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odontal Disease Awarenes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구강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흡연여부 연계성 조사 (Convergence study of Effects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Smoking Status)

  • 김일신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73-77
    • /
    • 2023
  • 본 논문연구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흡연 유.무에 따른 구강환경 변화에 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성인에 대한 구강보건교육 시 치주질환과 흡연과의 연관성 및 금연에 관한 교육 병행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2022년 8월과 9월에 걸쳐 편의표본 추출된 대상 5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인 구강상태 분석에서 비흡연자 가운데 매우 좋거나 좋다고 생각한 비율은 65.4%, 흡연자 그룹은 59.0%를 보였다. 또한, 비흡연자와 흡연자 그룹 모두에서 비흡연자의 청결도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금연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비흡연자 그룹의 63.9%, 흡연자 그룹의 76.1%가 '있다'라고 답하였다. '흡연 유무에 따라 구강환경에 변화를 보인다.'는 교육은 비흡연자군에서는 '없다'가, 흡연자군에서는 '있다'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구강보건교육시 흡연과의 연관성 및 예방을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교육방법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강보건관리 지식 및 교육정도에 기반한 군병원 외래환자의 구강건강상태 (Oral Health Care Knowledge and Education of Out-patients in the Military Hospital)

  • 변진영;이명희;문철현;임정수;강천국;서화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81-487
    • /
    • 2010
  •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일대 군병원에 내원하는 입원환자와 외래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배부된 총 200부의 설문지 중 182부가 회수되어 91%의 회수율을 보였다.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자료처리가 불가능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8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조사기간은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20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보건관리 인식 및 지식수준을 조사한 결과,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18.733점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 예방에 대한 인식은 25점 만점에 19.272점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관리 지식은 30점 만점에 25.305점으로 나타났다. 2.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 교육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를 살펴보면, 관심정도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 (P=0.0083)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구강보건관리 인식 지식정도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치아우식증 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평균 19.188점, 보통이다 평균 18.210점, 건강하다 평균 18.971점으로 나타나 치아우식증 예방효과의 인식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주질환예방에 대한 인식에서는, 25점 만점에 건강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구강보건관리에 관한 관심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개인의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행위와 건강상태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보건관리는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실천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가 및 군(軍)에서의 최상의 전투력을 유지하고 발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병들의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보건 사업이 주요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중소 사업장 근로자의 치석제거 경험 관련요인 (The Associated Factors with Scaling Experience among Some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 이재라;한미아;박종;류소연;이철갑;문상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3-340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사업장에 종사하는 생산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치석제거 경험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광주광역시 188개 중소기업 중 편의추출법으로 5개 사업장을 선정하여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455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적 특성과 근무관련특성, 치석제거 경험 등을 조사하였다.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최근 1년 이내 치석제거 경험은 47.0%였으며, 근로자의 연령이 낮은 경우(aOR, 3.09; 95% CI, 1.60~5.96), 직위가 높은 경우(aOR, 2.68; 95% CI, 1.55~4.63),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경우(aOR, 2.15; 95% CI, 1.02~4.52), 최근 1년간 정기적인 구강 검진 경험이 있는 경우(aOR, 2.76; 95% CI, 1.50~5.11), 치석제거 건강보험급여화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aOR, 2.91; 95% CI, 1.80~4.72)가 치석제거 경험의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치석제거 경험은 47.0%로 비교적 낮았으며, 치석제거 경험에 관련된 요인들은 연령, 직위, 사용 중인 구강관리보조용품, 정기적인 구강검진, 구강질환으로 인한 조퇴 경험, 치석제거 급여화 인지여부였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근로자의 근무환경 개선 및 치석제거의 인식도 향상을 통해 치석제거 경험률을 높인다면 향후 근로자들의 치주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급성림프모구성 백혈병의 조기진단 시 구강병변 양상을 통한 감별의 중요성 (Differential Diagnosis of Oral Lesions for the Initial Diagnosis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서미현;하지영;허경회;조영아;김성민;최진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07-111
    • /
    • 2013
  • Careful examination of the oral cavity may reveal findings indicative of an underlying systemic condition, and allow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Examination should include evaluation for mucosal changes, periodontal inflammation and bleeding, and general condition of the teeth. A 12-year-old man visited for molar pain during 3 months. He was diagnosed with having a possibility of hematopoietic malignancy, showing the loss of lamina dura, destruction of bony crypt, and high attenuation in the bone marrow. He was referred to department of pediatrics, additional study, including peripheral cell morphology and bone marrow exam, were performed, and diagnosed as acute lymphoblastic anemia. Despite chemotherapy to cure leukemia, he was expired 8 months after initial diagnosi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promote and evoke the awareness regarding an initial examination of the dentist to make an effort to acquire accur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life-threatening disease in usual dental practice.

