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change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32초

연고제(軟膏劑)의 경도(硬度)에 관한 연구(硏究)(IV) -온도(溫度)의 변화(變化)가 연고제(軟膏劑)의 대수경도(對數硬度) 미치는 영향(影響)- (The Study on the Hardness of Ointment(IV) -Influences of Temperature on the Apparent Logarithmic Hardness of Ointments-)

  • 이숙경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8권3호
    • /
    • pp.24-31
    • /
    • 1978
  •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apparent logarithmic hardness of ointments were clearly demonstrated. The followings were obtained as the results: 1. When the ointment base was mixed with additives and heated or cooled at various temperatures, the apparent logarithmic hardness in the first trend before reaching the critical point is subject to change mainly by the contents of the additive while in the secondary trend after reaching the critical point is subject to change mainly by the temperature. 2. No Change in the critical point was observed at different temperatures. It is assumed that the crittical point of such ointment bases has no relationship with temperatures and that the critical point itself should rather depen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dditives.

  • PDF

묵은 김치 제조과정에서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유맹자;김형량;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31-441
    • /
    • 2001
  • To develop the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kimchi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recipe of a specific ratio of major and minor ingredients and adjusted its salinity to 3.7%. Prepared kimchi fermented at $15{\pm}1^{\circ}C$ for 24 hours and transferred and fermented in a refrigerator only used to make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at $-1{\pm}1^{\circ}C$ for 30 weeks. During 30 weeks of fermentati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were studied. The initial pH of 6.47 decrease gradually and dropped to pH 4.0 after 14 weeks of fermentation, and then it maintained at same level. Acidity increased to 0.49% on 2 weeks of fermentation and kept at 0.47 $\sim$0.50% during 2 to 30 weeks fermentation. Salinity was slightly increased at early stage and started to decrease on 4 weeks of fermentation, and then it did not change. The change of reducing sugar content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pH change with a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r =0.912).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nd acetic acid were major organic acids contained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kimchi. Vitamin C content decreased at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then slightly increased up to the maximum of 22.3 mg% on 8weeks of fermentation. In color measurement, L value continued to in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and reached at the highest of 55.45 on 22 weeks of fermentation, and a and b values of 3.62 and 4.54 also increased to 31.26 and 37.32 on 30 week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Total microbial count increased slowly from beginning and was the highest on 4 weeks of fermentation, and then began to decrease slowly. Count of Lactobacillus spp. was highest after 6weeks, but count of Lactobacillus spp. was highest on 2 weeks of fermentation, and then both showed a slow decrease. Yeast count wasn't increased until 4 weeks of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rapidly to get the highest on 10 weeks of fermentation.

  • PDF

국내생산 허브의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후 이화학적 특성 변화 연구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herbs cultivated in Korea after microwave drying)

  • 류재진;최현욱;금준석;박종대;성정민;서동호;이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99-103
    • /
    • 2021
  • 마이크로웨이브는 식품의 표면을 투과하여 식품 내부를 매우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식품의 맛, 냄새, 조직감, 영양가 등에 대하여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게 된다(Chandrasekaran 등, 2013; Datta 와 Hu, 1992). 본 실험은 이러한 기능이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국내에서 생산가능한 허브 5종의 건조에 따른 품질특성에 있어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조사구와 100 Watt와 600 Watt에서 각각 계속적인 가열건조 방법과 Pulse 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파 건조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조직감 유지 및 갈변화 방지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W에 의한 건조 보다는 PW를 활용한 방법이 조직감 유지 및 갈변화 방지, 탈수율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허브의 총균수 사멸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는 다른 일반가열보다 짧은 시간 내에 미생물의 사멸효과가 있었으며, CW보다 PW가 미생물의 사멸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허브의 건조시 낮은 온도에서의 빠른 건조 발생으로 시간적 향상과 물리적 변화를 최대한 억제시키며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허브 특유의 냄새를 보존시키는 작용으로 앞으로 국내산 허브의 건조저장기술에 마이크로파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활성탄 담체가 포함된 Jet-Loop Reactor를 이용한 종합염색폐수처리 (Biological Treatment of Dyeing Wastewater Using Jet Loop Reactor with Activated Carton Supports)

