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ance Criterion

검색결과 1,195건 처리시간 0.028초

스트랩다운 탐색기를 탑재한 유도탄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Missiles with Strapdown Seeker)

  • 김태훈;박봉균;권혁훈;김윤환;탁민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2-340
    • /
    • 2011
  • 스트랩다운 탐색기를 탑재한 유도탄의 경우, 비례항법 호밍유도를 위한 관성좌표계 기준 시선각속도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유도탄의 자세정보와 탐색기의 지향각 정보를 활용하여 적절히 추정하여야 한다. 하지만, 시선각속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따라 획득된 시선각속도 정보에 동체 자세각속도 정보가 포함되어 불필요한 피드백루프(Parasite Loop)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유도성능이 감소하거나 전체 유도조종루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Parasite Effect)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례항법 호밍유도를 위한 시선각속도 정보 추정방법과 이에 따라 발생되는 Parasite Loop 원인을 살펴보며, Routh-Hurwitz 안정성 판별법을 이용하여 Parasite Effect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법에 대해 검증하도록 한다.

세포동영상의 자동분석을 위한 효율적인 세포추적방법 (Efficient Cell Tracking Method for Automatic Analysis of Cellular Sequences)

  • 한찬희;송인환;이시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2-40
    • /
    • 2011
  • 저속촬영이 가능한 현미경을 통해 얻어진 세포동영상에서 세포활동의 추적 및 분석은 종양의 전이, 바이러스의 침입, 상처회복, 세포분열과 같은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추적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각 프레임에서의 세포검출, 전후 프레임 내 세포들의 상관관계 조사, 새로운 세포의 인식 및 세포분열의 확인 등과 같은 일련의 작업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효과적인 자동 세포 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첫 번째 프레임에서는 세포영역의 특성 분석을 통해 얻어진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각 세포의 마커 영역을 추출하고, 여기에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세포 분할을 수행한다. 연속된 프레임들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분할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의 분할 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각 세포의 기하학적 특성과 밝기 특성의 결합 비용함수를 사용하여 전후 프레임 간 세포의 올바른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세포 추적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실험에서 세포영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인 CellProfiler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제안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강재의 단면형상에 따른 내화피복두께 산정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Fire Protection Thickness based on Section Factor)

  • 정청운;지남용;권인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139-142
    • /
    • 2003
  • Traditionally, the thickness of fire protection materials of structural elements such as beam and column have been decided by fire test using the predominant steel section of $H-300{\times}300{\times}10{\times}15$ for column and $H-400{\times}200{\times}8{\times}13$ for beam in Korea. But this way of determination of fire protection thickness yields very unduly results. Because the temperature-increment rate of structural steel elements depends mainly on magnitude of their cross-areas. In general, the thicker size of cross-areas for structural elements, the lower temperature shows up. It had already proved that the fire protection thickness only depends on the size of cross-areas and the fire protection method for three-fide or four-side exposed conditions in European countries,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nd so on. To demonstrate there would be differences among various cross-areas for structural elements, we conducted several fire tests with full-scale specimens of beams and columns. For the determination of critical temperature for steel section when the fire resistant performance is needed to be decided, we conducted with a loaded fire test for beam and column, respectively. The small column in 1.0 meter length and beam in 1.5 meter length were used in order to deprive the rational fire protection thickness of structural elements such as beam and column, respectively. After test, we could obtain there were significant temperature lass between higher cross-areas and lower cross-areas. The critical temperature of steel as a criterion is used 538$^{\circ}C$ for column and 593$^{\circ}C$ for beam which is from ASTM E 119 because we don't make provisions as critical temperature by elements. We could consider that the best way of determination of fire protection thickness is using the following multi-regression equation which was deprived from several fire tests using the concept of section factor, FR(column) = 0.17 +5191.49t A/Hp + 40.77t, FR(beam) = 0.25 +6899.31t A/Hp + 32.60t(where, FR means fire resistant time, t means thickness, A means cross-area and Hp means heated parameter).

