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ragmites communis Trini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3초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ius) 성숙종자를 이용한 기내 식물체 재분화와 재분화체의 유전적 다양성 (Plant Regeneration and Genetic Diversity of Regenerants from Seed-derived Callus of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류재혁;김은환;소현수;정미영;송원섭;배창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20-327
    • /
    • 2013
  • 활용가치가 높은 부존식물자원인 갈대의 기내 번식을 통한 배양체계를 확립하고 재분화 식물체들의 유전적 다양성을 검토한 결과, 성숙종자 유래의 캘러스를 통한 기내 식물체 재분화는 N6배지에서 MS배지보다 양호하였고, 0.25~0.5 mg/L의 BA를 포함한 N6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ISSR 마커를 이용하여 재분화 식물체의 유전적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검출된 총 94 유전좌중 유전적 다형성은 17%였고, 평균 유전자다양도 값(h)은 0.03, BA 5 mg/L를 포함한 N6배지에서 0.008, NAA 0.1 mg/L와 kinetin 2 mg/L를 포함한 MS 배지에서 0.040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재분화된 갈대식물체 개체간에 유전적으로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균일하며, 유전적 다양성 진단에 ISSR 마커가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갈대 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Phragmites communis Extract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강창희;김상철;정상철;한웅;이승영;유상미;진현미;김영수
    • 생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73-279
    • /
    • 2016
  • This study evaluates the tyrosinase, elast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isolated Lactobacillus rhamnosus fermented extracts of Phragmites communis Trinius. After culture for 4 days at $30^{\circ}C$ using 1% P. communis extract, the cell mass of L. rhamnosus reached $1.4{\times}10^{10}CFU/mL$. The number of cells on P. communis extract and MRS medium was similar. This results indicated that P. communis extract can be used as an economical medium for industrial lactic acid bacteria production. The fermented P. communis extract exhibited 4 fold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than non fermented P. communis extract. The non fermented P. communis extract has no inhibitory effect on elastase. However the fermented P. communis extract show high inhibitory effect on elastase ($IC_{50}$; $249{\mu}g/m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rmented P. communis extract can potentially be used for developing new cosmetic or health food ingredients.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ius.)의 종자배양에 있어서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eed Culture of Reed)

  • 김용구;김경희;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9-234
    • /
    • 2011
  • 갈대의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확립하였다. 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1.0 mg/L 2,4-D와 0.5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cytokinin류인 BA와 kinetin이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서 59.6%로 높은 재분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성숙종자로부터의 고효율 재분화 시스템은 유전자 형질전환기술을 이용한 신품종 갈대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II. 시비가 생육시기별 갈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voty of the Native Reed (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II.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productivity of the native reed during the period of vegetation)

  • 전우복;윤창;노순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4-30
    • /
    • 1986
  • 간석지(干拓地)에 자생(自生)하는 갈대 식생군락(植生群落)에 무비구(無肥區)와 시비구(施肥區)를 설치하여 5월(月)부터 10월(月)까지 월별(月別)로 초장(草長), 엽경비(葉莖比) 및 생산량(生産量)을 측정하고, 시료(試料)를 채취한 후 사료성분(飼料成分) 및 in 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을 추정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비(施肥)에 의하여 갈대의 초장(草長) 및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는 한편 식물체(植物體)의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in vitro 건물소화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는데 반(反)해 ADF 함량(含量)이 감소하였다. 2. 상관계수(相關係數)의 유의성(有意性) 검정(檢定)결과 생육시기(生育時期) 초장(草長), 수량(收量), crude fiber 및 ADF함량(含量)과 in vitro 건물소화율간(乾物消化率間)에는 부(負)(-)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고, 엽경비율(葉莖比率) crude protein 및 crude fat 함량(含量)과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다(P<0.05).

  • PDF

갈대 생산력에 관한 연구 I. 생육시기에 따른 생산성의 변화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the Native Reed (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during the period of Vegetation)

  • 전우복;윤창;이준연;박종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9-97
    • /
    • 1983
  • 전남지역(全南地域)의 간척지(干拓地), 간사지(干潟地) 및 하천제방(河川堤防) 등에 널리 자생(自生)하고 있는 갈대에 대(對)하여 1982년(年) 5월(月)부터 동년(同年) 10월(月)까지 전남 영암군 군서면 해창리, 함평군 학교면 곡창리, 광양군 진월면 망덕리 지역(地域)의 간척지(干拓地), 하천제방(河川堤防) 및 간석지(干潟地)를 중심(中心)으로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지역별(地域別) 수량(收量), 영양소(營養素) 함량(含量) 및 in-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갈대의 초장(草長)은 5월(月)과 6월(月)에 급속(急速)히 신장(伸長)하였고, 건물수량(乾物收量)은 9월(月)까지 증가(增加)한 후(後) 감소(減少)하였다. 2. 갈대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含量)과 in-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감소(減少)하였고 섬유소(纖維素)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3. 갈대는 생육지역(生育地域)에 따라 일반성분(一般咸分), $SiO_2$, Ca 및 P 함량(含量)에 상당한 차이(差異)가 나타났다. 4. 갈대의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含量)과 섬유소(纖維素) 함량(含量) 사이에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고, 조단백질(粗蛋白質)과 in-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in-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 섬유소(纖維素) 함량(含量)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 PDF

