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Differences

검색결과 2,101건 처리시간 0.03초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Exploring the Clas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 한기순;이정용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07-122
    • /
    • 2011
  • 이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이라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근 이슈와 논란이 되고 있는 관찰-추천 영재 판별 시스템과 관련하여 현장에서 영재들을 지도하고 있는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바람직한 방향 및 그 중요도 그리고 실행수준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2명의 영재교사들이 영재판별에서 바람직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기서 산출된 바람직한 관찰-추천 시스템 관련 문항을 가지고 112명의 영재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수준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판별에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 탐색 인식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결과를 토대로 진술문을 종합한 결과 36개의 진술문이 도출 되었으며 이들 36개의 진술문에 대한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stress 값은 .249이었다. 개념도에 나타난 진술문의 좌표 값을 기초로 위계적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재판별에서 관찰-추천 시스템의 방향 탐색인식은 4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각 범주명은 '전문성 확보', '행정적 지원 확보', '공정성 확보', '관찰-추천제의 원칙'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전문성 확보'와 '공정성 확보' 범주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모든 범주에서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탐색의 중요도와 실행수준의 점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앞으로 본격화될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 판별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정착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중요하며 현재는 어느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들을 통해 알아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의료기관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 조우현;김한중;이선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1호
    • /
    • pp.53-63
    • /
    • 1992
  •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and need for information on health care consumer with the significance of hospital marketing and strategic planning being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consumer by the types of medical services on a sample of 1,500 population aged 20 years and abov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When considering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into two factors, namely, quality or convenience factors, convenience factor was the major contributor for outpatient and dental services whereas it was quality factor for inpatient services. 2. Females and those residing in large cities selected medical facilities based on convenience factor in the outpatient services. In the case of inpatient service, persons who considered their present health status to be good and whose ages were 50 years old and above choose medical facilities based on quality factor. 3. Persons who considered medical facilities to be profit-making tended to choose medical facilities based on convenience factor for outpatient servic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ases of inpatient and dental services.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ecision maker for selection or trust on medical facilities. On the use of health service information,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based on quality factor for those who made more use of the information in the cases of outpatient and dental services. 5. Analysis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on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consumer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performed.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residential area, sex, and use of information on medical facilities for outpatient services and with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perception of health status for inpatient services. For dental service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residential area and use of information on medical facilities was s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spite some limitation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marketing and strategic planning of hospital management.

  • PDF

공대 교수, 대학생, 기업가의 성인지력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Gender Sensitivity Among Faculty, Students, and Enterprisers in Engineering)

  • 백성혜;조수선;김정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43-5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공대 교수, 학생, 기업의 성인지에 대한 사고를 조사하였다. 한국교통대학교 공대 교수 59명, 남학생 226명, 여학생 109명, 그리고 충북에 소재한 기업의 인사담당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대상 설문지는 26문항, 학생용은 30문항, 기업용은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chi}^2$ 교차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성차이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수들은 여학생이 리더십이 부족하고 성공에 대한 자신감이 낮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여학생의 취업에 불이익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생각을 교육이나 취업 안내에 반영하지 않았다. 여학생들 역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낮았으며,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교수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공학전공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교수의 인식과 유사하였다. 한편 남학생은 동료 여학생의 성인지에 대해 무심하였다. 기업의 취업담당자들의 인식은 교수나 학생의 인식과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교수와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여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공학전공교육을 위하여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및 수입브랜드의 핸드크림이 소비자 구매인식과 피부 유, 수분에 미치는 영향 (Hand Cream purchase consumer awareness of Domestic and Foreign Brands and effect of Sebum and Moisture in the Skin)