  • PDF

폐루프 다중입출력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그룹별 공간 다중화 기법 설계 (A New Efficient Group-wise Spatial Multiplexing Design for Closed-Loop MIMO Systems)

  • 문성현;이흔철;김영태;이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A호
    • /
    • pp.322-3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폐루프 다중입출력 무선통신 환경을 위한 새로운 공간 다중화 기법을 소개한다. 기존에 제안되 었던 직교 공간 다중화 (OSM; orthogonalized spatial multiplexing) 방식을 확장하여, 우리는 임의의 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데이터 스트림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고 수신기에서 블록 대각화 과정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적은 피드백 정보량을 가지며 심볼 단위의 ML (maximum likelihood) 검출을 통해 복잡도를 최소화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설계 기법들에 비하여 비트에러율 관점에서 큰 성능 이득을 제공함을 확인한다. 또한 추가적인 피드백을 통해 수신 그룹의 선택을 최적화함으로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관찰한다.

NGSO/MSS시스템과 M/W 무선국간의 주파수 공유를 위한 간섭 분석 (A Study on the Interference for Sharing between the NGSO/MSS System and the M/W Station)

  • 이성수;이형수;채종석;강영흥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96-20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NGSO/MSS 시스템이 기존에 이미 운용되고 있는 고정서비스 M/W 시스템의 대역내에 주파수공유를 위한 가능성 및 두 시스템간의 간섭 영향에 대해 평가를 행하였다. 두 시스템간에 일어날 수 있는 간섭의 경우로서, 이동위성의 PFD 레벨에 의한 평가, 피이더 링크상의 간섭분석으로서 C/I 레벨 평가 및 조정영역 분석을 통한 주파수공유를 평가하였다. 또한, 서비스 링크상의 간섭분석으로서 M/W 시스템이 NGSO/MSS 핸드셋에 미치는 간섭의 경우와 이의 반대의 경우, 각 경우에 있어서의 간섭분석 모델설정 및 관련 수식을 유도하여 각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는 동시에 간섭 조정영역에 의한 주파수공유 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들은 향후 NGSO/MSS 시스템과 고정 M/W 무선국간의 주파수 공유를 위한 기준 설정에 중 요 데이터로서 활용될 것이다.

  • PDF

콘텐트 노드의 유사성 제어를 통한 그래프 구조 데이터 검색의 다양성 향상 (Improving Diversity of Keyword Search on Graph-structured Data by Controlling Similarity of Content Nodes)

  • 박창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8-30
    • /
    • 2020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시맨틱 웹 등 여러 분야에서 그래프 구조 데이터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대량의 그래프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검색 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 키워드 기반 검색 방법들은 대부분 주어진 질의에 대한 연관도만을 고려하여 결과를 구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질의 연관도는 높지만 콘텐트 노드들을 공유하는 유사한 결과들이 함께 선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키워드 질의에 대한 답 트리에 포함된 콘텐트 노드들의 유사성을 제어하여 콘텐트 노드가 다양한 답 트리들을 구하는 top-k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답 트리 집합의 기준을 정의하고, 다양한 top-k 결과 집합을 구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으로 점진적 나열 알고리즘과 A 탐색 기법을 이용한 휴리스틱 탐색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또 휴리스틱 탐색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법을 제시한다. 실 데이터를 이용한 성능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휴리스틱 탐색 방법이 질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콘텐트 노드들의 상이도가 높은 다양한 답 트리들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음을 보인다.

확률적 방법을 이용한 음성 개성 변환 (Voice Personality Transformation Using a Probabilistic Method)

  • 이기승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0-15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음성을 특정 화자가 발성한 것처럼 들리도록 변환하는 음성 개성 변환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화자의 음성을 LPC 켑스트럼, 피치, 발성 속도를 사용하여 표현하였으며 각각에 대한 변환 규칙을 생성하여 변환을 수행하였다. LPC 켑스트럼은 혼합 가우시안 모델을 이용한 확률적으로 모델링하고, 두 화자간의 대응관계를 조건 확률로 나타내었다. 확률적인 모델링에 필요한 각종 파라메터들을 얻기 위해 최대 가능도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변환 LPC 켑스트럼은 최소 자승 오차 방법에 근거하여 얻어지도록 하였다. 운율 변환을 위한 변수로 본 논문에서는 피치와 발성 속도를 사용하였으며, 두 음성간의 평균값 비율을 사용하여 운율 변환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 벡터 양자화 기반의 기법과 비교에서, 객관적인 척도로 사용한 평균 켑스트럼 거리 감소율, 가능도 증가율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주관적인 테스트에서도 기존의 방법과 유사한 인식율을 얻었으며 특히 완만하게 변화하는 스펙트럼 궤적에 따른 고음질이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성상태에 따른 피부임피던스 신호와 반응시간 및 눈 잡학임의 상관관계(E) (Relationship Between Skin Impedance Signal, Reaction time, and Eye Blink Depending on Arousal Level)

