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yer's patch lymphocyt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Bifidobacterium bifidum SL-21의 세포벽 조제성분에 의한 in vitro 골수세포 증식활성 (In vitro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of Cell Wall Preparation from Bifidobacterium bifidum SL-21)

  • 신명숙;유광원;신광순;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84-489
    • /
    • 2004
  • 인간의 장내 상재 세균이며 인간에게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Bifidobacterium속을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여 세포질, 세포벽 및 배양액의 고분자 획분을 대상으로 in vitro에서 장관면역계를 경유한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검토하였다 분리한 6종의 Bifidobacterium속 중에서 Bifidobacterium SL-21의 세포벽 성분(CWP)이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골수세포의 증식을 나타내었다. 한편, 골수세포 증식은 Peyer's patch를 매개로 일어나는 반응이므로 Peyer's patch에 의해 생성되는 cytokine류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B. bifidum SL-21의 세포벽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GM-CSF, IL-2 및 IL-6 등의 cytokine류의 생산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cytokine의 생산은 반응한 세포벽 성분에 농도 의존적 경향을 보였고 골수세포 증식이 증가할수록 높은 cytokine 생산 증가를 나타냈다. 불용성인 B. bifidum SL-21 세포벽을 lysozyme 처리하여 수용화시켜 분자량에 따른 활성을 검토한 결과, 분자량 30-50 kDa의 획분에서 가장 높은 골수세포 증식활성이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B. bifidum SL-21 세포벽 성분이 Peyer's patch의 림프구를 활성화시키고 이들 활성화된 림프구에서 생성되는 cytokine류에 의해 골수세포 증식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활성화된 면역세포는 CM-CSF, IL-2 및 IL-6 등의 전신순환 면역계의 증강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 cytokine류를 생산하였다.

Role of murine Peyer's patch lymphocytes against primary and challenge infections with Cryptosporidium parvum

  • Guk, Sang-Mee;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175-180
    • /
    • 2007
  • In order to determine the role of Peyer's patch lymphocytes (PPL) in self-clearing of Cryptosporidium parvum infection in murine models, changes in PPL subsets, their cytokine expression, and in vitro IgG1 and IgA secretions by PPL were observed in primary- and challenge-infected C57BL/6 mice. In primary-infected mice, the percentages of CD4+ T cells, CD8+ T cells, slgA+ B cells, IL-2+ T cells, and $IFN-{\gamma}+$ T cells among the PPL,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5) on day 10 post-infection (PI). Secretion of IgG1 and IgA in vitro by PPL also increased on day 10 PI. However, all these responses, with the exception of IgG1 and IgA secretions, decreased in challenge-infected mice on day 7 post-challenge (= day 13 PI); their IgG1 and IgA levels were higher (P > 0.05) than those in primary-infected mice. The results suggest that murine PPL play an important role in self-clearing of primary C. parvum infections through proliferation of CD4+, CD8+, IL-2+, and $IFN-{\gamma}+$ T cells, and IgG1 and IgA-secreting 8 cells. In challenge infections, the role of T cells is reduced whereas that of 8 cells secreting IgA appeared to be continuously important.

제호탕의 장내 세균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연구 (Effect of Jehotang Extra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and Immunostimulation)

