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apical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성인에서 치과용 방사선사진에 의한 연령감정 (Age Estimation by Dental Radiographs in Korean Adults)

  • 전희선;태일호;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2호
    • /
    • pp.179-188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용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치수크기와 연령 사이의 연관성을 검사함으로써 성인의 연령을 감정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20-69세 환자 276명 (남성 111명, 여성 165명)을 대상으로 하여, 충전물이나 병적요인이 없는 716개의 하악 치아 (견치 218개, 제 1, 소구치 230개, 제 2 소구치 268개)를 선택하였다. 치근단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치관의 높이(mm)인 CH(coronal height), 치관 치수강의 높이(mm)인 CPCH(coronal pulp cavity height)를 측정하였다. Ikeda 등(Jpn. J. For. Med. 1985;39:244-250)의 tooth-coronal index(TCI)를 이용하여 각 치아를 계산하였고, 통계분석하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TCI도 감소하였다. 각각의 성에서 각 치아를 따로 분석한 경우보다 합한 경우에서 연령 증가에 따른 TCI의 감소가 고르게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합한 표본의 견치에서 가장 뚜렷한 고른 감소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여성의 견치에서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2$=0.247).

SLA surface를 가진 taper straight designed implant의 방사선학적 평가와 생존율: 1년 추적 관찰을 통한 후향적 연구 (Radiologic evaluation and survival rate of taper-straight designed implant with SLA surface: A 1-year follow-up retrospective study)

  • 김지은;김예슬;김옥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05-414
    • /
    • 2021
  • 목적: 이번 연구는 최근 시판되고 있는 국내산 taper straight 타입의 SLA surface를 가진 임플란트의 변연골 흡수도와 생존율을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2016년 8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KISPLANT®가 식립된 성인남녀 83명의 125개의 임플란트 중 포함 기준을 충족시키는 19명의 40개의 임플란트를 1년 동안의 관찰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과 1년 후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변연골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생존율과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또한 치주염 심도, SPT, 식립 부위, 치아 발거 이유, 즉시 식립 여부, 전신질환에 따라 변연골 흡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test를 수행하였다. 결과: 근심측 변연골 흡수도는 0.74 ± 1.07 mm, 원심측 변연골 흡수도는 0.53 ± 1.04 mm로 나타났다. 1년 동안 40개의 임플란트 중 3개의 임플란트에서 2 mm 이상의 변연골 흡수가 일어나 임플란트 성공률은 92.5%이고 생존율은 100%이었다. t-test를 수행한 결과 근심측 변연골 흡수도와 식립 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변연골 흡수도와 성공률, 생존율을 평가해 본 결과 임플란트 식립 1년 후 높은 생존율과 성공률을 보였고 낮은 변연골 흡수도를 보여 taper straight 타입의 SLA surface를 가진 임플란트는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The long-term evaluation of the prognosis of implants with acid-etched surfaces sandblasted with alumina: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 Kim, Min-Joong;Yun, Pil-Young;Chang, Na-Hee;Kim, Young-Ky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2권
    • /
    • pp.10.1-10.9
    • /
    • 2020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clinical stability of implants with acid-etched surfaces sandblasted with alumina using retrospective analyses of the survival rate, success rate, primary and secondary stability, complications, and marginal bone loss of the implants. Methods: Patients who had implants placed (TS III SA, SS II SA, SS III SA, and U III SA) with SA surfaces from Osstem (Osstem Implant Co., Busan, Korea)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0 were selected for the study.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panorama, periapical view)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 investigate sex, age, location of implantation, diameter, and length of the implants, initial and secondary stability, presence of bone grafting, types of bone grafting and membranes, early and delayed complications, marginal bone loss, and implant survival rate. Results: Ninety-six implants were placed in 45 patients. Five implants were remov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for a total survival rate of 94.8%. There were 14 cases of complications, including 6 cases of early complications and 8 cases of delayed complications. All five implants that failed to survive were included in the early complications. The survival of impla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nd the absorption of bone greater than 1 mm within 1 year after prosthetic completion. In addition, the absorption of bone greater than 1 mm within 1 year after prosthetic comple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primary stability, and implant placement method. Five cases that failed to survive were all included in the early complications criteria such as infection, failure of initial osseointegration, and early exposure of the fixture. Conclusions: Of the 96 cases, 5 implants failed resulting in a 94.8% survival rate. The failed implants were all cases of early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failure of initial osseointegration, and early exposure of the fixtures. Periimplantitis was mostly addressed through conservative and/or surgical treatment and resulted in very low prosthetic complications. Therefore, if preventive measures are taken to minimize initial complications, the results can be very stable.

