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ized Education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4초

환경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환경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Project Theme 'Environment' on Personalized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곽홍탁;이옥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3호
    • /
    • pp.45-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 practice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by promoting Personalized Environment. Therefore, implemented the project 'Environment' that included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area that had high potential energ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t was explored how the project affects the personalized environment of students. The project 'Environment' was implemented, usually focused on field trips. 35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 classes in D elementary school in D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04 to November 2004. Research material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products from teaching-learning process, diary, and video record Ethnographic research was used. Study data were analyzed 3 times. 1st analysis was needed to collect data related to students' senses of and interests in environment, and to shape the framework related to the theme. End analysis was used to categorize the main factors such as knowledge understanding, function, value attitude, action, which all affect the personalized environment of students. In 3rd analysis, it was examined what affected the personalized environment of children and the related factors were logically, objectively infer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Environment' developed children'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 Second, the children formed proper values and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 Third, the children came to develop their learning abilities on environment. Fourth, the children came to have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in everyday lives. Consequently, the project 'Environment' helped children to have Personalized Environment.

  • PDF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맞춤형 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 최승현;조성민;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135-145
    • /
    • 2012
  • 학교 교육의 책무성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에서 교사의 수업 진도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 채 학습부진아가 되는 연결고리를 끊으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육의 초기 단계인 초등학교에서부터 학습 부진아들의 학습 결손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들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설정된 수학과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서 도달해야 할 필수 학습 목표와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부진 정도의 판별을 위한 평가 도구와 학습 부진아를 지도하기 위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자료와 학습 자료는 개인의 학습 부진 정도에 따라 개별 관리가 가능한 맞춤형 학습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학습 결손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Web 기반 워드프로세서 코스웨어의 설계 및 분석 (A design and analysis of Web-Based courseware for word processor)

  • 강윤희;이주홍;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89-197
    • /
    • 2003
  • WBI(Web Based Instruction)는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 부담으로 특정 교과에 국한되어 있다. 본 논문은 WBI를 워드프로세서의 수업에 적용하여 인터넷 기반의 개별화된 교수-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WBI를 적용한 워드프로세서 수업 방식은 전통적 수업 방식에 비해 학생들이 더욱 흥미를 느끼게 하고, 워드프로세서의 수준별, 능력별, 단계별 학습 선택으로 인해 학생 중심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개별학습 과제를 통해 학습내용을 실시간 평가 할 수 있으며 피드백이 가능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 PDF

AI 쳇봇을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대학교육의 변화 (A study on the Change of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Fliped Learning Using AI)

  • 김옥분;조영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618-1624
    • /
    • 2018
  •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학부중심 학사 구조가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의 변화를 통해 학생들은 문제 해결능력을 기반으로 가치창출 능력을 배양하는 필수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창안된 프로젝트기반 학습법(Project Based Learning)과 MOOC를 결합한 거꾸로 학습법(Flipped Learning)을 과감하게 도입 및 확산하고, 날로 고도화되어 가는 AI기반의 학습컨설팅(E-Advisor)의 도입과 확산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개인 맞춤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개별화 수업체제를 활용한 학급단위 학습지원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lass-based 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Theory)

  • 김연중;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9-110
    • /
    • 2010
  • 현재 학교의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 간 학습 능력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에서는 개별 학습과 수준별 학습을 권장한다. 그러나 교사가 단위 수업 시간 안에 수준별 개별학습을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Keller의 개별화수업체제 이론을 활용한 온라인 환경의 학습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학급 단위의 학습지원시스템으로, 수시로 실시되는 형성평가를 위해 실용성에 중심을 두었다. 학습자는 교실의 제한된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의 속도에 맞게 학습할 수 있으며, 반복 학습을 통해 궁극적으로 완전학습 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온라인 학습의 중요한 요소인 자기주도적 참여를 위하여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제도들을 적용하였다. 본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교사는 형성평가를 실시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었고, 학생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는 유동적 학습과 반복 학습을 통해 목표 도달의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 PDF

전북 일부 지역 과체중 및 비만 중년 여성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 효과 -개인별 하루필요에너지 및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on Overweight and Obese Middle-aged Women in Jeonbuk Area-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s)

