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ontal Health Status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2초

치과내원 환자의 치주건강인식도와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of Periodontal Health Recognition and Self Oral Hygiene Behaviors of Dental Clinic Inpatient)

  • 장지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66-672
    • /
    • 2015
  • 본 논문은 치주건강인식도와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의 수준과 관련성을 파악하여 환자들에게 효율적이고 올바른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D지역의 치과의원 1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2일부터 12월 31까지 설문조사하여 회수한 설문지 592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주건강인식도에서 연령은 '증상'에서 50~59세가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 학력과 월 소득은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치료'와 '관리'에서 건강할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에서 성별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령은 20~29세가 가장 유의하게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월 소득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치주건강인식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치주건강인식도와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의 상관관계에서 치주건강인식도 중 관리 및 오개념과 자기구강위생관리 행위는 정(+)의 약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치주건강인식도가 자기구강 위생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에서 학력과 월 소득이 높을수록, 남자보다 여자가, 관리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높을수록, 치료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낮을수록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독립변수 중 관리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상대적으로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관리와 오개념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높을수록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는 높은 것으로 연관성이 있었으며,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력, 월 소득, 치주건강인식도 하위영역 중 치료와 관리였다. 따라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치주건강에 관한 교육을 통하여 환자들의 치주건강관리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여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를 잘 실천할 수 있도록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통해 도와주어야 하겠다.

일부 노인의 구강 위생관리 및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 (Oral Hygiene Management and Awareness of Calculus Removal in Some of the Elderly)

  • 고은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alculus removal, an essential factor in periodontal dis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Further,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oral hygiene management matters of individuals and to use the information as primary data for preventing dental loss and improving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From December 20, 2019, to January 15, 2020, the results of 171 studies on oral hygiene management and awareness of calculus removal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in Busan and Gyeongnam are as follows: The elderly with good health appreciated their functional oral health statu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Χ2=298.26, p<.001). Many of the elderly brushing their teeth at least three times a day had a better health statu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health status (= 134.42, p <.001). Usually, older people who are in good health have a dental floss (Χ2=89.31, p<.001), and the dental floss were used more often and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 health status (Χ2=92.53, p<.001). The elderly's perception of tartar removal has shown that the overall average out of five points is positive at 3.48. Older female adults were more positiv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gender (t=-7.95, p<.001). Senior citizens aged 65 to 70 were more positive about dental removal than those aged 71 or old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6.65, p<.001). As described above, oral hygiene management for the elderly population needs to develop a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program linked to systemic diseases, considering that there are many chronic diseases.

Oral health status of Korean adults with implants according to their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results from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2013-2015)

  • Choi, Yong-Keum;Kim, Eun-Jeo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4호
    • /
    • pp.268-277
    • /
    • 2020
  • Purpose: Many home care treatments can be used to promote the health and longevity of dental implants; however, few studies are available to support the concept that self-performed oral hygiene behaviors are an essential tool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oral health. We investigated age-stratified associations between dental health behaviors related to tooth brushing (TB) and oral hygiene product use in Korean adults with implants. Methods: A total of 1,911 subjects over 19 years of age who had 1 or more implants and who participated in the 2013 to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reviewed. Periodontal status was assessed using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scores, and periodontitis was defined as a CPI greater than or equal to 3. The complex sampling design of the survey was utilized to obtain the variance and individual weight of each analyzed factor. A high CPI was the outcome variable, and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s were oral hygiene behaviors, such as TB, dental floss (DF), interproximal brushing, and mouth rinsing. Results: Almost all individuals with a lower CPI brushed their teeth twice or more per day, in contrast to those with a higher CPI, and were likely to use DF. The adjusted odds ratio of not using DF for a higher CPI was 1.83 (95% confidence interval, 1.35-2.49). Conclusions: TB was implemented more than twice a day by patients with good oral health, and the combination of TB and DF significantly reduced the prevalence of a higher CPI. Self-performed oral hygiene practices combining TB and DF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 low prevalence of periodontitis in implant patients.

