이화학적 .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 손은정;오상희;허옥순;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02-1309
    • /
    • 2003
  • 순무피클 저장 중 조직감과 색상을 개선하고자 키토산과 비트 물추출물을 첨가한 순무 피클을 제조하여 저장(2$0^{\circ}C$, 35일)하면서 경시적으로 이화학적ㆍ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키토산을 첨가한 피클이 키토산을 첨가하지 않은 피클에 비해 pH는 높았고, 산도는 낮았으나, 염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환원당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순무피클의 종류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색상은 비트 물추출물과 키토산을 함께 첨가한 피클(CBC)은 대조군(C) 및 키토산만 첨가한 피클(CC)에 비해 Hunter의 L값은 낮았으나 a값이 다른 두시료에 비해 저장 전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직감 특성 (texture profile analysis)에서 키토산을 첨가한 순무 피클 CC와 CBC는 대조군 C에 비하여 경도가 저장 28일까지도 높았는데 이같은 경향은 관능검사(10인의 패널요원, unstructured scale, 10점 만점) 결과에서와 일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세종류의 피클 모두 저장 14일에 최고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이 시기에 키토산 첨가 순무피클 CC는 7.8점, 키토산과 비트 물추출물 첨가 순무피클 CBC는 8.4점으로 대조군 C의 6.1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순무피클 제조시 키토산과 비트 물추출물 첨가시 조직감과 색상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저장기간도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Surface Treatment of Automotive Cast Parts of Magnesium Alloy

  • Sim, Yangjin;Kim, Jongmyung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102-108
    • /
    • 2003
  • The surface treatments. Chrome/Manganese and Modified Chrome Pickle, that are treated to improve the anti-corrosion property which is needed to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prototype product enabled the sand cast Magnesium test specimens to have better corrosion resistance than non-treated one. Sand cast Magnesium specimens which was treated only with chemical conversion coating had same corrosion resistance with the Steel specimens plated by Zinc, and the another one that had the finishing treatment(painting) worked on the chemical surface treatment had the corrosion resistance property to meet to FPO-3 requirement. We also investigated the multiple finishing system(chemical surface treatment + 3 coating) to test the severe condition that magnesium should to endure.

마늘장아찌 숙성 중 텍스쳐 특성의 변화 (Changes in the Texture Property of Garlic Pickle during Aging)

  • 정애련;고무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96-601
    • /
    • 1993
  • 마늘장아찌를 담글때 껍질의 유무와 염화칼슘의 첨가가 텍스쳐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알코올 불용성 고형물(AIS)은 숙성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AIS의 감소율은 염화칼슘을 첨가한 마늘에서 더 적었다. 펙틴질에 있어서는, 모든 시료군이 숙성에 따라 염산 가용성 펙틴은 소량 감소하였으며,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은 크게 증가하였고, 총펙틴질과 열수 가용성 펙틴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염화칼슘을 첨가한 마늘이 첨가하지 않은 마늘보다 염산 가용성 펙틴의 보존율이 높고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의 증가율은 더 낮았다. Instron에 의한 경도는 통마늘이 깐마늘보다 약간 더 높았고 염화칼슘을 첨가한 마늘이 첨가하지 않은 마늘보다 더 높았으며, 숙성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점차 감소하였다.

  • PDF

저장기간 중 돌산갓피클에서 Glucosinolates의 ACE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AC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Glucosinolates in Dolsan Leaf Mustard Pickle during Storage)

  • 손혜련;오선경;;최명락
    • KSBB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65-170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investigate that physiological activity, quantification and qualitative were sinigrin of Dolsan leaf mustard pickle (DLMP) during storage. sinigrin contains high amounts of nutritional and medicinal compounds, which are important for maintaining optimum health. ACE inhibitory activity was ranged between 43.2 and 79.4%. DLMP methanol extracts demonstrated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at 79.4% on day 14, whereas DLMP ethanol extracts demonstrated highest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43.2% at day 0.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positive control 0.02% (v/v) acarbose was 78%. The DLMP methanol extracts had the highes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t 64.0% on day 14, whereas DLMP ethanol extracts had the lowes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42.8% at day 28. Sinigrin was high in DLMP methanol extracts at $49.55{\mu}g/ml$ on day 14 of storage. Sinigrin standard was eluted at 2.73 min and MS analysis was m/z 283.03 along with fragment ions at m/z 204 and 149.06. These data show that sinigrin formed desulfo-glucosinolates $[M-SO_3-2H_2O+K+2H]^+$. Sinigrin concentration increased until day 14 and then decreased after that. DLMP methanol extracts had consistently higher sinigrin concentration than DLMP acetonitrile extracts during 28 days of storage.

간장을 첨가한 양하 피클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ha (Zingiber mioga Rosc) Pickle with Soy Sauce during Storage)

  • 김명현;한영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0-270
    • /
    • 2016
  • 간장 첨가량을 달리한 양하피클을 제조하여 90일 저장기간 동안 pH, 당도, 염도, 수분함량, 색도, 환원당, 경도, 총균수 등의 품질평가와 관능평가를 비교하였다. 간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 염도, 당도가 높아졌다(p<0.001). 양하 피클의 수분 함량은 간장량이 증가할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양하 피클의 경도는 제조 0일차에는 $202.6{\sim}235.9g/cm^2$이고, 90일차에는 $352.2{\sim}368.3g/cm^2$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고, 간장함량이 증가될수록 높았다. 명도는 간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고, 적색도는 J1이 높았으며, 황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J1을 제외하고 증가하였다. 양하 피클의 관능적 특성 결과, 양하 피클은 매운맛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결과 값을 나타냈으며, 맛, 향,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간장 10%를 첨가한 J2가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양하 피클의 외관과 색은 간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낮아졌다. 따라서 양하를 이용한 피클은 오랫동안 저장하여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피클로서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