부산·경남 일부 중고등학생의 구강보건행동 및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education for a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Busan, Gyeongnam province)

  • 장경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7-1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care and to improve the oral health after the effective education of oral health behavior. The survey is conducted for 48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about the oral health behavior, the cause and the preventive of oral diseases an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by the self-answering method. The date was analysed using the SPSS 13.0 program. The obtained result were as follows. 1. 38.8% students in middle school have been to the dentist within one year and the reason is the dental care that is to 61.7% in the ca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2. For the daily toothbrushing frequency. above 3 times is highest to 57.9%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2 times 59.9% in high school students. 3. 45.9% and 45.0%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have the regular dental check-ups to prevent th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with greatest portion. 4. 35.7% respondents had experienced oral health education. 48% of them got the education from the dental clinics. 82.2% of the education method is a theory and the contents is toothbrushing method with 58.7% portion. 5. 86% respond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swered that regular oral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and 78.1% student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that the regular dental check-up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able them have early medical treatment and protection against oral disease. Also for the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those program and various media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to enhance the students' motive for oral health.

  • PDF

일부 성인의 계속구강관리프로그램 인식과 요구도 (Awareness and Need as Factors in an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Program for Korean Adults)

  • 장호열;이수련;이윤지;이수빈;이하늘;이혜빈;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42-448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필요성과 참여 의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6월 1일부터 8월 3일까지 대전광역시에서 거주하며 치과에서 1회 이상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중 303명을 편의추출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3회 이상 이를 닦는 대상자는 72.6%였으며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는 대상자는 55.8%였고 칫솔질 시간이 2분 이상인 대상자는 55.8%였다. 치면착색제 경험은 1일 칫솔질 횟수에 영향을 미쳤으며 치면착색제 경험, 칫솔질 교육, 구강보조용품 사용 교육, 치주질환 예방 교육은 구강보조용품 사용과 1회 칫솔질 시간에 영향을 미쳤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93.1%였으며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의향은 68.0%였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1회 참여비용은 1만원 이상 2만원 미만이 70.3%로 가장 많았으며 관리주기는 6개월이 42.6%로 가장 많았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요구도는 구강세균검사 74.3%, 칫솔질 교육 71.6%, 구취검사 69.3%, 구강보조용품 교육 46.9%, 치면세균막검사 42.9%, 타액검사 37.6% 순이었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필요성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졸 이하에 비해 대졸 이상 4.514배,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사용하는 군이 2.878배, 칫솔질 시간이 2분 미만군에 비해 2분 이상군이 3.138배 필요성 인지가 높았다.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주질환 예방 교육 경험이 없는 군에 비해 예방교육 경험이 있는 군이 1.915배 높았으며 구강보조용품 사용을 하지 않는 군에 비해 사용하는 군이 2.065배 높았다. 따라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하는 것이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구강세균검사나 구취검사 등이 성인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것이 추천되며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본인이 부담할 수 있는 적정 비용 수준으로 보험 급여화될 수 있도록 제안해야 한다.

일부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결손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Behavior and Missing Teeth of Some Workers)

  • 배지영;정기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9-346
    • /
    • 2013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결손치에 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울산시 근로자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인지도는 30대가 가장 높았고(p<0.01), 구강건강의 감수성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는 여성(p<0.01), 연령이 낮을수록(p<0.05), 학력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연령이 낮을수록(p<0.001), 학력이 높을수록 잇솔질 횟수가 많았고(p<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하루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결손치의 비율이 낮았으며(p<0.01), 치아를 닦을 때 치간칫솔, 치실 등의 구강위생용품 사용하는 경우에 결손치의 비율이 낮았으며(p<0.01), 예방목적으로 치과 내원한 경우에 결손치 비율이 낮았으며 (p<0.05),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에 결손치의 비율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4.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 감수성, 구강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구강건강상태와 결손치수, 잇솔질 횟수와 결손치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근로자들은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구강건강관리와 치아의 소중함을 배우고,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될 것이다.