농촌배수처리용 습지의 생물상 및 유기물 제거율 (Distribution of Biota and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in Natural Wetland)

  • 김범철;전만식;정근;정연숙;황길순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07-414
    • /
    • 1999
  • 농촌배수처리용 자연습지내의 생물상 및 유기물 제거효율을 조사하였다. 습지내에서 출현한 수생식물의 종조성은 13과 22종으로 나타났으며, 현존량이 가장 많은 종은 갈대로 약 35%, 고마리, 애기부들, 가막사리 및 돌피가 12~19%의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나머지가 1%를 차지하였다. 습지 내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은 복족강, 빈모강, 거머리강, 거미강, 갑각강, 곤충강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 곤충강이 7목 18과로 나타났다. 채집된 개체수로는 곤충류가 76%, 비곤충류가 24%로 곤충류의 개체수가 현저히 많았다. 이중 깔따구류(Chironomidae)는 58%를, 빈모류는 19%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곤충류의 과(family)수는 파리목에서 7과로 가장 많았다. 많은 모기와 깔따구의 유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습지가 모기의 좋은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습지로 유입되는 유입수 BOD및 DOC 농도는 각각 1.8~13.4 mgO$_2$/l, 2.6~22.8mgC/1의 큰 변이 폭을 보였으며, 습지 내에서 수생식물에 의한 연순생산력은 3,350 kg dry wt./yr로 나타났다. 습지에 의한 BOD 제거효율은 약 50%로 나타났으나, DOC는 거의 제거되지 않았다. DOC의 제거효율이 낮은 이유는 습지내 수생식물의 고사체 분해에 의해 난분해성 DOC가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에서 최적 수생식물의 선정 (Selection of Optimum Water Plant in Constructed Wetland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for Municipal Sewage Treatment)

  • 서동철;장병일;조인성;임석천;이홍재;조주식;김홍출;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5-33
    • /
    • 2006
  • 농어촌 등 소규모로 발생되는 생활하수를 자연친화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인공습지에 적용되는 최적의 수생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다년생 수생식물 10종을 하수처리장에 식재한 후 하수 처리효율, 처리시기별 수생식물의 생육상 및 무기성분 흡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에서 하수중 BOD, COD, T-N 및 T-P의 수처리효율은 호기성조를 통과한 호기성조 처리수에서 각각 92%, 74%, 25% 및 57%이었고, 혐기성조를 통과한 방류수에서 각각 96%, 84%, 44% 및 71%이었다. 수생식물 생육 150일 후의 질소 및 인 흡수량은 호기성조에서는 물억새가 각각 17.7 및 2.41 g/plant로 가장 높았으며, 혐기성조에서는 큰고랭이가 각각 8.7및 1.1 g/plant로 가장 높았다.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의 호기성조에서 최적 수생식물은 물억새>달뿌리풀>갈대의 순이었고, 이들 수생식물은 대부분 뿌리의 발육이 좋은 심근성 수생식물이었고, 여재층 내로 산소를 공급하기 쉬운 통기조직이 발달된 수생식물들이었다.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의 혐기성조에서 최적 수생식물은 줄>큰고랭이>부들>노랑꽃창포>삿갓사초의 순이었고, 이들 수생식물은 대부분 뿌리의 발육보다 줄기와 잎의 발육이 좋은 천근성 수생식물로서 호기 성조의 최적 수생식물의 역할과는 달리 영양물질의 흡수량이 우수한 수생식물이 선정되었다.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에서 수생식물의 영양염류 흡수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Nutrient Uptake by Water Pl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 강세원;서동철;최익원;이준배;임병진;박종환;김갑순;김상돈;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4-309
    • /
    • 2011
  • 본 연구는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인 복내 바이오파크 인공습지에서 수생식물에 의한 영양염류의 흡수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복내 바이오파크 인공습지내 주요 우점종은 달뿌리풀, 수련, 부들, 갈대 및 줄이었으며 최대건물생산량을 보인 8월의 주요 우점식생의 한 주당 건물생산량은 부들(54.27 g/plant) > 달뿌리풀(44.30 g/plant) ${\geqq}$ 갈대(39.60 g/plant) ${\geqq}$ 줄(37.80 g/plant) ${\fallingdotseq}$ 수련(36.75 g/plant) 순으로 높았다. 복내 바이오파크 인공습지내 수생식물의 질소 함량은 지상부의 경우 달뿌리풀, 수련, 부들, 갈대 및 줄이 각각 1.80~2.06%, 1.94~2.14%, 2.07~2.57%, 2.20~2.33% 및 2.20~2.33% 범위로 부들이 다른 수생식물에 비해 약간 높았으나 시기별로 큰 차이 없었으며 지하부의 질소 함�c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복내 바이오파크 인공습지내수생식물의 인 함량은 지상부에서는 달뿌리풀(9400~9900 mg/kg 범위) 및 지하부에서는 줄(4964~6452 mg/kg 범위)이 다른 수생식물에 비해 약간 높았으나 시기에 따른 수생식물의 인 함량은 큰 차이 없이 비슷하였다. 복내 바이오파크 인공습지내 수생식물의 최대 질소 흡수량은 8월에 달뿌리 풀이 773 mg/plant, 수련이 625 mg/plant, 부들이 1206 mg/plant, 갈대가 754 mg/plant 및 줄이 768 mg/plant 이었다. 수생식물의 최대 인 흡수량은 8월에 달뿌리풀이 397 mg/plant, 수련이 177 mg/plant, 부들이 411 mg/plant, 갈대가 261 mg/plant 및 줄이 229 mg/plant이었다. 복내 바이오파크 인공습지내 수생식물 중 부들의 영양염류 흡수량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시공시 습지특성에 맞는 최적의 수생식물을 선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III. 예취시기가 갈대의 재생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Native Reed (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III. Effect of cutting time on the regrowth and Feed composition of native reed)

