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per seed oil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식물성 압착오일의 흡착제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Oil by Using Adsorben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7-6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된 호박씨, 동백씨, 고추씨 그리고 땅콩에서 오일을 압착 추출하여 오일의 정제과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인 활성탄, 산성백토, 백도토를 사용해서, 흡착제 사용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지방산 및 활성성분의 조성을 비교분석했다. 각 오일의 성분 분석 및 흡착제에 따른 변화는 가스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여 분석했고 DPPH 라디컬 소거능과 ABTS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능력을 비교했다. 흡착제 처리 시, 실험에 사용된 4종의 국내산 식물성 오일에 포함 되어 있는 대부분의 지방산 및 항산화 능에 관여하는 화합물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호박씨 오일은 세 종류의 흡착제가 linoleic acid과 erythrodiol 성분을 감소시켰으며, 동백씨 오일의 경우 지방산들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산성백토로 정제한 군에서는 vitamin E의 손실이 없었고, 고추씨 오일의 매운 성분에 관여되는 capsaicin 화합물은 산성백토로 정제 시 53.33% 감소되었고, 땅콩 오일의 경우 활성탄을 처리한 군에서 sitosterol 화합물의 손실이 가장 적은 것을 확인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호박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동백씨 오일(산성백토>백도토>활성탄), 고추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그리고 땅콩 오일(활성탄>산성백토>백도토)순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고추씨박 급여가 육계의 발육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Pepper Seed Oil Meal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Abdominal Fat Accumulation in Broilers)

  • 김학규;나재천;최철환;상병돈;이상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56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red pepper seed oil meal (RPSOM) on the performance and the fat pad content in broiler chicks.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360 birds broiler chicks for 8 weeks. The levels of dietary RPSOM were 0, 5, 10 and 15% and mixed in diet consisting of corn and soybean meal. Body weight, feed intake, feed conversion and mixed in diet consisting of corn and soybean meal. Body weight, feed intake, feed conversion and vi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percentage of abdominal fat and skin col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s among treatments. The results of the feeding trial show that RPSOM can be used within 10% in broiler diet.

  • PDF

어유 및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Rats)

  • 정효숙;김성희;김한수;김갑순;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2-319
    • /
    • 1991
  • n-3계 EPA 및 DHA를 함유하고 있는 어유 및 $\alpha$- linoleic acid 함량이 많은 들깨유와 n-6계 linoleic acid 의 함량이 많은 옥수수유 및 고추종자유, n-6계 inoleic acid 함량이 많고 ${\gamma}$-linoleic acid를 약 10% 함유한 달맞이꽃종자유가 흰쥐의 혈청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청 지질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급여군이 대조군인 올리브유 급여군 보다 낮은 반면 고추종 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서 높았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비는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다. 유리콜레스테롤은 고추종자유 급여군을 제외한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특히 어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 급여군에서 더욱 낮게 나타났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는 n-6계 다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은 고추종자유, 달맞이꽃종자유 군에서 높았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비는 대조군인 올리브유 급여군(62%)보다 전 실험군(70.0%~74.4%)에서 높게 나타났다. 인지질 농도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서 낮았고,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들깨유, 어유, 달맞이꽃종자유 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LCAT 활성은 대조군보다 돈지 급여군에서 높은 반면, 다른 실험군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 PDF

고추종실유 및 산초유의 투여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Oil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on Serum and Liver Lipids Profiles in Rats)