  • 서현우;유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73-381
    • /
    • 2016
  • 핸드크림이 국내 및 수입브랜드에 따른 소비자 구매인식과 피부 유, 수분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여성 105명을 대상으로 핸드크림에 대한 사용현황과 구매현황, 인시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시장 조사를 토대로 핸드크림의 가격과 용량, 전 성분을 비교하였고, 고가와 저가, 수입 브랜드와 국내 브랜드로 나누어 17명의 임상실험 대상자를 선정하여 2주 동안 핸드크림 사용 전과 사용 후 수분과 유분, 수분 지속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핸드크림이 가격과 브랜드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았으며, 고가와 저가,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의 가격을 분석한 결과 1mg (g)당 가격이 최대 4배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성분을 비교한 결과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피부 컨디셔닝제인 세테아릴알코올을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실험 결과 제품 그룹별 유, 수분량의 변화는 유의하게 확인되었으나, 제품을 고가와 저가, 수입브랜드에 따른 수분과 유분량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수분 지속력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격과 브랜드의 차이가 피부의 유, 수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과의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하루에도 여러번씩 사용하는 소비성이 뛰어난 제품임을 감암할 때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핸드크림에 대한 제품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 교육 (An Use of Dilemma Episode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 윤혜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8-11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들이 겪는 과학 교수 학습의 딜레마 일화를 교사교육에 활용하는 방안 및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과학 교수-학습의 딜레마 일화와 이를 활용한 토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교사교육에서 딜레마 상황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의의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딜레마 일화의 교사교육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대학원 수업 과정에서 Wallace와 Louden(2002)의 책에 제시된 딜레마 일화를 도입한 토론 수업을 실시하면서, 제시된 딜레마 일화의 현실성과 중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딜레마 일화를 활용하는 토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교사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입장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해가 하나로 주어지지 않는 딜레마 상황이 교사에게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개방적 탐구의 기회로, 과학교육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딜레마 일화의 현실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각 주제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특히 유사 경험이 많고 현실성과 중요성이 높게 인식된 주제는 '교과서', '실험 활동', '과학 법칙', '교사의 권위', '공평', '성별 차', '과학의 본성' 등이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딜레마 일화에 대한 토론 수업이 자신의 수업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른 교사들과 유사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고, '과학교육'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 대부분은 이러한 딜레마 상황을 교사교육에 도입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여 교사교육에서 딜레마 일화를 도입, 활용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여 주었다. 위와 같은 탐색적인 연구로부터 얻은 교사들의 반응과 연구자의 토론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 교사교육에서 딜레마 일화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딜레마 일화 활용 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한국사회 빈곤원인 인식의 실태와 결정요인 (Analysis on the Public Perceptions about the Causes of the Poverty in Korea)

  • 이상록;김형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163-1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구성원의 빈곤원인 인식 유형 및 분포, 주요 빈곤원인 인식의 결정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가 지닌 빈곤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빈곤원인 인식 항목이 새롭게 추가된 8차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에서는 한국사회의 빈곤원인 인식이 개인책임 인식(individualism), 사회구조책임 인식(structuralism), 운명책임 인식(fatalism)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에서는 빈곤원인을 개인책임으로 인식하는 성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빈곤원인 인식의 양상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수준, 가치태도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책임, 사회구조책임, 운명책임의 빈곤원인 인식에의 결정양상은 일부 차이를 보였지만, 대체로 가치태도 변수들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사회 빈곤원인 인식의 실태와 특성을 보여주는 바로, 특히 빈곤을 개인책임으로 인식하는 성향이 높다는 분석결과는 한국 사회복지의 낙후성이 이와 같은 사회의식에 기반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 아울러, 빈곤원인 인식의 결정에서 가치태도의 주요한 영향은 복지국가 발전의 토대 조성에 사회문화적 맥락에도 정치적, 정책적 관심이 제고되어야 함을 시사하여 준다.

  • PDF

빈곤여성가장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민-관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거버넌스 실현의 현실적 간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mmunity Governance of Public Sector and Service Agencies : Focusing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Local Officials and Work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Working for Poor Female-headed Households)