  • 김세연;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7-32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on anthropometric, 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for overweight and obese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The subjects were 60 overweight/obese women based on BMI (educated 30 vs. non-educated 30, 50~64 years). Educated group was provided individual and/or group lessons (40 min/lesson/week, 5 week), 'Introduction: obese & health', '6 nutrients and 6 food groups', 'My obesity & daily needed energy', 'Meal planning for personalized daily energy and food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s', and 'Smart food choices'. After educa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educated group and non-educated group. Results: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the educated group, there were improvements on anthropometric/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in the educated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ed group. We observed a decrease in the mean weight, total cholesterol (TC) and the incidence of overweight/obesity and hypercholesterolemia and an increase in the mean lean body mass. Th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Function of carbohydrate, protein, vitamin, mineral' and 'Food Sources of fat, vitamin, mineral' were increased. The scores of dietary attitudes, 'Taking a joyful meal, a leisurely meal, a balanced meal, a meal with sufficient vegetables, a meal with diversity, a meal with spicy foods, a meal with overeating' were increased. The intakes of energy, carbohydrate, fat, protein, vitamin A, thiamin, Zn and cholesterol were decreased. The scores of INQ, protein, vitamin A, vitamin C, thiamin, riboflavin, vitamin B6, folate, Ca, P, Fe, Zn were increased. Conclusions: The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overweight and obese may improve food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symptoms of overweight and obese, even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남녀 혼성반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Classroom Climate Perceived by Students in Mixed Classes)

  • 노태희;최용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1-409
    • /
    • 1996
  • In this study, the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climate were investigated for 36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mixed classes. The instrument used was an adapted version of the Student Perception Questionnaire (SPQ), which consists of five elements-Participatory Climate, Personalized Interaction, Student Assertiveness, Positive Teacher, and Negative Teach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Participatory Climate and the Positive Teacher were not significa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perceptions of the Negative Teacher, the Personalized Interaction and the Student Assertiveness, which measure the climate for the individual student.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male and female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perceptions of science classroom climate except one item on the Participatory Climat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Development of a Personalized Similarity Measure using Genetic Algorithm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 Lee, Soo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219-226
    • /
    • 2018
  • Collaborative filtering has been most popular approach to recommend items in online recommender systems. However, collaborative filtering is known to suffer from data sparsity problem. As a simple way to overcome this problem in literature, Jaccard index has been adopted to combine with the existing similarity measures. We analyze performance of such combination in various data environments. We also find optimal weights of factors in the combination using a genetic algorithm to formulate a similarity measure. Furthermore, optimal weights are searched for each user independently, in order to reflect each user's different rating behavior.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personalized similarity measure is examined using two datasets with different data characteristics. It presents overall superiority to previous measures in terms of recommendation and prediction qualitie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environment.

머신러닝 추천모듈이 적용된 맞춤형 학습 플랫폼 효과성 탐색: 학습시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n the personalized learning platform with machine learning recommendation modules: Focused on learning tim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 박만구;임현정;김지영;이규하;김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73-3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천 알고리즘을 스스로 고도화하는 머신러닝 추천모듈이 적용된 개인 맞춤형 학습 플랫폼이 학생들의 학습시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개인 맞춤형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시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학업성취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맞춤형 학습과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시간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개인화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콘텐츠 추천 기법 (Content Recommendation Techniques for Personalized Software Education)

  • 김완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95-104
    • /
    • 2019
  • 최근 소프트웨어 교육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요소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많은 대학들이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전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SW교육 도입을 위해 온라인 콘텐츠의 활용은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률적인 온라인 콘텐츠의 제공은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전공, 흥미, 이해력, 관심분야 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불리언 형태의 시청이력 데이터 환경에서 콘텐츠 간의 방향성 있는 유사도를 활용하는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연관규칙 분석의 확신도를 유사도 값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아이템기반 추천 수식을 제안하여 국내의 실제 유료 콘텐츠 사이트의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코사인, 자카드 등의 전통적인 유사도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추천방식을 사용할 때 보다 추천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