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llinus specie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초

영지, 상황버섯 주정추출물의 항당뇨 효능 (Anti-diabetic efficacy of the alcoholic extracts in Ganoderma sp. and Phellinus Baumi)

  • 조재한;박혜성;한재구;이강효;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6-329
    • /
    • 2015
  • 영지버섯과 상황버섯의 항당뇨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당뇨병에 negative regulator로 작용하는 PTP1B의 억제 활성을 살펴본 결과 영지버섯과 상황버섯이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타액의 ${\alpha}-amylase$는 타액과 췌장내에서 탄수화물의 소화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로 작용하며 이 효소를 저해시킴으로서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alpha}-amylase$ 억제활성정도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양성대조구와 비슷한 억제활성을 보였으며, 상황버섯은 89%로 Acarbose와 같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alpha}-glucosidase$는 다당류의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분해하는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에 필수적인 효소로 억제활성을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양성대조구와는 다르게 낮은 억제 활성을 보였다. 두 가지 소화효소에 모두 억제활성을 보이는 기존제품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5) - on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

  • Lee, Jin-Sung;Jung, Hack-Sung
    • Myc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166-175
    • /
    • 2006
  • A total of 149 species and 209 strains of Korean Aphyllophoral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Fungus Collection (SFC) were analyzed by taxonomic and phylogenetic methods. Among those examined fungal specimens, 9 genera Abundisporus, Antrodiella, Cyphellopsis, Dendrothele, Dichomitus, Laxitextum, Piloderma, Skeletocutis and Tubulicrinis, and 23 species, Abundisporus fuscopurpureus, Antrodiella semisupina, Auriporia pileata, Cantharellus subalbidus, Clavulina cinerea, Cyphellopsis confusa, Dendrothele acerina, Dichomitus campestris, Haplotrichum aureum, Heterobasidion annosum, Hyphoderma argillaceum, Hyphodontia tropica, Inonotus dryophilus, Ischnoderma benzoinum, Laxitextum bicolor, Phanerochaete radicata, Phellinus lonicericala, Piloderma byssinum, Skeletocutis nivea, Tomentella terrestris, Trametes elegans, Trametes tenuis, and Tubulicrinis accedens were confirmed as new to Korea and registered here with descriptions.

인공재배 상황버섯 재배종 Phellinus linteus 와 P. baumii 자실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폴리페놀 성분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extracts from artificially cultivated Sanghwang mushroom species, Phellinus linteus and P. baumii)

  • 민경진;윤봉식;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6
    • /
    • 2020
  • P. linteus(품종명: 고려상황, PLKS)와 P. baumii (장수상황, PBJS)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인공재배하여 얻어진 자실체를 70% 메탄올, 60% 에탄올, 열수추출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측정 시 함량은 60%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에탄올을 용매로 PLKS와 PBJS의 자실체를 추출하여 농도별로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 (3-ethylbis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LKS와 PBJS는 거의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자실체가 균사체보다 2-3배 이상 높은 항산화 활성이 측정되었으나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분석에서는 자실체와 균사체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PLKS와 PBJS의 자실체 ethyl acetate 분획물을 HPLC 분석한 결과 styrylpyrone 계 폴리페놀 성분인 davallialactone, hispidin, hypholomine B, inoscavin A를 검출할 수 있었으나 균사체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자실체 특이적인 화합물인 것을 확인하였다.

약용버섯의 계통분류 및 국내유통 Inonotus속내 종간 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edicinal mushroom and taxonomical positions of their commercial products)

  • 김성윤;정민정;김기영;박재민;김문옥;문동오;이태호;이재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2-59
    • /
    • 2005
  • 국내유통약용버섯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이들 속 및 종간의 유연관계확립을 위하여 계통학적 정보를 지니고 있는 ITS부위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ITS1과 ITS2부위의 다양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립하였고, 시판 I. obliquus 종의 진위여부와 계통분류학적인 유연관계 확립 및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약용버섯으로 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6개의 속(Phellinus, Inonotus, Sparassis, Fomes, Ganoderma, Hericium)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상황버섯과 최근 들어 수입양이 급증하고 있는 차가버섯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일명 차가버섯으로 유통 중인 15개 제품 중 중국에서 수입되어진 59번 균주가 P. pini로 확인되었으며 일본에서 수입되어진 51, 52번 균주가 P. baumii와 P. linteus와 유사종 혹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I. rheades(AY237731)와 I. radiatus(AY354217) 및 F. fomentarius(AY354213)는 NCBI 등록 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실험에서 조사되어진 30번 균주 F. fomentarius가 정확한 말굽버섯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ungal Biodiversity in Cardamom Protected Forests and Seima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 of Cambodia

