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iole length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root nodules on the plant type in soybean-Especially internode length and petiole length on the main stem

  • Ohashi, Shuma;Kurita, Haruna;Takahashi, Yukitsugu;Nagasuga, Kiyoshi;Nagaya, Yuichi;Umezaki, Teruhisa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58-358
    • /
    • 2017
  • The plant type is generall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rop production and be influenced by nitrogen absorption. Soybean plants have nodules in their roots, supplying nitrogen at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tages. Root nodules seem to effect plant type of soybean plants, but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relation nodules and plant type. We tried to clarify the effects of root nodules on the plant type, especially internode length and petiole length, comparing non-nodule soybean with normal soybean. The pot experiment and field experiment were carried out at Mie University and Utsunomiya University in 2015 and 2016. Enrei, a popular cultivar in central Japan, and En1282, non-nodulating isogenic line of Enrei, were used. The petiole length on main stem was measured after defoliation and internode length and yield components were measured after harvest. In the field experiment, the patterns of the final length in internode and petiole on main stem were consistent in both cultivar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Nth petiole length and the N-1th internode length, belong to the same phytomere. Therefore, the petiole and internode on the main stem make similar response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pot experiment, Enrei grew with the same pattern as field experiments, but in En1282, the elongation of petiole and internode in the upper part was suppressed, especially the petiole was suppressed greatly. The main stem becomes the basis of the plant type.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hat the nitrogen is distributed preferentially to the internode than the petiole. It seems that the pot cultivation restricted the rhizosphere and caused nitrogen deficiency in En128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light nitrogen deficiency provided from the root nodules was compensated by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inorganic nitrogen absorp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rhizosphere, and the severe nitrogen deficiency suppressed elongation of petiole and internode. It is clear that root nodules effect the plant type by supplying nitrogen to internodes and petioles.

  • PDF

한국 콩 품종의 초형관련 형질의 특성 (Canopy-Related Characteristic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 김홍식;이구환;송항림;김성진;허건;우선희;정승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3-152
    • /
    • 2008
  • 1913년부터 2000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70품종에 대한 초형형질에 관련된 주경, 분지 및 엽형질의 특성을 파악하여 다수성 콩 품종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하였다. 1. 초형형질의 변이는 주경과 분지관련형질의 12개 형질 중에서 초형폭, 분지장 및 초형폭/장 비율이 컸으며, 엽관련 8개형질 중에서는 엽병각, 엽장폭비 및 엽건물중이 컸다. 2. 용도별로 초형폭/장 비율은 밥밑콩이 장류 및 두부용콩과 나물콩에 비하여 높았고 장류 및 두부용콩과 나물콩은 큰 차이가 없었다.총분지장/주경장 비율은 나물콩과 밥밑콩이 높았고 장류 및 두부용콩이 낮았다. 3. 주경과 분지형질은 초형폭/장 비율과 총분지장/ 주경장 비율에 의하여 각각 그룹으로 분류되어졌고, 협초폭형이며 주경의존형은 단원콩, 금강콩, 셀비 및 신팔달콩이었고, 협초폭형이며 분지의존형은 소명콩이었다. 광초폭형이면서 주경의존형은 강림, 금강대립 및 진율콩이었으며, 광초폭형이면서 분지의존형은 검정콩 2호이었다. 4. 용도별로 소엽장/폭 비율은 밥밑콩이 작았고 장류 및 두부용콩과 나물콩과는 큰차이가 없었으며, 복엽의 엽면적은 밥밑콩이 가장 컸고 나물콩이 가장 작았다. 엽병장은 나물콩이 작았으며 장류 및 두부용콩과 밥밑콩은 큰 차이가 없었고, 엽병각은 밥밑콩이 가장 컸고 나물콩이 가장 작았다. 5. 엽형태는 엽장폭비와 엽면적에 의하여 각각 4그룹으로 분류 되어졌고, 소엽장폭비가 큰 원엽이면서 엽면적이 큰 대형엽은 부석과 대황콩이었고, 엽장폭비가 극세엽이면서 엽면적이 작은 소형엽은 은하콩과 소호콩이었다. 6. 엽병의 특성은 엽병장과 엽병각에 의하여 각각 3그룹과 4그룹으로 분류 되어졌고, 엽병장이 짧고 엽병각이 작은 품종은 은하콩이었고, 엽병장이 짧고 엽병각이 큰 품종은 알찬콩, 무한콩 및 푸른콩이었으며, 엽병장이 길고 엽병각이 작은 품종은 신팔달콩 2호이었다. 7. 은하콩은 전 시험품종 중에서 엽장폭비가 가장 큰 극세엽이면서 엽면적이 가장 작은 소형엽이었고, 엽병장이 가장 짧으며 엽병각이 가장 작은 품종이었다.