Intraosseous anesthesia in 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Impact of bone thickness on perception and duration of pain

  • Nilius, Manfred;Mueller, Charlotte;Nilius, Minou Helene;Haim, Dominik;Leonhardt, Henry;Lauer, Guenter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6호
    • /
    • pp.367-375
    • /
    • 2020
  • Background: Intraosseous anesthesia (IO) allows the anesthetic solution to be injected directly into the cancellous bone. The anesthetic solution immediately reaches the periapical region, and thus the axonal area of the nerve, where it can temporarily disable the sodium pump. The effect is felt almost without any time delay, and only a small amount of anesthetic solution is required. Method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IO using the AnestoⓇ device after infiltration anesthesia (IA) and/o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IANB) failed to work in 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hot tooth). The 33 patients included in the study were treated additionally with 1.7 ml articaine hydrochloride with 1:100,000 epinephrine hydrochloride (UltracainⓇ D-S, Sanofi-Aventis, Frankfurt, Germany) IO. Results: The electrical pulp test showed that 95.76% of the volunteers reacted positively to the combination of IANB or IA with the IO. In women, the additive IO was effective at 97.22%. In men, the IO led to pain elimination in 94.00% of cases. The duration of the IO was less than a quarter of an hour (13.03 min). The IO worked longer in women than in men (13.61 min vs. 12.33 min). Overall, more than every third tooth that needed trepanation was located in the posterior area of the mandible (36.4%). Treatment of hot teeth in this area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ulse rate and increased residual pain. There was a moderate correlation (Spearman-Rho [IRI] = 0.280) between th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and bone density,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IRI = 0.612) between subjective residual pain and bone width. The IO resulted in a moderate, transient increase in the pulse rate by approximately 20 bpm. This is similar to the temporary increase in heart rate after conventional anesthesia techniques in non-preloaded patients and can be considered clinically irrelevant. Conclusion: IO with the AnestoⓇ device as an extension and deepening of local pain elimination is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of hot teeth.

재생근관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분석 (Clinical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Regenerative Endodontic Procedure)

  • 김인기;김현태;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49-459
    • /
    • 2021
  • 이 연구는 재생근관치료 결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011년 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외상과 치외치 파절로 항생제 복합제제를 사용하여 재생근관치료를 시행한 54명의 환자와 57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도적 출혈 여부, 치료원인, 치근발육단계에 따른 재생근관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치료 결과는 증상의 개선, 치근단병소의 변화, 치근성장량을 토대로 판단하였다. 영상 촬영각도 및 위치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Turboreg plugin을 사용하였고, ImageJ softeware상에서 치근단공 크기, 치근면적, 치근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의도적 출혈 유무는 치료 결과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외상으로 인한 경우 치외치 파절로 인한 경우보다 치근면적과 치근길이의 증가가 적었다. 치근발육이 덜 진행된 치아일수록 치근면적의 성장이 크게 나타났다.

Impact of lattice versus solid structure of 3D-printed multiroot dental implants using Ti-6Al-4V: a preclinical pilot study

