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atients who developed acute pesticide poisoning while spraying or using pesticide and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in hospital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pertaining to the use of pesticides. Methods: Pesticide poisoning data collected by the Chungnam Center for Farmers' Safety and Health from 2014 to 2018 was cross-sectionally analyzed. A total of 331 patients with pesticide poisoning presented to one of hospitals and four of medical centers in the region(Dankuk University Hospital, Gongju and Hongsung, Cheongyang, Cheonan Medical Center). Seventeen of these patients (15 men and two women) developed poisoning while spraying pesticide. The patients' charts were reviewed to collect data on pesticide poisoning, namely currently working in farming-related occupation, means of transportation to the hospital, place of poisoning, symptoms of acute pesticide poisoning, treatment, pesticide used when poisoning occurred, and classification by technical ingredients. Results: Fifteen out of 17 patients who developed poisoning while spraying pesticide were men. Insecticide was used in 35.3% of the cases, and herbicide was used in 29.4% of the cases, which was different from cases of poisoning from ingestion poisoning. The major symptoms were vomiting (35.3%), nausea (29.4%), dizziness (29.4%), and headache (23.5%). A total 11 ingredients were identified in 12 patients, and the most common ingredient was glyphosate, which is an herbicide. Most patients showed a state of mild toxicity, but two patients showed a state of severe toxicity. These patients respectively used glyphosate and paraquat. Conclusions: Our findings can be useful for suggesting the need for a national healthcare system to manage occupational pesticide poisoning among farmers. Further,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risk of acute poisoning during pesticide spraying and suggest the need for a safety health education to increase farmers' awareness of pesticide poisoni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survey questionnaires for pesticide poisoning. We conducted a pilot study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pesticide poisoning symptom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of self-reported information for individual pesticides used. In December 2010 we interviewed 20 farmers with self-reported pesticide poisoning histories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For validity of pesticide information, the purchased pesticide lists from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were compared with individual self-reported pesticides used. Neurological symptoms were the most common among clinical symptoms related to pesticide poisoning, followed by gastrointestinal, dermal and eye symptoms. Insecticides were the main causative pesticide class for poisoning. Twenty one major symptoms were selected for screening for acute pesticide poisoning in a field study based on the pilot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s. Substantial under-reporting was found in data on self-reported individual pesticides used (9.2%), as well as low accuracy (36%) compared with their actual purchase lists. In this pilot study, we suggest the selected symptom lists may apply to a field survey of pesticide poisoning. However, the self-reported information on individual pesticides may not be valid and alternative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매년 증가하고 있는 농약중독사고 예방대책 마련을 위하여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시스템에서 2000년${\sim}$2005년 까지 최근 6년간의 자료를 제공받아 국내 농약중독사망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농약중독 사망자수는 제초제 및 살균제에 의한 사망수가 가장 많았고, 약제별로는 특히, 패러�R디클로라이드 액제, 유기 인계 농약, 글라이포세이트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약물중독사고 사망자중 농약으로 인한 사망자가 매년 증가하여 2005년에 68.5% 를 차지하였다. 농약중독사고 원인은 자살 비율이 $80.5{\sim}91.9%$로 농약에 의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역별 농약중독사망자수를 분석한 결과 주요 7대 도시지역이 전체 사망자수의 평균 21.6%를 차지하였고, 전국 9개 도지역에서 평균 78.4%를 차지하였으며, 직업별 분포는 농림, 어업인이 27.4%, 주부와 학생을 포함한 무직 등 비농업인이 72.6%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자료분석결과, 농약중독사망자수가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사망자수를 줄이고 농약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농업 인에게는 농약안전사용을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비농업 인에게는 독성이 강한 농약의 구입을 제한하는 등 철저한 농약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Hemoperfusion is an effective modality of extracorporeal elimination of toxins in acutely poisoned patients. We evaluated the effect of hemoperfusion on plasma concentration of toxins in patients exposed to certain pesticides. Methods: Eleven patients who were acutely exposed to pesticides participated in our study. We measured plasma pesticide concentration from the whole blood obtained by arterial and venous sources by gas chromatography. Result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only 3 patients was measured. Methidation clearance by hemoperfusion was 82.2%, fenitrothion was 23%, and endosulfan was 0% Conclusion: Measurement of plasma organophosphate concentration is not a practical applic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hemoperfusion is applicable in patients with pesticide intoxication according to clinical status.
Acute respiratory failure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to predict respiratory failure in these patients. This study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clinical features of respiratory failure among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intentional poisoning by pesticide ingestion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Paraquat intoxication was excluded. Among 469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39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respiratory failure rate was 30.4%. The rate of respiratory failure according to the type of pesticide was carbamate (75.0%), organophosphate (52.6%), glufosinate (52.1%), glyphosate (23%), pyrethroid (8.9%), and others (17%). The mortality was 25.6% in the respiratory failure group. The risk factors for respiratory failure were old age, low body mass index, and ingestion of more than 300 mL. In conclusion, respiratory failure is a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pesticide poisoning. Old age, low body mass index, and ingestion of more than 300 mL are the risk factors for predicting respiratory failure.