토양수분구배에서 굴참나무와 떡갈나무의 생육반응, 생태 지위 및 중복역 (Growth Response, Ecological Niche and Overlap between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dentata under Soil Moisture Gradient)

  • 박여빈;김의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7-56
    • /
    • 2023
  • The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dentata, which are said to be relatively drought tolerant among the important genus Quercus that represent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These two species are widely distributed worldwide in Korea, Japan and China (northern, central, western and eastern subtropical regions). This study compared the ecological niche breadth and overlap according to growth response in 4 soil moisture gradients for the two species and tried to reveal degree of competition and ecological niche characteristics. The ecological niche breadth was 0.977±0.020 for Q. variabilis and 0.979±0.014 for Q. dentata, the latter being slightly wider. And they were similar in 5 traits (stem length, leaf lamina length, leaf width length, stem weight, leaf petiole weight), Q. variabilis was more dominant in 4 traits (leaves number, stem diameter, leaf area, leaf petiole length), and Q. dentata was more dominant in 7 traits (root length, shoot length, plant weight, root weight, shoot weight, leaf weight, leaf petiole weight). The ecological niche overlap for soil moisture between the two species overlapped most in plant structure-related traits and least in photosynthetic organ-related traits such as petiole length.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egree of compet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for soil moisture was more severe when the soil moisture condition was low than high. Among the measured traits that affect the two-dimensional distribution, 8 traits (Leaves number, Shoot length, Stem length, Plant weight, Root weight, Shoot weight, Stem weight, Leaves weight) were correlated with the factor 1, and 2 traits (Leaf width length, Leaf petiole weight) were correlated with the factor 2 (r>0.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cological response of the two species to soil moisture is not a few traits involved, but several traits are involved simultaneously.

인삼 주요형질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bility of Agronomic Characte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안상득;최광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9-14
    • /
    • 1985
  • The aerial parts, stem diameter, stem length, Petiole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coefficient of variability in ginseng at 2 to 4 years grown under the conventional and improved shadings. C.V values of characters such as stem length, petiole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plant age, while that of steam diameter was increased. C.V. values of aerial part characters were higher in conventional shading than in improved shading, and the variance of c.v. was not significant when above 20 plants were investigated.

  • PDF

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변이(葉型變異) (Variation of Leaf Form of Leaf Variabilities of Natural Population of Quercus spp.)

  • 김지문;권기원;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82-89
    • /
    • 1985
  • 수종간(樹種間),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의 변이(變異)를 밝히기 위(爲)해 신갈나무 10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과 졸참나무 9개(個)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 상(上)1/3엽폭(葉幅)/최대엽폭(最大葉幅), 상(上)1/3엽폭(葉幅)/하(下)1/3엽폭(葉幅)의 5개(個) 엽형지수(葉型指數)와 엽병장(葉柄長), 엽맥수(葉脈數)가 본(本) 연구(硏究)에 포함(包含)되었다. 졸참나무의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을 제외(除外)한 조사(調査)된 모든 엽형질변이(葉形質變異)는 집단간(集團間), 집단내개체간(集團內個體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를 보였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다같이 엽신장(葉身長)/최대엽폭(最大葉幅),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신장(葉身長)/엽맥수(葉脈數)의 지수(指數)에서 남부집단(南部集團)과 북부집단간(北部集團間)에 다른 엽형(葉型)을 나타냈다. 그리고 북부집단(北部集團)의 엽형(葉型)은 신갈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들과 더 유사(類似)하고 남부집단(南部集團)은 졸참나무의 독특(獨特)한 특성(特性)을 더 많이 지니고 있었다. 집단내개체목간(集團內個體木間)에 변이(變異)는 엽신장(葉身長)/엽병장(葉柄長), 엽병장(葉柄長)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우리나라 중부(中部)에 하는 속(屬)하는 계룡산집단내(鷄龍山集團內)에서 더욱 현저(顯著)했다.