  • 조무환;박종탁;이길호;류원률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41-246
    • /
    • 2002
  • 오늘날 섬유 염색공정에서 발생하는 염색폐수로 인해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한다. 염색폐수에는 난분해성의 EG, PVA, TPA, 여러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 완전하게 처리하기가 어렵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리화학적 처리와 활성오니공정의 처리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jet-loop reactor (JLR)와 물리화학적 처리를 결합한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였다. JLR의 부피산소전달계수는 air-lift 반응기에 비해 아주 우수하였다. 또한 좀더 효율적인 처리를 위하여 JLR에 활성탄 담체를 적용하여 (JLRAS) 실험하였다. 체류시간이 8시간일 때 BOD, $COD_{Mn}$, $COD_{Cr}$, 색도 제거율은 각각 99, 86, 84, 83%로 우수하였다. JLRAS 성능은 $COD_{Mn}$의 부하 변동에도 아주 빠르게 회복되었다. 2차 물리화학적 응집처리의 최적 응집제로는 폴리황산제2철이며 130 mg/L 투입하였을때 $COD_{Mn}$과 색도의 제거율은 자각 85, 73%였다. 결론적으로 이 공정으로 난분해성의 많은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운전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자외선 조사에 따른 모발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nge of Human Hair Shaft Following Radiation with Ultraviolet)

  • 장병수;나수경;이귀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2호
    • /
    • pp.109-118
    • /
    • 2006
  • 자외선 B를 사람의 두피에서 채취한 모발에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동안 각각 조사한 후 모발의 미세구조적인 변화 과정과 모발 단백질의 분해에 의한 원소 성분의 함량 변화를 전자현미경 및 에너지분산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에 6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모발 표면은 중첩된 큐티클층이 분리되어 있거나 부러져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큐티클세포의 내큐티클에는 직경이 30nm에서부터 700nm크기의 공포를 형성하고 있었다. 자외선에 12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피질은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는 각화세포의 세포막이 파괴되어 공포가 형성되었는데 공포는 세포막을 따가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었다. 또한, 멜라닌 과립과 접촉하고 있는 거대원섬유에서 공포가 형성되어 멜라닌 과립과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에도 멜라닌 과립의 모양이나 크기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외선에 24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큐티클세포들은 절단된 상태로 관찰되었고 세포질의 내큐티클에 형성된 공포들은 인접해 형성된 공포들과 융합되었다. 자외선에 48시간 조사된 모발은 표면이 거칠게 나타났고, 큐티클의 안쪽 층에 있는 세포에서부터 형성된 공로로 인해 위쪽에 있는 큐티클 세포는 들뜨면서 조각나 떨어져 나갔다. 자외선 조사를 받아 손상된 모발의 원소성분을 에너지 분산 분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정상모발 보다 산소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황의 성분은 감소되었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quid Infant Formula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 Seo, Chan Won;Hong, Shik;Shin, Yong Kook;Kang, Shin 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95-1007
    • /
    • 2018
  •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ady-to-feed liquid infant formula (LIF)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10, 20, 30, and $40^{\circ}C$) for 6 mon, focusing on 5-hydroxymethylfurfural (HMF) content, color, pH, fat globule size distribu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The HMF content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LIF stored at $40^{\circ}C$ had a higher HMF content than that of LIF stored at $10^{\circ}C$. The lightness ($L^*$) decreased while redness ($a^*$) and yellowness ($b^*$) increased with increasing HMF content. The fat globule size and pH of LIF stored at $10^{\circ}C$ did not change. However, in the case of LIF stored at $30^{\circ}C$ and $40^{\circ}C$, the fat globule size increased and the pH decreased during storage for 6 mon. LIF stored at $40^{\circ}C$ had a higher apparent viscosity (${\eta}_{a,10}$) than that of LIF stored at $10^{\circ}C$, and the shear-thinning behavior of LIF stored at higher temperature was stronger than that of LIF stored at low temperature.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LIF during storage were accelerated by Maillard reaction (MR)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s. Therefore, even if LIF is aseptically manufactured, we recommend that sterilized LIF should be stored at low temperature in order to minimize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새싹보리, 레몬밤 및 녹차 첨가 쿠키의 이화학적 항산화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prepared using Powders of Barley Sprout, Lemon Balm, and Green tea)

