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work factors

검색결과 648건 처리시간 0.029초

치과위생사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통증의 영향요인 (Dental Hygienists Work on the Impact of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 김민아;서화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58-565
    • /
    • 2012
  •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중요한 직업병 중 하나이며, 이는 치과의료 직종도 예외일수는 없다. 치과위생사는 주로 장시간 서서 진료를 하거나 머리와 목을 구부리고 어깨와 손을 많이 틀면서 움직이거나 부적절한 자세로 진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더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위험에 대한 노출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과 관련하여 근골격계의 부위별 통증의 유무와 업무분야별 통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 중 268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연구대상자들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통증 정도를 분석해 본 결과, 어깨 90.3%, 목 89.2%, 다리 83.6%, 허리 81.7%, 손/손목/손가락 75.7%, 팔/팔꿈치 52.8%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들의 업무영역에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연구결과, 외과업무의 경우 목, 허리, 다리, 어깨, 손, 팔로 나타났으며 보철업무의 경우 어깨, 다리, 손, 목, 허리, 팔로 나타났다. 교정업무의 경우 목, 어깨, 손, 허리, 다리, 팔로 나타났고 접수의 경우 목, 어깨, 허리, 다리, 손, 팔로 나타났다. 모든 치료의 경우 어깨, 허리, 목, 다리, 손, 팔로 나타났다. 여기서 나타난 것처럼 연구대상자들이 주로 하는 진료에 대한 근골격계 통증이 신체부위별로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변인에 대한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신장이 큰 연구대상자들에게 허리와 어깨의 통증이 많았고 체중이 적게 나가는 연구대상자들은 목과 팔의 통증이 높았다. 연령은 29~33세는 어깨, 34세 이상에서는 팔/팔꿈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근무환경은 경력이 높아질수록 손/손목/손가락은 통증이 증가하였고(p<0.05) 목과 어깨(p<0.05), 팔(p<0.01), 허리는 3~4년의 경력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다리/발은 1~2년의 경력에서 통증경험이 높았다. 근무시간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목에 대한 통증이 높아진다고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손/손목/손가락에서는 근무시간이 적을 때 높은 통증경험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더욱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근무처에 따라서 분과병원에서는 손/손목/손가락에서 높은 통증경험율을 나타냈고(p<0.05) 중소치과에서는 다리/발에서 높은 통증경험률을 나타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은 평균이상으로 많으며 이 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경각심을 느껴야 한다고 보여진다. 근골격계 질환은 초기에 발생되면 간단하게 치료받을 수 있지만 누적되어서 오랫동안 방치되었을 때는 이미 정상으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통증이 나타나거나 피로가 쌓일 경우 즉시 치료를 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응대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파프리카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적용을 위한 재배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Hazard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on Paprika During Cultivation)

  • 남민지;정도영;심원보;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3-282
    • /
    • 2011
  • 본 연구는 파프리카 GAP 모델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서부경남에 소재한 파프리카 농장 3곳을 선정하여 파프리카의 재배단계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및 물리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생물학적 위해요소는 식물체, 재배환경, 개인위생 및 작업도구를 대상으로 위생지표세균 및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조사하였으며, 화학적 위해요소는 중금속 (재배환경 및 파프리카)과 잔류농약 (파프리카), 물리적 위해요소는 물리적인 위해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먼저 재배단계에서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결과 위생지표에서 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가식부인 파프리카에의 오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양액 및 원수에 대해서는 오염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확 된 파프리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바구니, 천막 및 작업자의 손 등에서는 최대 6.6 및 3.l log CFU의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교차오염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은 B. cereus만 1.5 log CFU 이하의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공중낙하균은 1.4 log CFU 이하로 검출되었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Cd, Pb, Cu, Cr, Zn, Ni 및 As)과 잔류농약은 재배환경 및 파프리카에서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다른 위해요소들에 비해 위험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경우에 따라서 위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파프리카의 재배단계에서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작업도구 및 개인위생에서 대장균군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됨에 따라 파프리카로의 교차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학적 및 물리적 위해요소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허용기준치 이하로 농약과 중금속이 검출되고 위해가 큰 이물이 발견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농약안전사용기준의 준수 및 재배환경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 등은 필히 요구된다.

W/O Microemulsion 세정제의 물성 및 세정성 평가 (Evaluation of Cleannes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O Microemulsion)