  • Kim, Nam Kyu;Lee, Jin Heung;Jo, Jong Won;Bunthoeun, Roth;Ngeth, Chea;Lee, Jong 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58-163
    • /
    • 2016
  • Mushroom surveys and collections were conducted in the western and eastern forest areas in Cambodia, and then fungal biodiversity was analyzed by identifying mushrooms. One thousand and three hundreds eighty three specimens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genetical characteristics, and were classified into 238 species, 160 genera, 52 families, 15 orders, and 3 phylums. The collected mushrooms were immersed in 70% ethyl alcohol for DNA extraction, and the rest of them were dried in the portable mushroom dryer for 12 hrs. Among these mushrooms, the genera Mycena (8.7%), Ganoderma (5.6%), Microporus (5.3%), Marasmius (4.2%), Marasmiellus (3.0%), Phellinus (2.5%), Trametes (2.5%), Hygrocybe (1.9%) and Pycnoporus (1.5%) were dominant. In the western Cambodia, 1,061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Koh Kong forests, while 263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ern Cambodia, Seima and Mondulkiri forests. Elevations of surveyed sites were ranged from 0 to 750 m above sea level.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in the elevation of 251-500 m was the highest as compared to the other ranges of elevation. Daldinia concentrica, Microporus vernicipes, Microporus xanthopus, Pycnoporus coccineus, Stereum hirsutum, and Stereum ostrea were commonly distributed in all ranges of elevation, while the distribution of Ceratomyxa fruticulosa, Panus fulvus, Schizophyllum, Trametes versicolor, and Tyromyces chioneus were limited under 500 m. One hundred and forty one species including Amauroderma sp., Bjerkandera adusta, Trichaptum abietinum, and Tyromyces chioneus were collected only in Cardamom, while 20 species including Auricularia auricula-judae, Coriolopsis sanguinaria, Rigidoporus microporus, and Xylaria polymorpha were collected only in Seima. Ganoderma sp., Mycena sp., Marasmius sp., Microporus xanthopus, Phellinus sp., and Russula sp. were dominant species in both the western and eastern Cambodia. Species diversity indic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survey sites were 1.83 and 1.77, respectively, while evenness indices were 0.92 and 0.90. The species similarity index between two survey sites was 0.42.

Peroxynitrite scavengers from Phellinus linteus

  • Jeong, Da-Mi;Jung, Hyun-Ah;Kang, Hye-Sook;Choi, Jae-Su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08
  • Peroxynitrite ($(ONOO^-)$ is a cytotoxic species formed from nitric oxide and superoxide anion, which are highly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oxidative stress-mediated disea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avenging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on authentic $ONOO^-$, and further phytochemical studies are planned that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active principles. From the active EtOAc fraction, a mixture of fungisterol and 5-dihydroergosterol (1), a mixture of betulin and 1,2-benzenedicarboxylic acid bis (2-methyl heptyl) ester (2), protocatechualdehyde (3), protocatechuic acid (4), cirsiumaldehyde (5), hispidin (6), caffeic acid (7), phelligridin D (8), uracil (9), gallic acid (10), 2,5-dihydroxybenzoic acid (11), ferulic acid (12), 2,3-dihydroxybenzaldehyde (13), arbutin (14), isoferulic acid (15), guanosine (16), and ellagic acid (17)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based on spectroscopic data. All compounds except 3, 6, 7 and 1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P. linteus. Compounds 3, 4, 6-8, 10-15, and 17 showed potent scavenging activity on $ONOO^-$, with $IC_{50}$ values of $2.06\;{\pm}\;0.10$, $3.45\;{\pm}\;0.57$, $0.71\;{\pm}\;0.05$, $2.78\;{\pm}\;0.36$, $5.42\;{\pm}\;0.26$, $1.13\;{\pm}\;0.02$, $1.82\;{\pm}\;0.17$, $0.91\;{\pm}\;0.19$, $1.59\;{\pm}\;0.09$, $1.88\;{\pm}\;0.07$, $1.22\;{\pm}\;0.37$, and $2.01\;{\pm}\;0.02\;{\mu}M$,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DL-penicillamine, with an $IC_{50}$ value of $5.04\;{\pm}\;0.06\;{\mu}M$.

국내에서 수집된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ruiting Bodies of Phellinus gilvus Collected in Korea)