  • 최예진;김은경;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59-466
    • /
    • 2020
  •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prepared using powders of barley sprout (BS), lemon balm (LB), and green tea (GT) were studied. The same dough density was maintained in all the sampl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natural ingredients containing antioxidants were adde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appearance of cookies compared to the control. LB and GT cook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Control showed the lowest antioxidant effect when assessed wit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th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order of BS, LB, and G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T was 7 times higher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The antioxidant activity assessed us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lso showed results similar to that seen with DPPH. G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otal phenol content, about 2-3 times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GT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flavonoid content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us, the addition of natural antioxidant ingredients such as sprout barley, lemon balm and specifically green tea, in the preparation of cookies, resulted in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with similar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cookies that are competitive in terms of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ly active functions.

수분-열처리한 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Modific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 by Heat-Moisture Treatment)

  • 김수경;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1-7
    • /
    • 1990
  • 멥쌀 전분(아끼바레, 용문벼, 태백벼, 미국쌀)과 찹쌀 전분의 수분을 27 %로 조절하여 $100^{\circ}C$에서 16시간 열처리한 후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쌀 전분 입자는 다면체로 표면이 부드럽고 매끈하였으며 수분-열처리하면 크기가 약간 커졌고 X-선 회절도로 부터 얻은 결정형은 모두 A형이었다. 수분-열처리하면 쌀 전분의 비중은 $1.03{\sim}1.09$로 감소했고, 물결합 능력은 멥쌀 전분은 증가하였으나 찹쌀 전분은 약간 감소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팽화력과 용해도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일정 온도에서 수분-열처리 전분의 용해도는 증가했으나 팽화력은 감소하였다. 광투과도에 의한 호화개시 온도는 아끼바레, 용문벼, 태백벼 전분은 $60{\sim}65^{\circ}C$였고 찹쌀 전분은 $55{\sim}60^{\circ}C$, 미국쌀 전분은 $70{\sim}75^{\circ}C$였으며 수분-열처리시 호화개시 온도는 상승하였다.

  • PDF

딸기 과즙의 수율과 딸기 발효주의 품질에 대한 pectinase 처리의 영향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Extraction Yield of the Juice of Fragaria ananassa Duc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Wine during Ethanolic Fermentation)

  • 정은정;김민화;김용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2-78
    • /
    • 2010
  • 저에탄올 딸기 발효주 제조를 위한 딸기 과즙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4종의 pectinase를 이용하여 효소처리시 최적조건을 설정하였으며, 발효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에탄올함량, anthocyanin 색소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4종의 pectinase를 1,000 ppm의 농도로 30, 60분간 처리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 Viscozyme L 효소를 1,000 ppm에서 30분간 처리시 수율이 81.7%로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수율이 18.9% 증가하였다. 에탄올 발효시 효소처리에 따른 이화학적인 특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에탄올함량의 경우도 pectinase 처리에 의한 함량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 과즙의 주요 색소는 cyanidin-3-glucoside와 pelargonidin-3-glucoside로 검출되었으며, 발효기간 중 효소처리구의 색소 함량이 대조구보다 약간 낮았고, 두 처리구 모두 발효 기간에 따라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딸기발효주의 색도 유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