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s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3초

발달장애인의 언어적 특성과 그림검사의 타당도 연구 (A study on linguistic the validity of characteristics and picture test inventories to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이달엽;노임대;이승욱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7-531
    • /
    • 2002
  •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있어서 제도적 환경적 개선노력과 더불어 심리적 요소들을 다루는 일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사실 많은 수의 사람들이 심리적 적응상의 문제로 인하여 적절한 직업을 갖지 못하고 있거나 직장생활의 지속이 어렵게 된다. 일은 장애인 개인의 존엄성을 놓이고 사회에 대한 창조적 기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족기능을 회복시켜 장애를 지니지 않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자유와 능력을 신장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이자 도구이지만 지금까지 이들의 진로개발이나 직업개발에 있어 동기부여와 흥미요소의 고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장애 특히 중증의 장애를 지닌 시민들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그림검사, 특히 그립 흥미검사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위한 초기 과정으로서 흥미검사의 구성개념을 분석하고 그 개념의 타당도를 검증하려는 노력이 본 연구의 토대이다 연구결과 정신적 심상은 발달장애인의 학습과정을 촉진시키며, 그림 자극이 재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여러 가지 검사도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Holland의 여섯 가지 분류방식에 많은 임상적, 경험적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괄목할만한 경과를 나타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에 기초할 때 직업탐색과 진로상담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들의 실제적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될 수 있다. 인지적 장애를 지니거나 독해력과 읽기 능력이 제한된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흥미탐구 검사는 지금까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흥미검사 도구들의 유용성을 감안할 때 Holland방식의 직업분류에 따른 항목들의 개발이 보다 적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Validity of a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latform for oral health c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Lee, Jae-Young;Paik, Hye Ran;Kim, Young-Jae;Jin, Bo-Hyou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1-225
    • /
    • 2021
  • Objectives: To validate the role of a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latform that we created for the betterment of the oral health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for providing appropriate health care services. Metho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mong 16 people in various professions, including academia, government agencies, and dentistry,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latform. Moreover, platform satisfaction was evaluated using a user experience questionnaire among 200 people, inclu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parents, and public institutions. Results: Experts in consensus indicated a high validity for the categories of service provider (CV=0.29, CVR=0.69), service target (CV=0.29, CVR=0.38), service contests (CV=0.27, CVR=0.63), and financial support (CV=0.30, CVR=0.63) in ou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latform. In addition, information from questionnaires on user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atisfact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users and provid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latform. Conclusions: The provision of oral health services based on the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latform has numerous advantages, in addition to providing adequate oral health care for the disabled. Furthermore, the social safety net for improved oral health may be further strengthened.

Survey of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dental college stud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special care dentistry classes

  • Kim, Sun Young;Bang, Jae-Beum;Kim, Kwang Chul;Lee, Eun Young;Choi, Sung Chul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8-77
    • /
    • 2014
  • An opportunity for dental students to come into contact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insufficient. Therefore, prejudic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persist. Working under the assumption that educating dental students regar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bring about positive awareness, we conducted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he issues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special care dentistry class of students of dental college that will include an experience in a dental clinic with a disabled person. Seventy-two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third-year dental students attended the special care dentistry class in one semester and they took the same survey was before and after the class. In the questionnaire, we used the disability factor scale (DFS) that Siller has proposed. The authoritarian virtuousness factor getting lower to a significant level after receiving an education. This means that after the education, the respondents realize that how hard to adapt the disabilities. After receiving an education, the rejection of intimacy factor score significantly get higher than before they took the class. This means that after the train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ose with disabilities were better than those towards the opposite sex. We were able to confirm a positive change in the recogni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special care dentistry class. Our study shows that educating dental students on the how to take car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n bring about a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s students may have regarding them.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loyment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Social Activities)

  • 정재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11-7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발달장애인의 사회통합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391명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취업 여부와, 사회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교차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취업은 사회활동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는 79.7% 미취업 상태는 39.3%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신중하게 검증한 발달장애인의 취업은 사회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5.2배 증가하였다. 연구결과로 볼 때 발달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적극적인 취업지원과 취업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원고용과 장애인 표준사업장 확대, 직무지도원 제도 도입과 관련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제언하였다.