산업체 근로자들의 치주질환 인식 및 치주건강실태 조사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wareness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among Industrial Workers)

  • 홍민희;김윤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6-22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체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치주질환의 인식 및 치주건강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에 관한 지식을 처음으로 알게 된 경로는 치과병원에서 알게 된 근로자가 36.3%로 가장 많았으며, 근로자들의 치석제거 주기에 관해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치석제거를 6개월에 한 번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1년에 한 번 정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근로자들이 가지고 있는 치주질환 상태를 살펴본 결과, 치주질환으로 이 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근로자가 26.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경우(24.5%)와 치아가 시리고(20.6%), 잇몸이 가끔 붓는 경우(15.9%), 그리고 치아가 흔들리는(4.5%) 순으로 나타났다. 3. 치주질환의 원인에 대해 근로자들은 부적절한 잇솔질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48.8%로 가장 많았으며,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올바른 잇솔질이 잇몸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66.8%로 가장 많았다.

성인의 비만과 치주질환과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ce of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 이유희;최정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15-222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 비만자를 대상으로 구강관리행태와 치주질환 유병을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4381명의 성인을 추출하였고 체질량지수, 잇솔질횟수, 음주, 흡연 및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빈도 및 카이제곱 검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잇솔질횟수가 많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은 낮아졌고,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치주질환 유병률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잇솔질 횟수가 영향을 주며 두 변수는 궁극적으로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건강이슈인 비만의 경우 구강관리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구강보건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한다.

구강건강상태와 류마티스 관절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Rheumatoid Arthritis)

  • 최은실;조한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12-619
    • /
    • 2015
  • 본 연구는 구강건강상태가 전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는 목적 아래 KNHANES 제6기 1차년도(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와 류마티스 관절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치주상태 관련성을 교차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류마티스 관절염과 치아상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001). 류마티스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치주상태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아상실의 개수가 19~28개인 사람은 0~8개인 사람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이 약 3배, 9~18개인 사람은 0~8개인 사람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이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치아상실 개수가 많을수록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치주상태와 치아상실을 동시에 로지스틱 회귀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통제변수를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골밀도 검사를 비롯한 임상검사와 약 복용 등의 염증상태에 대한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보다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구강건강상태와 류마티스 관절염의 관련성에 관한 양방향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두 질환 사이의 명확한 매커니즘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치주질환자 구강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치면세균막관리(잇솔질교육)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laque control (tooth brushing instruction) for oral health improvement on periodontitis patients)

  • 김설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93-301
    • /
    • 2011
  • Objectives : The aim of the trial was to study the effect of plaque control(tooth brushing instruction) for oral health improvement on periodontitis patients. Methods : 30 patients(35~65 years) with advanced periodontal disease were subjected to a baseline examination including assessment of oral hygiene status(O'leary index), gingival condition(bleeding). the assessment were repeated after 2, 4, 6 weeks. cognitive, behavioral and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in the primary care setting by questionnaire and clinical oral examination. Results : The oral hygiene status expressed as the individual mean percentage of tooth surfaces with plaque 59.3% at baseline and 21.2% after 6 weeks(p<0.001). The gingival bleeding status expressed as the individual mean point of interdental papilla 3.8 at baseline and 1.9 after 6 weeks(p<0.001). Also, the patients self-assessment about correct tooth brushing behavior was 3.9(5-point likert scales), satisfaction of plan practices 4.1(5-point likert scales), efficacy of tooth brushing instruction 8.7(10-point likert scales). Patients wanted to continuous participation. Conclusions : A verification of effect after individualized oral health instruction and repeated dental plaque control represented to significance on plaque control score, oral care practice and oral health recognition. The important oral care step against periodontal disease is to establish good oral health habits. Also, oral health behavior 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for the practice of oral health. Therefore professional plaque control and tooth brushing instruction absolutely need in improving oral health.