  • PDF

한국산 조팝나무속(Spiraea L. 장미과)의 엽병 해부 (The petiole anatomy of the genus Spiraea L. (Rosaceae) in Korea)

  • 이정호;권오웅;장태수;노희선;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26
    • /
    • 2010
  • 한국산 조팝나무속(Spiraea L.)에 속하는 3절 18분류군(sectts. Calospira: 복산방화서절 - 7분류군, Chamaedryon: 산방화서절 또는 산형화서절 - 10분류군, Spiraria: 원추화서절 - 1분류군)에 대해 엽병의 횡단면을 단부, 중앙부, 기부로 나누어서 비교하고 기재하였다. 엽병의 횡단면은 아원형, 렌즈형이거나 반달형이고, 두 개의 분리된 날개를 갖는 분류군과 날개를 갖지 않는 분류군으로 세 부위(단부, 중앙부, 기부)에서 차이를 보였다.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로는 횡단면의 모양 및 크기, 유관속의 모양 및 크기, 그리고 모용 및 결정체의 모양과 존재 여부들이 분류군 간에 비교 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들이 한국산 조팝나무속내 분류체계에 적용시키기에는 미약하였지만, 종간 진단형질로는 유용함이 확인되었다. 엽병형질들을 바탕으로 한국산 조팝나무속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유묘특성(幼苗特性)을 이용한 참당귀(當歸) 계통(系統)의 조기선발(早期選拔) (Selection of Angelica gigas Nakai Lines Using Seedling Characteristics)

  • 유홍섭;방진기;김영국;이승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1-195
    • /
    • 1997
  • 참당귀(當歸) 묘상기(苗床期)에서의 유묘특성(幼苗特性)과 추태율(抽苔率) 및 뿌리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혀 유식물(幼植物) 시기(時期)에 조기검정(早期檢定)의 선발체계(選拔體系) 확립(確立)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계통간(供試系統間) 묘초장(苗草長), 엽장(葉長), 엽병장(葉柄長) 등 지상부(地上部) 유묘특성(幼苗特性)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나타나 묘상(苗床)에성의 조기검정(早期檢定) 가능성을 보였다. 2. 성숙기(成熟期)의 추태율(抽苔率)은 $0.6{\sim}75.6$% 범위였고, 뿌리수량(收量)은 $350{\sim}3,893kg/ha$으로 계통간(系統間) 차이가 컸으며, 추태율(抽苔率)이 5%미만으로 낮을 때 뿌리수량(收量)이 높았다. 3. 유전력(遺傳力)은 묘상(苗床)에서 엽병장(葉柄長), 묘초장(苗草長), 엽장(葉長) 등과 성숙시(成熟時)의 추태율(抽苔率), 뿌리수량(收量)등에서 92%이상으로 높았고, 엽폭(葉幅), 근경(根徑), 근장(根長) 등에서 낮게 나타났다. 4. 유묘특성(幼苗特性)과 추태율(抽苔率) 및 뿌리수량간(收量間)에는 관계(關係)는 묘초장(苗草長), 엽장(葉長), 엽폭(葉幅), 엽병장(葉柄長), 엽수(葉數), 근장(根長) 등은 뿌리수량(收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 근경(根徑)은 정상관(正相關)을 나타내었다. 추태율(抽苔率)과 뿌리수량간(收量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5. 본 결과로 볼 때 묘상기(苗床期)에 묘초장(苗草長), 엽장(葉長), 엽병장(葉柄長) 등 유묘특성(幼苗特性)을 검정(檢定)하므로서 추태율(抽苔率)이 낮고 다수성(多收性)인 우량개체(優良個體)를 조기(早期)에 선발(選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굴참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葉型) 변이(變異) (The Variation of Leaf Form of Natural Populations of Quercus variabilis in Korea)