  • 송다영;김유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177-200
    • /
    • 2008
  • 본 연구는 빈곤여성가장 가구를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 안에서 함께 공조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기관종사자간 민관협력체계의 현실과 간격을 진단하고, 보다 효율적인 지역사회 서비스 전달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빈곤여성가장을 위한 지원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자치구 공무원과 사회복지기관 및 기타 관련 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약 70%가 지역사회내 민관협력체계나 기관간 네트워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지적하였다. 둘째, 지역사회 내 빈곤여성가장 발굴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하거나, 유관 기관간 협력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진다고 평가한 사람일수록 빈곤여성가장 가구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가 충분히 전달되고 있으며, 필요도와 충족도간 격차는 줄어들었다고 진단하고 있었다. 셋째, 공공부문과 유관 민간기관간 종사자들은 다른 모든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빈곤여성가장 가구의 탈빈곤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필요성과 충족정도, 여성가장 탈빈곤 저해요인 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현저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빈곤여성가장을 위한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안 공무원과 기관종사자간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대상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책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PLS-MGA 방법론을 활용한 제도론적 관점에서의 공공제도 품질과 사용자 행태의 분석 (Analysis of Public System's Quality and User Behavior Using PLS-MGA Methodology :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 이재열;황승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8-91
    • /
    • 2017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n user's perception and behavior on public system service (PSS) using institutionalism theory and MGA (multi-group analysis) methodolog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ow institutional isomorphism is applied to public system services and how MGA can be implemented correctly in a variance base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such as PLS (partial least square). A data set of 496 effective responses was collected from pubic system users and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ree segmented models categorized by public proximity theory (public firms = 113, government contractors = 210, private contractors = 173). For rigorous group comparisons, each model was estimated by the same indicators and approaches. PLS-SEM was used in testing research hypotheses, followed by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PLS-MGA procedures in testing categorical moderation effects. This study applied novel procedures for testing composite measurement invariance prior to multi-group comparisons. The following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rawn : 1) Partial measurement invariance was established. Multi-group analysis can be done by decomposed models although data can not be pooled for one integrated model. 2) Multi-group analysis using various approaches showed that proximity to public sphere moderated some hypothesized paths from quality dimensions to user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categorical moderating effects were partially supported. 3) Carefu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selection of statistical test method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outcomes of the PLS-MGA test methods and the low statistical power of the moderating effect.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methods such as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path coefficient significanc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coefficie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4)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PSS users existed according to proximity to public sphere,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mediation and categorical moderation effects. 5) The paper also provides detailed analysis and implication from a new institu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using a novel and appropriate methodology for performing group comparisons would be useful for researchers interested in comparative studies employing institutionalism theory and PLS-SEM multi-group analysis technique.

칫솔질 교육 시 칫솔질 행정횟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mber of Brushing Strokes in Toothbrushing Education)

  • 최용금;최진선;임근옥;박덕영;김윤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1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number of brushing strokes among the performance factors and identify if the 10 times stroke of the rolling method is rational. Moreover, we evaluated the changes in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 after our rolling method instruction. The 10-stroke method of toothbrushing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of removal of dental plaque, although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is claim. We allocated 40 healthy subjects to two intervention groups. During five visits, we measured a score for dental plaque removal and instructed the subjects on a toothbrushing technique with 5 or 10 strokes per section. At the initial and final visits,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one design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about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s, and behaviors.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ompare the dental plaque removal score between the groups, and the changes in scores within each group over time. We also compared changes in mean scores in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s and behaviors before and after toothbrushing instruction. We found that the score for dental plaque removal increased with each additional toothbrushing instruction in both groups (p<0.001). However, we found no differences in the dental plaque removal scores between the 5-stroke and 10-stroke groups (p=0.399). The levels of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s and behaviors increased after the toothbrushing instructions in both group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advantage in emphasizing the 10-stroke method of toothbrushing in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한국인의 단맛수용체유전자 TAS1R2 다형성분석 및 일배체형 연구 (Genetic Polymorph isms and Haplotype Analysis of Sweet Taste Receptor TAS1R2 Gene in the Korean Population)

  • 이혜진;배재웅;권태준;사공보름;김언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62-465
    • /
    • 2010
  • 단맛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감각 중 하나로, 열량을 제공하며 식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인간이 맛물질을 느끼는 민감도 차이에 유전적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98명을 대상으로 단맛을 결정하는 미각수용체 TAS1R2 유전자에 대해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단일염기 다형성 종류 및 빈도, 그리고 일배체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TAS1R2 유전자로부터 총 12종류의 SNP이 검출되었으며 약 70%는 아미노산 치환을 일으키는 변이로 확인되었다. 특히, 231번째와 950번째 변이는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발견된 새로운 것으로 한국인 집단에서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SNP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일배체형 분석결과에 따르면, 발견된 20 종류 일배체형 중 세 가지가 주로 한국인이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발견된 TAS1R2 유전자의 SNP은 향후 단맛물질을 감지하는 인간의 민감도차이를 결정하는데 유전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주리라 생각되며 맞춤형 식단 등 영양유전학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