  • Lee, Jungwon;Li, Ling;Song, Hyun-Young;Son, Min-Jung;Lee, Yong-Moo;Koo, Ki-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4호
    • /
    • pp.338-350
    • /
    • 2022
  • Purpose: Var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3-dimensional (3D)-printed implants using Ti6Al-4V powder; however, multi-root 3D-printed implant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ability of multirooted 3D-printed implants with lattice and solid structures. The secondary outcomes were comparisons between the 2 types of 3D-printed implants in micro-computed tomographic and histological analyses. Methods: Lattice- and solid-type 3D-printed implants for the left and right mandibular third premolars in beagle dogs were fabricated. Four implants in each group were placed immediately following tooth extraction. Implant stability measurement and periapical X-rays were performed every 2 weeks for 12 weeks. Peri-implant bone volume/tissue volume (BV/TV)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measured by micro-computed tomography. Bone-to-implant contact (BIC) and bone area fraction occupancy (BAFO) were measured in histomorphometric analyses. Results: All 4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survived. Three solid-type 3D-printed implants were removed before the planned sacrifice date due to implant mobility. A slight, gradual increase in implant stability values from implant surgery to 4 weeks after surgery was observed in the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The marginal bone change of the surviving solid-type 3D-printed implant was approximately 5 mm, whereas the value was approximately 2 mm in the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BV/TV and BMD in the lattice type 3D-printed implant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surviving solid-type implant. However, BIC and BAFO were lower in the surviving solid-type 3D-printed implant than in the lattice-type 3D-printed implant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is preclinical study, 3D-printed implants of double-rooted teeth showed high primary stability. However, 3D-printed implants with interlocking structures such as lattices might provide high secondary stability and successful osseointegration.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수복 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기성금속관의 생존율 비교 평가: 후향적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Survival Rates of Zirconia Crown and Stainless Steel Crown for 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a Retrospective Study)

  • 정가희;이난영;신혜원;박수현;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07-317
    • /
    • 2023
  • 심미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유구치 수복을 위한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지르코니아 전장관으로 수복한 치아를 장기간 추적 관찰하거나 다른 재료와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인접면 우식증에 대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기성금속관의 36개월 동안의 생존율을 비교하여 평가하고, 각 기성관의 수복 실패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와 두 개의 개인 치과의원에 내원하여 두 기성관으로 수복 치료를 받은 498명 환자에 대한 1,061개의 유구치에 대한 전자의무기록지와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생존분석 결과, 기성금속관으로 수복한 치아의 생존율이 지르코니아 전장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치수 치료 시행 여부를 나눠 생존 분석을 시행한 결과, 치수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 기성금속관의 생존율이 지르코니아 전장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치수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는 두 기성관의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성금속관의 주된 수복실패 원인은 비정상적 치근 흡수 또는 치근단 투과상 병소의 발생이었고, 지르코니아 전장관의 경우 수복물의 탈락이었다. 이 연구는 임상가들에게 구치부 기성관 재료 선택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Incidence of postoperative pain after using single continuous, single reciprocating, and full sequence continuous rotary file system: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 Umesh Kumar;Pragnesh Parmar;Ruchi Vashisht;Namita Tandon;Charan Kamal Kaur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2호
    • /
    • pp.91-99
    • /
    • 2023
  • Background: Extrusion of debris is a major factor that results in postoperative pain during root canal treatment with various instruments and instrumentation techniques. Therefore, instrumentation techniques that extrude minimal debris into the periapical area while reducing pain are desirabl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pain and intake of analgesic medication (frequency and quantity) after endodontic treatment of mandibular posterior teeth using two single files and full-sequence continuous rotary systems with different kinematic motions. Methods: Thirty-five of 105 patients were assigned equally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strumentation system used: ProTaper Next (PN) X2, 25/06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One Shape (OS), #0.25/06 (Micro Mega, Besancon, France), and Wave One Gold (WG), Red - #0.25, 0.07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Five specialis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esign; each professional prepared 21 teeth, and randomly selected 7 per instrument system. The VAS sheet ranging from 0 to 10 was used to record the initial and postoperative pains at 24, 48, and 72 h, and 7th day after single visit endodontic treatment in mandibular premolars and molars with a diagnosis of asymptomatic irreversible pulpitis with or without apical periodontitis. Postoperatively, an analgesic, ibuprofen 400 mg was administered for intolerable pain at a dose of 1 tablet for 6 h. The patients were asked over the telephone regarding postoperative pain at intervals of 24, 48, and 72 h, and 7th day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N, OS, and WG systems (P > 0.05) with regard to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pain at any of the four time points assessed. Conclusion: The intensity of postoperative pain, frequency, and analgesic intake were similar across all three types of instrument systems; however, the reciprocating single file (WG) was associated with less postoperative pain than the full sequence continuous rotary file.