  • 고한우;김연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5-491
    • /
    • 1997
  • 본 논문은 각성상태에 다른 생리신호와 행위신호 및 주관적 평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Nz와 반응시간은 mKSS level 의 변화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1분당 눈 깜박임 수는 앞의 두 가지 변수와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1분당 눈깜박임 수는 mKSS level 1에서 5까지는 낮은 변화율 갖고 mKSS level 7에서는 높은 변화율을 갖는 반면에 mKSS level 9에서는 이와 반대로 변화율이 급격히 감소한다. 피검자들은 서로다른 1분당 눈깜박임 수(EBR)를 가지나 EBR의 변화율은 비슷하였다. 그러므로 EBR의 변화율을 각성판정지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응시간 실험 결과로부터mKSS level 5이상부터 작업수행능력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고 false positive 와 false negative 가 mKSS level3부터 관찰되었으므로 효과적으로 각성제어를 위하여 mKSS level 3과 5사이에 각성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소리나 향기 등의 자극을 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우시안 기반 Hyper-Rectangle 생성을 이용한 효율적 단일 분류기 (An Efficient One Class Classifier Using Gaussian-based Hyper-Rectangle Generation)

  • 김도균;최진영;고정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6-64
    • /
    • 2018
  • In recent years, imbalanced da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requent issue for quality control in industrial field. As an example, defect rate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thanks to highly developed technology and quality management, so that only few defective data can be obtained from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quality classification should b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one class (defective dataset) is even smaller than the other class (good dataset). However, traditional multi-class classification methods are not appropriate to deal with such an imbalanced dataset, since they classify data from the difference between one class and the others that can hardly be found in imbalanced datasets. Thus, one-class classification that thoroughly learns patterns of target class is more suitable for imbalanced dataset since it only focuses on data in a target class. So far, several one-class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one-class support vector machine,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there have been suggested. One-class support vector machine and neural network can guarantee good classification rate, and decision tree can provide a set of rules that can be clearly interpreted. However, the classifiers obtained from the former two methods consist of complex mathematical functions and cannot be easily understood by users. In case of decision tree, the criterion for rule generation is ambiguous. Therefore, as an alternative, a new one-class classifier using hyper-rectangles was proposed, which performs precise classification compared to other methods and generates rules clearly understood by users as well.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pproach for improving the limitations of those previous one-class classification algorithms. Specifically, the suggested approach produces more improved one-class classifier using hyper-rectangles generated by using Gaussian function. Th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algorithm is verified by a numerical experiment, which uses several datasets in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집단화된 통계자료의 도수다각형에 근거한 새로운 분위수 계산법 (A new method for calculating quantiles of grouped data based on the frequency polygon)

  • 김혁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2호
    • /
    • pp.383-393
    • /
    • 2017
  • 집단화되어 있는 통계자료의 통계량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 통계량의 참값에 보다 가까운 값을 얻게 해주는 계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화된 자료의 분위수들을 계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의 주된 아이디어는, 히스토그램에 따라 그려지는 도수다각형에서 각 계급구간에 대응하는 오각형의 넓이를 그 계급구간의 도수보다 하나 많은 개수의 부분으로 등분함으로써 자룟값들을 계산하는 것이다. 제시된 방법을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는데, 통계학개론 교재에 주어져 있는 몇 가지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의자료의 생성 방법은, 각 계급구간에서 도수다각형에 의해 주어진 모양의 확률밀도함수를 갖는 분포를 찾아낸 뒤 역변환 방법을 이용하여, 이 분포를 따르는 모의자룟값들을 각 계급구간에서 주어진 도수와 같은 개수만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모의자료의 분위수와의 차의 제곱합을 기준으로 할 때 제시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거의 모든 사분위수와 십분위수에서 우세한 결과를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