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seolus vulgaris.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6초

UV-B가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의 지방산 구성, 지질과산화 및 polyam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B o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Peroxidation and Polyamine in Kidney Bean(Phaseolus vulgaris L.))

  • 김학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22-526
    • /
    • 2006
  • UV-B에 의한 강낭콩 식물의 피해양상, 지질과산화, 지질조성 변화와 UV-B에 대한 식물의 방어기작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3주간 UV-B 조사 실험을 수행하였다. UV-B 처리에 의해 초장이 약 22%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DA 함량은 UV-B 처리에 의해 약 5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tathione 및 ascorbate acid 함량은 UV-B 조사에 의해 산화형이 증가하고 환원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V-B 조사에 의한 지방산 구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당지질 및 인지질 모두 UV-B조사에 의해 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것에 반해, 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낭콩 잎에는 주로 3종류의 polyamine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종류 모두 UV-B 조사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로 볼 때, UV-B 조사는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생체막 지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corbate acid, glutathione, polyamine 등의 항산화물질들이 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 종자성숙에 따른 지베렐린 수산화효소 활성의 변화 II. $GA_{12}$를\; $GA_{15}$으로 변환하는 C20-Hydroxylase (Changes in Gibberellin Hydroxylase Activity during Seed Maturation of Phaseolus vulgaris L. II. C20-Hydroxylase Converting $GA_{12} to GA_{15}$)

  • 정상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91-195
    • /
    • 1992
  • 강낭콩 두 품종(정상종인 Kentucky Wonder와 왜성종인 Masterpiece)의 미성숙종자로부터 부분 정제한 GA 수산화효소를 사용하여 $[^{14}C]GA_{12}$으로부터$\;GA_{15}$의 효소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메탄올 침전과 소수성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부분 정제된 GA 수산화효소 활성분획은 효율적으로 $GA_{20}$$GA_{1}$$GA_{5}$을 경유하여 $GA_{6}$으로, $GA_{12}$$GA_{15},GA_{24}, GA_{9}$을 거쳐 $GA_{4}$로 변환시켰다. 두 품종의 종자성분에 따른 $GA_{12}$로부터 $GA_{15}$의 C-20 수산화효소 활성의 변화와 강약에는 차이가 없었다. 단위 단백질 C-20 수산화효소 활성은 종자가 성숙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한편 단위 종자당 효소활성은 개화 후 21일 전후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GA_{20}$$3{\beta}$-수산화효소활성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 PDF

강남콩 잎의 노화에 있어서 식물 호르몬의 역할 (Role of Plant Hormones in the Senescing Detached Leaves of Phaseolus vulgaris)

  • 이동희;서영희;김영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7-308
    • /
    • 1997
  • NAA, GA$_{3}$ 및 BA등의 식물 호르몬이 노화중인 강남콩 잎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분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노화의 대표적인 특징인 엽록소의 소실은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분해를 수반하였다. 암유도 노화과정동안, PSI 복합체는 급격히 감소한 반면 RC-Core3은 오히려 조화 중기까지 조금씩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분해되었다. 그리고 LHCII는 노화 과정 후기부터 점진적으로 분해되었다. NAA와 GA$_{3}$는 노화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다. 그러나 BA는 노화 과정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특히 RC-Core1, RC-Core2와 SC-1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한편 식물 호르몬과 광선의 동시 처리에 있어서, BA와 광선의 동시 처리는 노화 과정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특히 PSI, LHCII, RC-Core2, RC-Core3과 SC-1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노화 과정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는 BA 혹은 광선의 단독 처리보다 BA와 광선의 동시 처리에 의하여 보다 높은 안정성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ichia pastoris에서 강낭콩 Leghemoglobin a의 생산, 정제 및 특징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aseolus vulgaris Leghemoglobin a in Pichia pastoris)

  • 김준영;한다희;박근오;남수완;김연희;김한우;전숭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08-511
    • /
    • 2022
  • 식물성 육류에서 미각적인 자극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heme 함유 단백질의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 강낭콩 유래 leghemoglobin a (PhLba) 유전자를 pPICZαA에 클로닝하고 Pichia pastoris에서 발현하였다. 재조합 PhLba 단백질은 가용화 형태로 배양 배지속으로 분비되었다. 정제된 PhLba의 분자량은 SDS-PAGE 상에서 16.5 kDa으로 나타났다. 재조합 PhLba holoprotein의 수율은 배양 배지에 hemin을 첨가함으로써 향상되었다. 이것은 PhLba의 apo 형태가 보조인자와 함께 효과적으로 포화된다는 것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