교정치료시 발생하는 미완성 치근의 길이와 형태변화 (The changes of root length and form in immature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김현아;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1-251
    • /
    • 2004
  • 교정치료에 대한 인지도 변화 및 보호자의 관심증가로 조기에 내원하는 환자가 많으며 그 중 일부가 전치부 치근첨이 완성되기 전인 10세 이전에 고정식 교정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완성 치근의 치료 전후 치근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고 형태변화를 관찰하여 완성된 치근의 교정력에 의한 변화양상과 비교하고, 환자의 성별, 기간, 이동양상 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상악의 전치부 치근첨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식 교정치료를 시작한 8~10세 환자 28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치근첨이 완성된 상태에서 고정식 교정치료를 시작한 11~15세 환자 31명을 대조군으로 삼았다. 상악 4전치의 치료 전후 치근단 방사선사진상에서 치관, 치근길이를 측정해서, 치근길이의 변화량, 치관/치근 비의 변화량을 계산했고 분류체 계에 따라 치근형태에 점수를 부여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미완성 치근은 교정치료 후에도 치근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정상적인 치근첨 형태를 보였다. 2. 치료기간이 길어지거나 개방교합의 경우, 미완성 치근이라도 치근길이가 증가하지 않거나 더 짧아진 경우도 있었으며 정상적인 길이가 되더라도 치근첨의 완성 형태가 뭉툭한 흡수 형태를 보였다. 3. 완성치근에서는 교정치료에 의하여 대부분의 치근이 경미한 치근흡수를 보였으며, 흡수된 치근첨의 형태는 미완성 치근의 완성형태보다 더 뭉툭하였다(p<0.05). 4, 미완성 치근에서는 치료기간과, 완성치근에서는 치아의 이동거리(U1 to facial plane의 변화량)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5. 미완성 치근, 완성치근 모두 성별, 부정교합 분류, 수직피개의 변화량, 두개저에 대한 치아의 위치 변화(U1 to SN의 변화량)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손톱 깨물기 습관을 가진 아동의 교정 치료 시 전치부 치근 길이와 치조골 높이의 변화 (Changes of root length and crestal bone height before and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in nail biting patients)

  • 황충주;양재홍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7-61
    • /
    • 2004
  • 교정치료의 목표는 치아와 악골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높이며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에 있지만, 치료 과정 중에 치근 흡수와 치조골 흡수와 같은 여러 가지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치근첨의 흡수는 예측이 불가능하고, 상아질 부위까지 파급될 수 있으며, 발생 후 비가역적이다. 치조골 흡수는 치주 지지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후유증이다. 이에 여러 가지 구강악습관 중 손톱 깨물기 습관을 가진 아동의 교정 치료 전, 후의 치근과 치조골 높이 변화를 고찰하여, 교정 치료 시 적절한 생역학을 고려하고, 치근흡수와 치조골 상실의 가능성에 대처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997년 7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10\~15$세까지의 청소년 중 큰 골격 변이가 없고, 함께 내원한 부모로부터 손톱 깨물기 습관이 있다고 확인되고 전형적인 손톱 형태 -정기적인 손톱 깎는 일이 없이 치아로 손톱을 뜯는 습관으로 변연이 불규칙한 손톱의 형태 -를 가진 환자 63명을 실험군으로, 같은 연령대의 손톱 깨물기 습관이 없는 환자63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교정 치료 후 실험군은 31명, 대조군은 22명이었다. 교정 치료 전(T1)과 치료 후(T2), 각 군의 전치부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치근의 길이와 치조골의 높이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 치료 전 실험군의 평균 치관/치근 비는 상악 4전치와 하악 우측 측절치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큰 값을 보여주었다. 2. 교정 치료 전 실험군의 치근 길이는 하악 양측 중절치와 상$\cdot$하악 우측 측절치에서 상대적으로 대조군보다 더 짧은 값을 보였다. 3. 교정 치료 전 실험군의 치간골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는 상실을 보인 곳이 있었다. 4. 교정 치료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치근 길이의 감소와 치간골 소실이 있었다. 5. 교정 치료 후 실험군에서 모든 치아의 치관/치근 비의 변화와 치근의 길이 감소가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6. 교정 치료 후 실험군의 모든 치아의 치간골 높이가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