  • 이명진;한지원;이호열;한상원;배재흠;박병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0권6호
    • /
    • pp.769-777
    • /
    • 2002
  • Nonionic surfactant/water/탄화수소 오일/alcohol의 4성분계 시스템에서 12종의 조성물을 제조하여 물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30.5-31.1 dyne/cm의 낮은 표면장력의 값과, 1.6-7.2 c.p.의 낮은 점도의 물성을 보여 산업용 세정제로서의 기본 물성을 보여주었다. 이들 조성물들이 안정한 단일상으로 존재하는 온도의 범위는 alcohol/surfactant(A/S)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계면활성제의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HLB) 값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HLB 값이 높을수록 안정하게 존재하는 온도 영역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조성물에 물의 함량을 증가 시켜 안정한 단일상이 유지되는 물의 최대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HLB 값이 낮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HLB 값이 6.4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22.1%까지도 물을 함유할 수 있었고, 물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서 단일상으로 존재하는 온도영역은 좁아졌다. 오염원으로 플럭스 제조에 사용되는 abietic acid에 대한 세정 효율을 UV/Visable Spectrophotometer와 FT-IR Spectrometer와 같은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검토하여 본 결과,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HLB 값이 낮을수록 높은 세정 효율을 보여주어, W/O microemulsion의 경우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따른 세정력의 변화가 매우 큼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A/S의 비가 증가에 따른 세정효율의 차이는 별다른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산업세정에 있어서 중요한 세정 요소로 작용하는 변수인 온도 변화와 초음파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세정효율을 측정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초음파의 주파수가 낮을수록 높은 세정력을 보여주었다. 세정 공정 중 린스조에서의 유분 오염물이 함유된 린스액의 유수분리 효율을 측정한 결과, HLB 값이 6.4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시스템의 경우 $25^{\circ}C$ 이상에서 85% 이상의 높은 제거 효율을 보여, 효율적인 세정 및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방사선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Image of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엄종권;신성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1호
    • /
    • pp.25-33
    • /
    • 2012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방사선사 이미지를 조사하여 전문직업인으로서의 방사선사 이미지 향상과 위상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3, 4년제 5개 대학의 보건계열학과 중 임상실습을 이수한 보건계열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에서 2011년 8월 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자료가 불충분한 17명을 제외한 총 233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ver 9.1)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을 시행한 결과 대상자들의 방사선사 전체 이미지는 $3.33{\pm}0.46$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개인적 이미지가 $3.43{\pm}0.56$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적 이미지가 $3.12{\pm}0.58$점으로 가장 낮았다. 문항별로는 '전문직이다'가 $3.99{\pm}0.79$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하기 쉽고 스트레스가 없는 직업이다'가 $2.88{\pm}0.98$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과별로는 방사선과가 $3.46{\pm}0.46$점으로 가장 높았고 물리치료과가 $3.24{\pm}0.40$점으로 가장 낮았다. 방사선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제, 대중매체를 통한 방사선사 보도 청취 여부, 실습 시 방사선사와의 직접적 교류 여부, 방사선사 위치 등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과 대중매체를 통하여 방사선사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를 향상 시키고 방사선사 개인의 능력과 전문성을 길러 의료기관내 위상을 높임으로서 방사선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 될 수 있게 노력하여 향후 방사선사가 전문 직업인으로 발전되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 (K-WEL)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 (K-WEL))

  • 김희숙;송영숙;권소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1609-1619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개발 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45명이 99문항의 WEL (wellness evaluation of lifestyle)을 작성하였고, SPSS WIN 22.0와 AMOS 18.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는 71문항, 14개 하위척도로 구성되었다. 각 하위척도는 4개의 요인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질적 자기, 사회적 자기, 신체적 자기, 적응적 자기, 모델의 적합도는 ${\chi}^2=225.12$, p<.001, CMIN/DF=3.17, RMSEA=.08, NFI=.87, IFI=.91, CFI=.91로 나타났다. 도구의 집중타당도를 평가한 결과 기각비 (C.R.)는 2.95~16.84로였고, 표준분산추출 (AVE)도 .61~.69로 수용 가능하였다. 하위척도의 내적 일치도 Cronbach's ${\alpha}$는 .55~.87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형 웰니스 생활양식 측정도구가 한국인의 웰니스를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에 타당하고 신뢰성있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증.개축에 따른 도시한옥 공간사용 방식의 변화에 관한 실태 조사연구 - 서울시 도시한옥의 DK화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Change of Spatial Usage though Enlargment and Remodeling of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 Focused on Dining-Kitchen conversion of seoul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

  • 김석우;구수영;김용범;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11-118
    • /
    • 2009
  •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are a type of habitation that happened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modernization of habitation had progressed in 1930s, and also a habitation folding societal trails that had adapted and developed into urbanization together with the native trait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s. Because they keep our style of living and the process of change just as they were, it is important work to shed light on and keep a record of it. So, this thesis arranges the contents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living, and may try to reason by analogy the changing style of residents' living through the change of space composition and the way of space usage for the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that were changed by extension and remodeling of residents. As the concrete matters, it is to grasp the physical and spatial change of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in accordance with extension and remodeling, and to analyze in which part and how they had been changing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ving style, and especially the change toward a stand-up type of k stand-and the following traits and factors of the change toward Dining-Kitchen. The kitchen changed toward Dining-Kitchen shows some typical discrepanc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kitchen as like a case of changing toward Dining-Kitchen from the existing location, a case of extending into the rear side of kitchen, a case of switching of location between kitchen and the inner room, and a case of changing toward Dining-Kitchen from the location of a room across from the main living room. As kitchen changed toward Dining-Kitchen like these, it shows that the connecting trace into the inner room came out, each room came to show a bit clearer function but grow smaller relation with the threshing ground, and also the function of the threshing ground came reduced.

