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Use of Dilemma Episode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 교육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sefulness and the way of practical use of dilemma episode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by the responses of teachers on the given dilemma episodes and connected discussions. The research based on the idea of constructivist teacher education, the assumption that dilemmas can provide teachers with an open investigation context, an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education. The dilemmas episodes in Wallace and Louden(2002) were introduced and discussed in order during graduate course to 11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the reality and importance of given dilemmas differed by topics, but many of them were very similar to their experiences, brought active discussion on the issues. Some could not arouse sympathy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The teachers recognized the dilemma episodes provided thoughtful reflection on their own teaching, opportunity of sharing experience and knowledge with peers, overall view for science education. Most of them gave positive opinion on the use of dilemma episodes in teacher education. Upon these teachers' responses and exploratory research experiences, some practical suggestion were made for science teacher educator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들이 겪는 과학 교수 학습의 딜레마 일화를 교사교육에 활용하는 방안 및 의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과학 교수-학습의 딜레마 일화와 이를 활용한 토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교사교육에서 딜레마 상황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의의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딜레마 일화의 교사교육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대학원 수업 과정에서 Wallace와 Louden(2002)의 책에 제시된 딜레마 일화를 도입한 토론 수업을 실시하면서, 제시된 딜레마 일화의 현실성과 중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딜레마 일화를 활용하는 토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교사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입장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해가 하나로 주어지지 않는 딜레마 상황이 교사에게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개방적 탐구의 기회로, 과학교육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딜레마 일화의 현실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각 주제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특히 유사 경험이 많고 현실성과 중요성이 높게 인식된 주제는 '교과서', '실험 활동', '과학 법칙', '교사의 권위', '공평', '성별 차', '과학의 본성' 등이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딜레마 일화에 대한 토론 수업이 자신의 수업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른 교사들과 유사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고, '과학교육'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 대부분은 이러한 딜레마 상황을 교사교육에 도입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여 교사교육에서 딜레마 일화를 도입, 활용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여 주었다. 위와 같은 탐색적인 연구로부터 얻은 교사들의 반응과 연구자의 토론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 교사교육에서 딜레마 일화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딜레마 일화 활용 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승재(1997). 과학교육의 지향과 한 가지 접근 모형-열린 교육과 수준별 교육을 반추하며. 열린 교육과 수준별 교육과정 정책 세미나 발표 논문집. 열린교육학회
  2. 심미옥(2001). 초등 교사의 갈등 요인가 이직 요인의 분석. 교육연구, 18,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41-160
  3.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74-84
  4. 윤혜경, 심재규, 박승재(1997). 물리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육실습 과정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89-299
  5. 이현중(2002). 유아교육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느끼는 갈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Aikenhead, G. S.(1997). Towards a first nations cross 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81, 217-238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4)81:2<217::AID-SCE6>3.0.CO;2-I
  7. American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1993).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8. Bell, B., & Gilbert, J.(1996). Teacher Development: A Model from Science Education. Falmer Press
  9. Bruner, J.(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s, MA
  10. Brickhouse, N. W.(1993). What Counts as Successful Instruction? An Account of Teacher's Self-Account. Science Education, 77(2), 115-129 https://doi.org/10.1002/sce.3730770203
  11. Clandinin, D. J., & Conelly, F. M.(1991). Narrative and Story in Practice and Research, in Schon, D.(Eds.) The Reflective Turn, Teachers College Press
  12. Cuban, L.(1992). Managing Dilemmas while building professional communities, Educational Researcher, 21, 4-11 https://doi.org/10.3102/0013189X021001004
  13. Shamos, M. H.(1995). The myth of scientific literacy. Rutgers University Press: New Brunswick, NJ
  14. Volkmann, M. J. & Anderson, M. A.(1998). Creating Professional Identity: Dilemmas and Metaphors of a First-Year Chemistry Teacher. Science Education, 82, 293-31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806)82:3<293::AID-SCE1>3.0.CO;2-7
  15. Wallace, J. & Louden, W.(Eds., 2002). Dilemmas of Science Teaching. Routledge Falmer
  16. White, R. T.(1996). The link between the laboratory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61-774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703
  17. Zeichner, K.(1983). Alternative paradigms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 3-9 https://doi.org/10.1177/0022487183034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