In order to offer an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pesticide poison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Chun Song County, Kang Won Province for the period from 1983 to 1985.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tes of those who read an explanation of pesticidesbefore scattering are 76.5% in 1983, 82.6% in 1984, 85.8 % in 1985 but among these people the rates of those who practice as explanation are 78.2%, 72.2%, 41.4% every year. 2. More than 50% of those who scatter pesticides feel pesticide poisoning. 3. The difference in average time of pesticide scattering and pesticide poisoning reveals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4. Among those who feel pesticide poisoning, 85.5% in 1984, 87.3% in 1985 are due to insecticides.
농약사용량(農藥便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增加)하는 추세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에 대한 역학조사(疫學調査) 보고(報告)가 없는 실정이다. 1981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2년간(年間) 경상북도(慶尙北道) 전지역(全地域)을 대상으로 의원(醫院), 병원(病院) 및 보건소(保健所)의 의무기록(醫務記錄)을 조사(調査)하여 농약중독자(農藥中毒者)를 파악하여 그 실태를 분석(分析)하였다. 1981년(年)에 765명, 1982년에 853명의 중독자(中毒者)가 발생(發生)하였다. 연령별(年令別)로는 20대(代)가 제일 많았고 성별(性別)로는 남자가 70% 여자가 30%였다. 중독경위별로는 직업적인 중독이 27.8%, 우연에 의한 사고(事故)가 5.6%였고 자살목적(自殺目的)이 66.6% 였다. 월별(月別)로는 6, 7, 8, 9월(月)에 발생(發生)이 많고 7월(月)이 제일 많고, 월평균(月平均) 67명이 발생(發生)하였다. 의료기관이용(醫療機關利用)은 개인의원이 49%, 병원이 43%였다. 치명율(致命率)은 직업적인 중독이 0.9%, 사고(事故)에 의한 중독(中毒)이 5.6% 자살목적(自殺目的)의 중독(中毒)에서 20.3%로 평균(平均) 14.1%였다. 인구 100,000 당 농약중독(農藥中毒) 발생(發生)은 년간(年間) 25.4였다.
Purpose: Paraquat is the most commonly used herbicide in Korea. Exposure to paraquat through the skin has resulted in local irritation or inflammation of varying degree, sometimes sev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atients with paraquat poisoning by skin absorption. Methods: We analys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45 patients with paraquat poisoning after dermal exposure, who were admitted to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3. Results: Among 870 cases of paraquat poisoning, 45 cases were exposed to paraquat through the skin. The peak incidence was the fifth decade($40\%$). The clinical symptoms were pain, pruritus, nausea, and vomiting. The major skin lesions were generalized vesicobullae and necrotic erosion in face, scrotum, trunk, upper and lower extremities and etc. All patients were survived after skin contact or inhalation of paraquat.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s the extreme toxicity of paraquat and demonstrates that lethal quantities of paraquat may be absorbed if repeated exposure to it. Stricter precautions, including the mandatory use of protective clothing, should be recommended whenever this material is used.
It has been well known that indiscriminative use of pesticides contaminates water resources and soil to break down the balance of natural ecosystem and brings acute when spray. In this country, 62,602 tons of pesticides were used in 1974 for agricultural purpose figuring 28.0 kg per hectare which showed 20% increasement every year since 1970. It is almost impossible to figure out incidence and mortality of acute pesticide poisoning exactly. However, a survey in 1974 reported that 33.5% of male and 32.7% of female who sprayed certain pesticides complained of several symptoms seemed to be due to acute pesticide poisoning. It also mentioned that the main cause inducing poisoning supposedly was dusting without protective armamation such as masks, booths, gloves and others in more than 60% of above cases. Pesticide poisoning through contamination of food or direct inhalation and contact. With the reason, the followings can be recommended to minimize or prevent pesticide hazards. 1. Strict legal control 2. Systematic education on the safe handling way of pesticides for the people who are to use them. 3. Remarkable warning at transportation and stocking of pesticides. 4. Obligatory attachment of explanation on the package about effect, safe handling method, and. emergency care at acute pesticide poisoning concerned.
Purpose: Acute pesticide poisoning is lethal and can lead to death. A few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acute pesticide poisoning have focused on the immune system. In the current study, we preliminaril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blood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in acute pesticide poisoning patients. Methods: In this study,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admitted from February 2021 to November 2021 with a diagnosis of intentional poisoning by pesticide ingestion. The inflammatory cytokines measured were IFN-γ, IL-1β, IL-6, and TNF-α. Results: Totally, 27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types of pesticide ingested were glufosinate (n=6), glyphosate (n=8), organophosphate (n=4), pyrethroid (n=2), and others (n=7).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obtained were as follows: IFN-γ 2.78±8.03 pg/ml, IL-1β 2.62±2.03 pg/ml, IL-6 44.58±80.16 pg/ml, and TNF-α 11.80±15.60 pg/ml.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1.1% (3/27), and levels of IL-1β and TNF-α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ath group compared to the survival group. Conclusion: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NF-α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IL-1β and TNF-α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ath group as compared to the survival group. Our results indicate the occurrence of an inflammatory response due to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by pesticide poisoning. Future large-scal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s predictors and therapeutic target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