  • 윤기남;장형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55-3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약용 버섯인 마른진흙버섯의 자실체를 80%의 메탄올과 열수를 이용해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와 항균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은 2.0 m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93.65%)이 양성대조군인 BHT (96.97%)에 비해 낮았으나 상대적인 효과는 높았다. 철이온 소거능 실험에서 추출물의 모든 농도(0.125~2.0 mg/mL) 범위에서 철이온 소거능 항산화 효과가 BHT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종의 세균 S. aureus, S. mutans, B. subtilis, E. coli, P. aeruginosa, V. vulnificus와 1종의 곰팡이 C. albicans를 대상으로 200 mg/mL의 농도에서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해 agar well diffusion법으로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V. vulnificus와 C. albicans를 제외한 5종의 세균에서 inhibition zone을 보여 메탄올 추출물은 여러 종류의 그람 양성세균과 그람 음성세균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 inhibition zone을 나타낸 S. aureus, S. mutans, B. subts, E. coli, P. aeruginosa 등 5종의 세균을 대상으로 최소저해농도 (MIC)를 측정한 결과 각각 100, 100, 50, 100, 200 mg/mL의 MIC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균 효과가 높아서 이들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와 항균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방법에 의한 Phellinus sp. 고체배양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Solid Culture of Phellinus sp.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강태수;강안석;손형락;강미선;임양이;이신영;정성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65-274
    • /
    • 1998
  • 목질진흙버섯(Phellinus sp.) 자실체의 인공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마련의 일환으로 자실체로부터 순수분리한 상황속의 한 균주를 이용하여 참나무 (Quercus aliena), 뽕나무(Morus alba) 및 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3종 톱밥기질에 따른 균사생육의 최적조건을 반응표면분석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3종의 독립변수(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와 그 최적값을 검토한 결과, 쌀겨첨가량은 3종의 톱밥배지 모두에서 약 30%(w/w) 첨가시에 가장 좋았으며, 수분함량은 $65{\sim}70%(w/v)$ 범위 에서 좋았다. 배지의 초기 pH는 참나무와 뽕나무에서는 $pH\;5{\sim}6$, 오리나무 톱밥배지의 경우는 pH 6에서 가장 좋았다. 균사의 생육온도는 모든 톱밥배지에서 $25{\sim}3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좋았으나, 톱밥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쌀겨첨가량$(X_1)$, 배지의 초기 $pH(X_2)$ 및 수분함량 $(X_3)$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고, 균사의 생육길이를 독립변수(Y)로 하여 반응 표면분석한 결과, 참나무 톱밥의 경우, 쌀겨첨가량 31.01%(w/w), 배지의 PH 5.31, 그리고 수분함량 69.03%(w/v)에서 얻어졌으며, 이때 기대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8.32cm이었다. 특히, 쌀겨 첨가량$(X_1)$과 수분함량$(X_3)$)의 회귀계수가 높아, 이 변수들이 균사생육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뽕나무 톱밥배지의 경우, 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의 정상점은 각각 28.77%(w/w), 5.28및 69.8%(w/v)로, 예측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7.60 cm이었다. 오리나무 톱밥 배지의 정상점은 쌀겨첨가량 28.74%(w/w), 배지의 pH 6.04및 수분함량 66.96%(w/v)으로, 이때, 예상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5.38cm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과 독립변수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았고, 쌀겨첨가량과 배지의 초기 pH가 수분함량보다 균사생육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을 위한 최적의 톱밥 수종은 참나무(Quercus aliena)>뽕나무(Morus alba)>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순이었다.

  • PDF

Penicillium rubrum에 의한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푸른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green mold on Phellinus baumii caused by Penicillium rubrum)

  • 조우식;류영현;최성국;서건식;엄재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2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P. baumii)의 자실체에 발생하는 Penicillium sp.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분리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Penicillium sp.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생포자의 모양은 타원형이고 직경이 1.8~2.3 ${\mu}m$ 크기로 분생포자를 많이 형성하였다. 분생포자경은 균사로부터 one-stage branch 모양을 형성하였고, matulae는 3~5개로 길이가 5.2~7.8 ${\mu}m$이며, phialide는 플라스크상이고 크기가 $5.7{\sim}7.5{\times}2.2{\sim}2.7{\mu}m$이였다. Czapek's agar 배지에서 생육시 $25^{\circ}C$에서 8일간 균체가 23 mm 생장하였다. PDA 배지 상에서 균총의 형태는 처음에는 조밀한 솜털모양의 백색을 띄었으며 차츰 기중균사가 형성되었고, 점차 회녹색으로 변하였다. 이상과 같은 형태 및 배양적 특징으로 이 균을 P. rubrum으로 동정하였다. 상황버섯 (P. baumii)에서 P. rubrum에 의한 병은 아직 국내에 보고된바 없어, P. rubrum에 의한 상황버섯 (P. baumii) 푸른곰팡이병을 최초로 보고한다.

  • PDF

Antibacterial Activity of Macromycetes Mycelia and Culture Liquid

  • Krupodorova, Tetiana A.;Barshteyn, Victor Yu.;Zabeida, Elena F.;Pokas, Elena V.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6-253
    • /
    • 2016
  •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irty mushroom species belonging to Basidiomycetes and Ascomycetes, cultivated on two liquid media, were evaluated against gram-positive (Bacillus subti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bacteria by the disk diffusion method. All of the mushrooms, except Auriporia aurea, Fomes fomentarius, and Lyophyllum shimeji, showed different antibacterial activity levels—from 9.5 mm in diameter of the inhibition zone to full inhibition of growth of the test bact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rinipellis schevczenkovi, Hohenbuehelia myxotricha, Oxyporus obducens, and Spongipellis litschaueri were observed for the first time. The antibacterial potential of culture liquids of the investigated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mycelia activity. Dependence of the intensity of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culture medium was shown. The antibacterial efficiency of the most active species (Lentinus edodes, Piptoporus betulinus, and Phellinus igniarius) was verifi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some commercial antibiotics and natural essential oils of Salvia and Eucalyptus. The culture liquid of Piptoporus betulinus, obtained after cultivation on glucose-peptone-yeast culture medium, is a potential substance for further creation of antibacterial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