Dietary Problems among Middle-Aged Japanese Men

  • Yoshita, Katsushi;Miura, Katsuyuki;Nishijo, Muneko;Morikawa, Yuko;Yoshiike, Nobuo;Nakagawa, Hideaki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05-111
    • /
    • 2003
  • Balanced intake of appropriate nutrients is the key to sustaining and promoting health as well as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s. It is not always easy, however, to take balanced nutrition and various related factor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report provides a summary of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nutrient intakes of Japanese middle-aged men and the relationship of this intake to drinking, job-related separation from families, and health practices. The alcohol consumption of Japanese middle-aged men has more than tripled in the last forty years. When nutrient intake was examined in relation to alcohol consump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maximum acceptable alcohol consumption was approximately 23 grams (about two drinks) of pure alcohol, provided the level of nutrient intake for drinkers was equal to that of non-drinkers. The alcohol energy ratio was approximately 5%. It was also discovered that middle-aged men's eating habits deteriorate when they relocate to new posts without their families and live by themselve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their families, a higher proportion of those living alone have unfavorable eating habits including skipping breakfast or lunch, having a late lunch, and eating and drinking after dinner until bedtime. When Breslow's seven health practices, nutrient intake, and consumption weight by food group were examined, it was discovered that the group that had many beneficial eating and living habits consumed plenty of legume, pulses, fruit, green yellow vegetables and milk products. Their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was high and the results of a physical examination proved to be excellent. According to nutrition surveys conducted in Japan, China,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using a 24-hour recall method with common protocols and strict controls to ensure high levels of accuracy and cross-study validity, the Japanese had the highest cholesterol intake and the lowest dietary fiber intake among the four countries. Also, the alcohol energy ratio of the Japanese exceeded 8%, the highest among the four countries, while their intake of magnesium and iron was the low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nutritional education for middle-aged men and to reinforce the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they live and work in order to promote proper diet and nutrition in Japan. (J Community Nutrition 5(2) : 105-111, 2003)

치과기공사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 연구 (The Multilevel Analysis for Factors e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ental Technicians)

  • 이태용;김원수;이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25-3634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치과기공사의 건강 위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대전지역 30개 치과기공소와 해당 업체에 근무하는 치과기공사 141명으로 하였으며, 2011년 12월 20일부터 2012년 1월 31일까지 작업환경을 측정함과 동시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건강지수 총점은 개인수준 요인인 근무시간과 흡연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체적 건강지수는 개인수준 요인인 흡연상태와 운동습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신적 건강지수는 개인수준 요인인 근무시간과 흡연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수준의 예측변수에서는 유의미한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치과기공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집단수준 요인보다 개인수준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실 근로자들의 실내공기질 인식에 관한 기초 조사 (K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university office worker's perception of indoor air quality (Focused on K university))

  • 신은영;김광희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69-76
    • /
    • 2017
  •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 IAQ)은 실내에 상주하는 이용자의 심신에 영향을 주는 공기의 질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보통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건물 내부의 공기상태이다. 과거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실내에서 거주하는 시간이 증가하였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사무실 근로자의 경우, 하루의 약 97%인 23시간 12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오랜 시간 거주하는 근로자의 특성상 실내공기질은 건강뿐 아니라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 사무공간의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미국의 냉동공조학회(ASHRAE)의 권고 사항처럼 1시간에 6회 이상의 공기 교환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질 높은 쾌적함을 위해서 온습도 및 기류까지 고려한 환기시스템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 또 외기공기 유입을 막아 무조건적인 에너지 비용의 저감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환경 제공을 통해 기대되는 근로자의 의료비 절약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수익 발생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웹 기반 고 에너지 방사선에 대한 흡수선량 교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Dosimetry Calibration Program for High Energy Radiation)

  • 신동오;신동호;김성훈;박성용;서원섭;안희경;강진오;홍성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3호
    • /
    • pp.116-124
    • /
    • 2005
  • 고 에너지 광자선과 전자선의 흡수선량 결정에 대한 표준측정법은 공기커마 교정인수를 바탕으로 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복잡한 수식과 물리적인자의 불확실성 등으로 정확도 향상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 국제원자력기구와 미국의학물리학회에서 물 흡수선량을 기반으로 표준측정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원자력기구의 IAEA TRS-398 과 미국의학물리학회의 AAPM 7e-51 물 흡수선량 표준측정법에 대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선량교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온라인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C$\#$ 언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표준측정법의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기준점에서의 두 가지 절차서에 따른 물 흡수선량을 비교할 수 있으며, 국내 각 기관에서 수행된 선량교정의 추세를 이해하고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차후 국내 실정에 적합한 물 흡수선량 표준에 기반을 둔 표준측정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