  • 전우복;윤창;손문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8-83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시(開始)되는 시기(時期)는 예취회수(刈取回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에 따른 영향은 일정하지 않았다. 2. 예취회수(刈取回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은 감소하였으나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에 따른 차이(差異)는 없었다. 3. 월동후 1 차수량(次收量)은 예취회수(刈取回數)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에 따른 차이(差異)는 뚜렷하지 않았다. 4. 조단백질(粗蛋白質) 생산량(生産量)은 예취회수(刈取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많아졌으나 건물율(乾物率)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은 일정하지 않았다. 5. 건물수량(乾物收量)과 건물율(乾物率)($\gamma=0.78$) 및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gamma=0.82$)간(間)과 건물율(乾物率)과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gamma=0.83$)간(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p<0.01), 조단백질(粗蛋白質) 생산량(生産量)과 건물율(乾物率)($\gamma=-0.67$) 및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gamma=-0.68$)간(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었다(p<0.01).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건물생산(乾物生産)에 있어서는 년간(年間) 예취회수(刈取回數)는 3회(回)호 하고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은 9월(月) 30일(日)로 하는 것이 적당(適當)하다고 생각되며 조단백질(粗蛋白質) 수량(收量)을 고려한다면 4회(回) 예취(刈取)에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은 9월(月) 30일(日)로 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인공습지를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수생식물의 생육특성과 영양염류 흡수특성 (Growth Characteristic and Nutrient Uptake of Water Plants i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Livestock Wastewater)

  • 박종환;서동철;김성헌;이충헌;최정호;이상원;이동진;하영래;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1-358
    • /
    • 2012
  • 수생식물은 인공습지 오 폐수처리장에서 여재의 입단 형성을 촉진시켜 폐수의 투수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악취를 줄이고 미관상 혐오감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수처리효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수생식물여과조-활성슬러지-인공습지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시공한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수생식물의 생육특성 및 영양염류의 흡수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3차 수직 흐름조에는 갈대, 4차 수평 흐름조에는 노랑꽃창포 및 5차 수평 흐름조에는 갈대, 노랑꽃창포 및 부들을 2010년 7월에 이식하였으며, 축산폐수 처리시일을 1, 3 및 5개월로 구분하여 각 수생식물의 생육특성과 영양염류 흡수특성 조사하였다. 수생식물의 생육특성은 갈대, 노랑꽃창포 및 부들 모두 처리시일 3개월인 10월까지는 수생식물의 성장과 동시에 수생식물이 무성하게 퍼졌으며, 특히 노랑꽃창포의 경우 타 수생식물에 비해 생육이 매우 좋았다. 수생식물의 생육 5개월 후인 2010년 12월의 경우는 겨울철 식물의 고사로 인하여 수생식물의 생육이 저조하였다. 수생식물의 영양염류 흡수특성은 수생식물 이식 후 1개월까지 점점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이 크지 않았고, 수생식물 이식후 3개월 후인 가을철에는 수생식물의 질소 흡수량이 최대가 되었다. 그러나 수생식물 이식 후 5개월 후인 겨울철에는 수생식물의 고사로 인해 수생식물의 잎과 줄기가 고사하여 영양염류의 흡수량이 다시 감소하였다. 또한 수생식물 종별 영양영류의 흡수특성은 노랑꽃창포 ${\gg}$ 부들 > 갈대 순이었고, 특히 노랑꽃창포가 다른 수생식물에 비해 영양염류의 흡수량이 매우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