중도장애인의 사고 이후 생애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Biographical Exper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fter an Accident : A Qualitative Study)

  • 이효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217-244
    • /
    • 2007
  • 본 연구는 사고로 중도장애인이 된 사람들의 사고 이후 생애경험을 재구성하여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F. Schutze의 이야기식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를 조사도구로 3 사례를 수집하여 '인생진행의 과정구조'로 분석하였다. 특별히 그 과정에서 피면접자 자신이 직접 구성한 삶의 경험을 연구자가 구성한 후, 각 사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전체 사례를 비교하며 재구성하였다. 이 결과 생애사 연구 방법이 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반성을 이끌어, 중도장애인들의 사고 이후 경험을 이해하고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적 실천을 위한 사정도구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특히 미래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를 총체적(holistic)으로 이해하는 접근방법임을 제언하였다.

  • PDF

성곽문화재 보존환경을 고려한 장애인 편의시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영국 성곽문화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ility Desig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Considers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of Castle Heritage - Focused on the Castle Heritage in England -)

  • 이건하;이웅구;김영은
    • KIEAE Journal
    • /
    • 제12권5호
    • /
    • pp.63-70
    • /
    • 2012
  • In order to set the direction of providing facility for the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as well as to establish the method for securing access and determine installation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preservation environment,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ases of having secured acc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ngland for the advanced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lanning factors of the fac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ngland for the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were deduced as follows: 1) The plan for facility was focused on the disabled using wheelchairs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rather than on services for hearing-impaired persons and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y. 2) As for audience movement line plan, regular route was used for audience movement line to lead them in a single direction. 3) As for the provision of prior access information, 3 stepwise access grades were established for the facility information plan of heritage. 4) As for information service by disability type, models were provided; and complementary explanation was provided by using text, drawing, picture, video and voice. 5) Rest spaces were secured where audience could look out upon castle heritage. For the utilization of castle heri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lanning factors of the facility desig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전신마취를 이용한 장애인의 보철치료 : 증례보고 (PROSTHETIC DENTISTRY PROCEDUR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 GENERAL ANESTHESIA : A CASE REPORT)

  • 이정옥;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6-150
    • /
    • 2000
  • 장애인은 일반적으로 구강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능력의 부족으로 구강위생상태가 불량하며, 치과질환의 발생빈도가 높고 그 정도가심한 편이다. 장애인의 치과치료시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행동조절은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심리적 물리적, 약물적 방법 및 전신마취 등을 선택할 수 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 전신마취를 이용하게 된다. 장애인 환자에 있어서 보철치료는 정상인에서와 다를 바가 없으나 장애정도에 따라 치과의사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수복후에도 철저한 구강위생관리를 위해 환자 스스로나 보호자의 각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증례는 경도의 장애를 가지고 있으나 치과치료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심하고, 다수치아의 수복을 위하여 장시간의 치과 치료가 요구된 경우로서 전신마취를 이용한 보존 외과적 처치 및 보철치료를 시행하여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지적 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Caregiving Self-Efficacy)에 주는 영향: 장애인 생애주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ross the life span)

  • 김교연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43-70
    • /
    • 2008
  •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 영향이 장애인 자녀가 속한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탐색하였다. 530명의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집단에서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돌봄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자녀 생애주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 비교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 효과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다. 각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가족 연구에서 생애발달적 관점이 지지되었으며, 실천적으로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자녀를 둔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이 발달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 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Online Lifelong Education at Home Using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the University on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Cooking Task Skills of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ly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7-150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이 발달장애인들의 조리직무기술 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학교 졸업 후 미취업의 상태로 가정 내에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발달장애인 세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설계 및 방법은 단일대상연구 중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으로 참여한 세 명의 발달장애인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을 통하여 조리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하였으며, 가정이 아닌 실제 식당환경에서 역시 조리직무기술의 수행을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for Oral Care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 Lee, Jae-Young;Kim, Young-Jae;Jin, Bo-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24
    • /
    • 2020
  • Background: Dental treatment has shifted to the center of the community, and the public policy of the country has expanded to support the vulnerable classes such as the disabled. The dental profession needs education regarding oral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competencies for this.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rive the normative ability to understand the role of a dental hygienist in the oral health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ement plans for education.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for deriving competencies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order to obtain abilities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Based on the competency criterion, relevant competency in the interview response was derived using the priori method,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derived ability matched the ability determined by the respondent. Results: The professional conduct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devis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consists of professional behavior, ethical decision-making, self-assessment skills, lifelong learning, and accumulated evidence. Also, core competencies of the 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competencies for dental hygienist classification such as ethics, responsibility for professional action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used as the criterion. The dental hygienist's abilities needed for oral health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in the detailed abilities to fulfill these social needs, were clarified. Conclusion: To activate oral health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for dental hygienists to fulfill their appropriate roles, and for this purpose,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tructuring is indispensable. A social safety net for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be secured by improving the required skills-based education system of dental hygienists and strengthening the related infra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