  • 송정호;박문한;문흥규;한상억;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66-676
    • /
    • 2000
  • 굴참나무 천연집단의 형태적 변이(엽형 특성)를 연구하기 위하여 위도, 경도, 해발고 및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19개 집단을 선발하였다. 각 집단별로 30개체를 대상으로 개체목당 수관 1/3 하단부에서 60개의 엽을 고르게 채집하여 엽신장, 최대엽폭, 엽맥수 및 엽병장을 조사한 후 그 값을 이용하여 엽신장/최대엽폭, 엽신장/엽병장, 상1/3폭/최대엽폭, 상1/3폭/하1/3폭 및 엽병장/엽맥수에 대한 형상비를 계산하여 엽형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신장/최대엽폭, 엽신장/엽병장, 엽병장/엽맥수, 상1/3폭/최대엽목, 상1/3폭/하1/3폭, 엽병장 및 엽맥수에 대한 변이는 집단간 및 집단내의 개체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특히, 분산기여도는 집단간보다 집단내의 개체간에 큰 것으로 나타나, 굴참나무의 연구는 집단보다 개체에 의한 연구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여진다. 2. 엽형특성에 대한 주성분 분석은 첫 두 주성분까지의 적재 가여율이 80.5%로 굴참나무 엽형특성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이었다. 각 인자별 기여도에 있어서는 제1주성분에서 엽병장/엽맥수 및 엽병장, 제2주성분에서 상1/3폭/최대엽폭, 상1/3폭/하1/3폭 및 엽맥수 인자가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3. 위도, 경도 및 해발고에 따른 엽형특성에 대한 지리적 변이는 위도에 있어 엽신장/최대엽폭 및 엽신장/엽병장에 대해서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특성(엽병장/엽맥수, 상1/3폭/최대엽목, 상1/3폭/하1/3폭, 엽병장 및 엽맥수)들에 대해서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경도와 해발고는 위도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4. 군집분석(Complete linkage cluster)한 결과는 거리지수 1.6에서 2개의 그룹 즉, I그룹(Pop. 1, 4, 5 및 13)과 II그룹(Pop. 2, 3,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및 19)으로 나뉘었으며, 거리지수 1.3에서는 II그룹이 다시 Pop. 3, 7, 10, 14, 15 및 17의 군집(II-1)과 Pop. 2, 6, 8, 9, 11, 12, 16, 18, 19의 군집(II-2)으로 나뒤어 총 3그룹으로 분리되었다. 대체적으로 이것은 사면의 방향에 대하여 I그룹은 북동면에, II-1그룹은 남동면에, 그리고 II-2그룹은 남서면에 집단이 위치하고 있어 환경조건이나 입지조건의 차이에 의하여 일어난 자연도태의 결과로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cological Niche Overlap and Competition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dentata Under Soil Water Gradient

  • Yeon-ok, Seo;Se-Hee, Kim;Eui-Joo, Kim;Yoon-Seo, Kim;Kyeong-Mi, Cho;Jae-Hoon, Park;Ji-Won, Park;JungMin, Lee;Jin Hee, Park;Byoung-Ki, Choi;Young-Han, Yo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29-238
    • /
    • 2022
  • Q. mongolica and Q. dentata are representative species of deciduous forest communities in Korea and are known to be relatively resistant to soil drying condition among Korean oaks.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ecological nic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species by comparing the ecological responses of the two species according to soil moisture. Competition between Q. mongolica and Q. dentata was shown to be more intense under the conditions where moisture content was low than under the conditions where moisture content was high. As for the ecological niche overlaps of the two species for soil moisture, the structural traits of plant such as stem diameter overlapped the most, the traits of biomass such as petiole weight overlapped the least, and photosynthetic organ-related traits such as leaf width and length overlapped intermediately. When looking at the competition for soil moisture between the two species, it can be seen that Q. mongolica won in nine traits (leaf width length, leaf lamina length, leaf lamina weight, leaf petiole weight, leaf area, leaves weight, shoot weight, root weight, and plant weight) and Q. dentata won in the remaining seven traits (leaf petiole length, leaves number, stem length, stem diameter, stem weight, shoot length, and root length). Compet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for the moisture environment of the soil was shown to be intense under the conditions where moisture content was low. The degree of competition between Q. dentata and Q. mongolica for soil moisture is high under the conditions where soil moisture content is low, and it is judged that Q. mongolica is more competitive for soil moisture than Q. dentata.

희귀수종(稀貴樹種) 망개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엽형변이(葉型變異) (The Variation of Leaf Form of Rare Endemic Berchemia berchemiaefolia Populations)

  • 송정호;이정주;강규석;허성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431-436
    • /
    • 2008
  • 희귀수종 망개나무의 유전자원 보존 전략 수립을 위해 7개 집단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엽의 9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고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생장은 엽신장 10.25 cm, 최대엽폭 4.10 cm, 엽신장/최대엽폭 2.52, 상1/3폭 3.22 cm, 하1/3폭 3.42 cm, 상1/3폭/하1/3폭 0.95, 엽병길이 1.24 cm, 엽신장/엽병길이 8.91, 엽맥수 8.16개로 나타났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9가지 양적특성들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형질들은 총 분산 가운데 집단내 개체 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9가지 양적특성들에 대한 집단간 유연관계는 거리지수 1.2에서 크게 2개의 그룹(충북과 경북지역)으로 나뉘었으며, 유집군의 유형은 제3주성분까지가 전체 변이의 87.3%를 설명하였다. 제1주성분의 기여율은 51.1%로 엽신장, 엽신장/최대엽폭 및 엽신장/엽병길이, 제2주성분의 기여율은 23.1%로 최대엽폭, 상1/3폭 및 하1/3폭, 제3성분은 13.1%로 엽병길이 인자가 망개나무 엽 특성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