  • 지명순;박민정;이미영;김종군;고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4-108
    • /
    • 2006
  • 한국의 전통 음료인 제호탕의 장내 개선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제호탕 열수 추출물을 Modified EG 액체배지에 처리하고 장내 균총 중 대표적인 유익균인 B. logum, Lactobacillus sp.와 L. acidophilus, C. perferingens 균주를 접종하여 생육 활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0.1 mg/mL로 처리 시에 B. longum과 Lactobacilus 균주의 생육 활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제호탕 열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L. acidophilus 균주의 생육을 최대 1.8배 상승시켜 젖산균의 생육인자를 함유할 것으로 추정된다. 장내 세균의 활성 효과를 한천배지상에서 재확인한 결과, Lactobacillus sp.와 L. acidophilus 균주는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10 mg/disc로 실시하였을 때 직경 12 mm와 24 mm의 높은 생육 활성환을 나타내었다. In vitro에서 제호탕 열수 추출물이 비장과 Peyer's patch 면역세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1 mg/mL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는 1.4배, Peyer's patch 세포는 1.6배 상승하여 비장세포보다 장관 면역을 담당하는 Peyer's patch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장내 분비 IgA 양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2.4배 증가하여 제호탕 열수 추출물이 장내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호탕 열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혈액성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lymphocytes는 4% 감소한 반면에 granulocytes는 4% 증가했고 platelet이 상승했으며 다른 혈액 성분 변화를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제호탕 열수 추출물이 in vivo에서 관찰된 면역 세포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32, 후지0.053, 홍옥 0.041, 신흥, 0.0370로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품종 별 fructose와 glucose 함유비율(fructose/glucose)은 쓰가루 2.295, 후지2.244, 홍옥 2.161 그리고 신흥 2.393이었다.성이 높아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식품으로 기능성 식품 및 산업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경우는 채식남학생 54.6%, 비채식남학생 16.7%, 채식여학생은 38.2%, 비채식여학생이 16.8%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6.1%, 비채식남학생 33.3%,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은 21.8%이었으며, 녹차, 커피 등 차를 마시지 않는다는 비율은 채식남학생 69.7%,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29.4%, 비채식여학생 25.7%이었다. 인스턴트 식품을 매일 섭취한다는 응답율이 채식남학생 9.1%, 비채식남학생 21.4%, 채식여학생은 17.7%, 비채식여학생은 14.9%이었다. 6. 운동, 체중 조절 등에 대한 조사 결과 항상 운동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 18.8%이었으며 운동시간은 $1{\sim}2$시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38.1%, 채식여학생은 8.8%, 비채식여학생은 17.8%이었다. 체중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면 채식남학생 57.6%, 비채식남학생 23.8%,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은 15.8%가 만족한다고 하였다. 체중 조절 경험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가 채식남학생 3.0%, 비채식남학생 31.0%,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 31.7%이었다. 7. 골밀도 BQI값과와 몇가지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때, 채식남학생은 영양보충제의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해조류의 섭취정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ouse에서의 Deoxynivalenol이 면역글로브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xynivalenol on Immunoglobulin in the Mouse)

  • 이국천;이주홍;손성기;주영국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6-173
    • /
    • 1992
  • Mice were fed semi-purified diets containing 0, 2, 10 and 25 ppm(mg/kg) deoxynivalenol over 8 weeks and were assessed for effects on bodyweight gain, serum immunolglobulin levels and surface immunoglobulin bearing lymphocyte ratio. 1. The rate of body-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at the 10 and 25 ppm of DON, whereas the mice ingesting the diet containing 2 ppm DON was not. 2. IgA in serum immunolglobul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t the 10 and 25 ppm of DON, but IgG, IgM were decreased, whereas exposure to 2 ppm DON was not change. 3. Concentration of IgA from Peyer's patch of mice fed DON exhibited increased at 10, 25 ppm. 4. Lymphocytes surface marker studies revealed that IgA, IgG and IgM were 2.2%, 0.4% and 1.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exposure to DON alters regulation of IgA production

  • PDF

브로콜리로부터 분리한 추출물의 In vitro 면역증진 활성평가 및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and Assessment of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Extracts isolated from Broccoli)

  • 곽봉신;박혜령;이수정;최혁준;신광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40-1148
    • /
    • 2017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immunomodulatory agents from broccoli, ethanol extract (BCEE), hot water extract (BCHW), and crude polysaccharide (BCCP) were isolated from broccoli, and their immunomodulatory activities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In the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BCHW and BCCP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tumor cells and normal cells.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BCCP showed higher production of IL-6, IL-12, and $TNF-{\alpha}$ cytokines than those stimulated with BCHW. Also, BCHW and BCCP did not show proliferation of splenic lymphocytes. In the in vitro assay for intestinal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nly BCCP enhanced GM-CSF secretion and the bone marrow cell-proliferating activity via cells in Peyer's patches at $1,000{\mu}g/mL$. Also, BCHW mainly contained 33.7% neutral sugars, such as arabinose, glucose, and galactose, and 30.7% uronic acid, and BCCP consisted of 42.6% neutral sugars, including arabinose, galactose, and glucose, and 50.5% uronic acid. The above results lead us to conclude that crude polysaccharide (BCCP) isolated from broccoli causes considerably high cytokine production in peritoneal macrophages and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nd the polysaccharide extraction process is indispensable for separation of new immunomodulatory agents from brocco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