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zard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on Paprika During Cultivation

파프리카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적용을 위한 재배단계의 위해요소 분석

  • Nam, Min-Ji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partment of HACCP Promotion Daejeon) ;
  • Chung, Do-Ye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him, Won-Bo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ung, Duck-Hwa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남민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ACCP지원사업단) ;
  • 정도영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정덕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1.09.01
  • Accepted : 2011.09.0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d hazards which may cause risk to human at farm during cultivation stage of paprika. Samples of plants (paprika, leaf, stem), cultivation environments (water, soil), personal hygiene (hand, glove, clothes), work utensils (carpet, basket, box) and airborne bacteria were collected from three paprika farms (A, B, C) located in Western Gyeongnam, Korea. The collected samples were assessed for biological (sanitary indications and major foodborne pathogens), chemical (heavy metals, pesticide residues) and physical hazards. In biological hazards, total bacteria and coliform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1.9~6.6 and 0.0~4.610g CFU/g, leaf, mL, hand or 100 $cm^2$, while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In major pathogens, only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at levels of ${\leq}$ 1.5 log CFU/g, mL, hand or 100 $cm^2$, while Staphylococu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O15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 Heavy metal and pesticide residue as chemical hazards were detected at levels below the regulation limit, physical hazard factors, such as insects, pieces of metal and glasses, were also found in paprika farms. Proper management is needed to prevent biological hazards due to cross-contamination while physical and chemical hazards were appropriate GAP criteria.

본 연구는 파프리카 GAP 모델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서부경남에 소재한 파프리카 농장 3곳을 선정하여 파프리카의 재배단계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및 물리적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생물학적 위해요소는 식물체, 재배환경, 개인위생 및 작업도구를 대상으로 위생지표세균 및 주요 병원성 미생물을 조사하였으며, 화학적 위해요소는 중금속 (재배환경 및 파프리카)과 잔류농약 (파프리카), 물리적 위해요소는 물리적인 위해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먼저 재배단계에서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결과 위생지표에서 균인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경우 가식부인 파프리카에의 오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양액 및 원수에 대해서는 오염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확 된 파프리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바구니, 천막 및 작업자의 손 등에서는 최대 6.6 및 3.l log CFU의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교차오염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은 B. cereus만 1.5 log CFU 이하의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공중낙하균은 1.4 log CFU 이하로 검출되었다. 화학적 위해요소인 중금속(Cd, Pb, Cu, Cr, Zn, Ni 및 As)과 잔류농약은 재배환경 및 파프리카에서 모두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물리적 위해요소는 유리조각, 캔 등의 일반쓰레기나 경작지 폐기물 등으로 다른 위해요소들에 비해 위험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경우에 따라서 위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파프리카의 재배단계에서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경우 작업도구 및 개인위생에서 대장균군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됨에 따라 파프리카로의 교차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학적 및 물리적 위해요소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허용기준치 이하로 농약과 중금속이 검출되고 위해가 큰 이물이 발견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농약안전사용기준의 준수 및 재배환경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 등은 필히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선욱, 이시경, 경석헌, 박길동, 강희곤, 박주성. 파프리카 추출물의 색소안정성과 Ethoxyquin 및 잔류용매 검출.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5, 77-83 (2002).
  2. 조명숙, 이진숙, 홍진숙. 파프리카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 333-339 (2008).
  3. Beltran, J., Ghish, A. K. and Basu, S. 2007. Immunotherapy of tumors with neuroimmune ligand capsaicin. J. Immumol. 178, 3260-3264.
  4. 정승혜, 허명제, 주정화, 김경애, 오성숙, 고종명, 김용희, 임정수. 비가열 섭취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1, 250-257 (2006).
  5. 오덕환.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확보방안.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3, 35-41 (2004).
  6. 유용만, 윤영남, Quan Juan Hua, 차광호, 이영하. 유통중 인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의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포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174-181 (2009).
  7.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의 발생동향 (2011)
  8. 강호민. 김일섭. 품종별 숙기별 파프리카 과실의 수확 후 생리 및 품질 비교.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논문집. 18, 61-66 (2007).
  9. 박희옥, 김창민, 우건조, 박선희, 이동하, 장은정, 박기환.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식중독 모니터링 및 추이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280-294 (2001).
  10. Seo JE, Lee JK, Oh SW, Koo MS, Kim YH, Kim YJ.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e microorganisms. J. Fd Hyg. Safety 22: 288-293 (2007)
  11. Kim, S. Y. Implementation of GAP and its implications for food labeling and certification policies. Agri. Life Sci. 38, 21-32 (2004).
  12. Chung, D. H.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of vegetables and their safety. Kor. J. Hort. Sci. Technol., 25, 42 (2007).
  13. Lee, Y. M., Kang, J. I. and Hwang, G. C.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GAP system and future policy direction. Agri. Life Sci. 39, 15-30 (2005).
  14. Yu, Y. M., Oh, S. C., Sung, B. J., Kim, H. H., Lee, Y. H. and Youn, Y. N. Analysis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in panax ginseng C.A. ma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15, 220-226 (2007).
  15.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Seoul (2008).
  16. 환경부. 토양오염공정시험법. 고시 2009-225 (2009).
  17.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고시 2008-188 (2008).
  18.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유해금속시험법
  19. Kim, K.Y., Song, J. E., Heo, R. W., Lee, W. G., Nam, M, J., Kim, J. S., Shim, W. B., Gil, J. G., Jung, C. S., Park, K. Y. and Chung, D. H. Microbial Assessment of Hot Pepper Farms for Application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of Hot Pepper. J. Agriculture & Life Science. 44, 121-132 (2011).
  20. RDA. GAP 인증심사원교육 교재.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21. Bell, W. A., and R. F. Marpuis. Adapt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and Enterococcus hirae to acid stress in continuous culture. Appl. Environ. Microbiol. 57, 1134-1138 (1991).
  22. Hatakka, M., K. J. Bjorkoth, K. Asplund, N. Maki-Petays, and H. J. Korkeala. Genotypes and enterotoxic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the hands and nasal cavities of flight-catering employees. J. Food Prot. 63, 1487-1491 (2000).
  23. Kim, J. S., W. B. Shim, J. H. Kim, S. R. Kim, and D. H. Chung. Sanitary microbial distribution at the tomato farms in Western Gyengnam. Kor. J. Env. Hlth. 32, 77-88 (2006).
  24. 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우려물질에 대한 권장규격 (2007).
  25. 환경부. 지하수의 수질기준 (2003).
  26. 환경부. 먹는 물의 수질기준 (2009).
  27. 식품의약품안전청. 농약잔류허용기준. 식품공전 (2009).
  28. 농촌진흥청. 일본수출 채소류 농약안전사용 지침 (2009).
  29. 농산물품질관리원. 농산물 전처리에 적용될 수 있는 HACCP Manual 개발. 최종보고서 (2004)
  30. 박경진. 1998-2008 발생한 식품안전관련 사건.사고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162-16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