일부지역 중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 지식 및 실천정도 분석 (The Analysis of the Oral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Actual Oral Health Care of Middle Schoolers in Some Regions)

  • 이춘선;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7-122
    • /
    • 2008
  • 중학교 학생들의 구강보건교육 활성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시도한 본 연구는 중학교 재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인식 지식 및 실천정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정도에 있어 관심이 있는 경우가 56.7%인 반면, 별로 관심이 없거나 전혀 관심이 없는 경우도 43.2%나 되었다. 2. 현재 인지하고 있는 구강상태 정도는 '건강하다' 가 36.7%, '무언가 이상이 있거나 충치 및 잇몸병이 있다' 응답한 경우가 63.3%로 나타났으며, 구강에 나타나는 증상 및 증후의 자기평가 정도는 턱관절 관련 25.8%, 잇몸질환 관련이 30% 정도 인지하고 있었다. 3. 잇솔질 습관과 관련하여 점심식사 후 잇솔질을 하는 경우에 있어 여학생(45.2%)이 남학생(13.6%)에 비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잇솔질 방법과 잇솔질하는 부위에 있어서는 남녀간에 약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4. 구강보건지식에 있어서는 여학생(7.05점)이 남학생(6.36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정도가 높을수록 지식점수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 치과방문경험에 있어서 당분섭취제한 및 주기적 검진의 실천정도는 방문경험이 있는 경우(2.62점, 2.50점)가 방문경험이 없는 경우(2.32점, 1.74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DF

의료 소비자의 사회경제학적 특성,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치석제거보험급여화의 융합 연구-의료소비자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study of scaling insurance coverage in socioeconomic, oral health behaviors -Medical consumer)

  • 전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5-136
    • /
    • 2018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치과건강보험급여화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미래 치석제거 국민들의 구강건강향상을 위해 치과건강보험급여가 확대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 1회 치석제거급여 연령에 대한 적절성 여부는 나이와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연 1회 치석제거 급여횟수에 대한 적절성 여부는 결혼여부, 지역(구), 자가구강건강인지에서 유의하였으며(p<0.05), 연 1회 치석제거 급여수가에 대한 적절성 여부에서는 하루잇솔질총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국 연령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치주질환의 증가로 국가 차원에서의 건강보험급여 항목이 추가되어야 하며, 본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치석제거 건강보험급여화는 연령, 횟수, 수가부분에서 더욱 확대 되어야하며, 향후 치과건강보험 급여정책 향상을 위한 노력은 국민의 구강건강을 위해 계속되어야 한다.

Analysis of Dental Hygienist Job Recognition Using Text Mining

  • Kim, Bo-Ra;Ahn, Eunsuk;Hwang, Soo-Jeong;Jeong, Soon-Jeong;Kim, Sun-Mi;Han, Ji-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0-78
    • /
    • 2021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ublic demand for information about the job of dental hygienists by mining text data collected from the online Q & A section on an Internet portal site. Methods: Text data were collected from inquiries that were posted on the Naver Q & A section from January 2003 to July 2020 using "dental hygienist job recognition," "role recognition," "medical assistance," and "scaling" as search keywords. Text mining techniques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Korean words and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words was analyzed. Results: A total of 10,753 Korean words related to the job of dental hygienist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 data. "Chi-lyo (treatment)," "chigwa (dental clinic)," "ske-illing (scaling)," "itmom (gum)," and "chia (tooth)" were the five most frequently used words. The word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areas of job of the dental hygienist: periodontal disease treatment and prevention, medical assistance, patient care and consultation, and others. Among these areas, the number of words related to medical assistance was the largest, with sixty-six association rules found between the words, and "chi-lyo," "chigwa," and "ske-illing" as core words. Conclusion: The public demand for information about the job of dental hygienists was mainly related to "chi-lyo," "chigwa," and "ske-illing" as core words, demonstrating that scaling is recognized by the public as the job of a dental hygienist. However, the high demand for information related to treatment and medical assistance in the context of dental hygienists indicates that the job of dental hygienists is recognized by the public as being more focused on medical assistance than preventive dental care that are provided with job aut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