비만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oral health)

  • 송애희;정은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9-157
    • /
    • 2018
  • 본 연구는 19세 이상 비만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 상태와 행태를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5,632명을 체질량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 과체중으로 분류하여 비만도에 따른 음주, 흡연,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대한 관련성을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남자, 60대, 저소득층, 교육수준이 낮고, 기혼에서 비만도가 높았으며, 비만자일수록 치주질환 유병이 높았고, 주관적 구강건상 상태가 더 나쁘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고려한 연구는 비만성인의 구강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만 성인에 맞는 맞춤형 구강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정기적인 교육으로 구강건강상태와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동기유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 저소득층 고령 주민의 구강건강실태 (Oral Health Status of Needy Old Residents in Urban Area)

  • 손우성;허복;박수병;김진범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2-89
    • /
    • 1996
  • 도시 고령 영세민들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구강보건진료사업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운봉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주민들 중 44세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구강건강행동과 구강건강실태를 조사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일 잇솔질횟수는 44-54세에서 1,9회, 55-64세에서 1.7회, 65세이상에서 1.7회이었고, 식후 잇솔질률은 44-54세에서 73.7%, 55-64세에서 식후 잇솔질률은 70.6%, 65세이상에서 식후 잇솔질률은 76.5%이었다. 2.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44-54세에서 15.5개, 55-64세에서 16.4개, 65세이상에서 26.6개이었다. 3. 우식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23.9%, 55-65세에서 11.6%, 65세이상에서는 11.7%이었고, 상실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55.5%, 55-65세에서 62.8%, 65세이상에서는 77.4%이었으며, 처치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20.0%, 55-65세에서 25.0%, 65세이상에서는 10.9%이었다. 4. 건전영구치수는 44-54세에서 16.4개, 55-64세에서 15.6개, 65세이상에서 5.4개이었고, 현존영구치수는 44-54세에서 23.7개, 55-64세에서 21.6개, 65세이상에서 10.9개이었다. 5. 치면세마필요자율은 44-54세에서 75.0%, 55-64세에서 83.3%, 65세이상에서 76.9%이었으며, 복합치주병치료 필요자율은 44-54세에서 16.7%, 55-64세에서 13.3%, 65세이상에서 15.4%이었다. 6. 치면세마 필요분악률은 44-54세에서 59.3%, 55-64세에서 71.5%, 65세이상에서 71.5%이었으며, 복합치주병치료 필요분악를은 44-54세에서 5.6%, 55-64세에서 4.1%, 65세이상에서 5.7%이었다. 7. 도시 저소득층 고령 주민들의 구강건강향상을 위해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구강보건진료사업을 개발하여야 한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Oral Pathogenic Bacteria according to Smoking Using Real-Time PCR

  • Jeon, Eun-Suk;Heo, Hyo-Jin;Ko, Hyo-Ji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0-68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intra-buccal oral pathogenic bacteria detected in smokers and aims to yield objective baseline data for applications in anti-smoking and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rom April to May 2016, participants in an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within an intensive dental hygiene training course at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received an explanation of the study purposes and methods, after which male smokers aged 18~30 years agre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of oral pathogenic bacteria was performed after collecting gingival sulcus fluid samples from 67 smokers. The intra-buccal oral pathogenic bacteria distribu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behaviors, and oral care behaviors. The distribution results show that pathogens in the anterior teeth are affected (in this order) by age, toothbrush size, and smoking status; older people had fewer pathogens, those who used larger toothbrushes had more pathogens, and smokers had more pathogens, compared to non-smokers ($_{adj}R^2=19.1$). In the posterior teeth, pathogens were influenced (in this order) by smoking status, smoking duration, and the number of tooth brushings per day; smokers had more pathogens than non-smokers, and those who brushed their teeth more often had fewer pathogens ($_{adj}R^2=25.1$). The overall pathogen distribution was affected only by smoking status: smokers generally had more pathogens, compared to non-smok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due to smoking during anti-smoking or dental health education sessions; particularly, the use of smaller toothbrushes for anterior teeth and the need for smokers in their early twenties to quit smoking for dental health should be highly emphas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