  • 윤덕효;최용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6-100
    • /
    • 2008
  • 향신성 식용유는 에너지원이나 대사조절물질로서뿐 아니라 식품의 맛이나 향 또는 포만감을 결정하는 지방이다. 본 연구는 0.12% 콜레스테롤 식이를 한 흰쥐에서 대두유를 대조로 하여 향신성 식용유(고추종실유, 산초유)에 의한 지질농도의 조절효과를 평가하였다. 사료중 n-6/n-3 지방산의 비는 8.8:1.2:70.1 (대두유:산초유:고추종실유)로 큰 차이가 있었다.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에서 다른 군보다 높았으나, HDL-cholesterol/totalcholesterol 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에서 낮았다. 혈청중성지질 농도는 다른 군에 비하여 산초유 섭취군에서 낮았다. 반면에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추종실유 섭취군보다 산초유 섭취군에서 높았다. 이러한 응답은 식이지방에 의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응답은 조직간 콜레스테롤 분배의 차이에 기인되는 듯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함유식이를 한 흰쥐에서 고추종실유는 대두유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상승효과를 보여준 반면, 산초유는 중간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유지(油脂) 및 단백질조성(蛋白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nalytical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Oil and Protein in the Seed of Thornless Chinese Pepper Zanthoxylum schinifoilum var. inermis Nakai)

  • 윤한교;김지문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70-176
    • /
    • 1976
  • 야생식용유자원(野生食用油資源)의 개발(開發)을 위하여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을 A. O.AC. 법(法)으로,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및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의 amino 산조성(酸組成)을 GLC법(法) 및 amino acid auto analyzer 로 각각 분석(分析)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적요(摘要)한다 민산초나무의 종실(種實)은 비교적 다량(多量)의 유지(油脂)(47.05%), 단백질(蛋白質)(20.14%) 및 회분(灰分)(3.1%)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영양가(榮養價)가 높은 반식물(飯食物) 또는 식용유(食用油)로 인정(認定)되었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에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황(硫黃)(0.02%)과 cyan 화합물(化合物)(0.00005%)이 함유(含有)되였으나 모두 한계량이하(限界量以下)로서 식용유(食用油) 및 생과(生菓)로서 이용이 안전(安全)하다. 종실유(種實油)는 옥도가(沃度價) 145.2로서 건성유(乾性油)에 속(屬)하며 산가(酸價), 감화가, 굴절율(屈折率)등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도 불포화고급(不飽和高級)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 특성(特性)을 나타냈다.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oleic acid(34.8%), linoleic acid(25.1%), linolenie acid(26.1%)등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함량(含量)이 80%이상으로서 식용유(食用油)에 적합(適合)한 것으로 인정(認定)되였다.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에서 17종(種)의 amino산(酸)을 분석정량(分析定量)하였으며,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등 필수(必須) amino산(酸)의 함량(含量)이 비교적 높았고, glutamic acid의 함량(含量)(4.985%)이 특히 높아서 단백질원(蛋白質源)으로서 유용(有用)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고추씨 기름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Pepper Seed Oil Products Sold on the Market)

  • 손미희;김재관;이유진;김지은;백은진;김병태;박명기;박용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83-488
    • /
    • 2023
  • 2022년 8월부터 12월까지 시중에서 유통되는 고추씨기름 4건과 고추맛기름 36건에 대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 하였다. 총 40건의 시료에 대해 179종의 농약을 모니터링한 결과 39건에서 14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범위는 0.01-2.16 mg/kg이었다. 고추씨기름에선 10종의 농약이 27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2-2.16 mg/kg 이었으며 고추맛기름은 9종의 농약이 94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1-0.80 mg/kg 이었다. 가장 빈번하게 검출된 농약은 tebuconazole, ethion, difenoconazole이었으며 중국산 원재료를 사용한 제품에서 ethion이 다수 검출되었다. 국내 미등록 농약인 ethion은 경기도에서 최근 10년간 검출된 적이 없는 농약성분으로, ethion이 검출시 중국산 제품으로 판단할수 있는 지표물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는 농약이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농산물 중 하나로, 고추씨로 전이된 농약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고추씨기름에서 다양한 종류의 농약이 검출될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고추씨기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각종(各種)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ying Seed Oils of Korean Origin)

  • 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2호
    • /
    • pp.19-26
    • /
    • 1975
  • The role of fat is important from nutritional standpoint.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fat are energy yielding as well as the carrier of fat soluble vitamins, with special activities of essential fatty acids. It is fortunate that Korean families prefer to use vegetable oils rather than those from animal origin. But the problems are focused on better qaulity of food oils with attempt to exploit the available resourc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e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Korean origin both from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resources of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seeds of red pepper, Korean squash, sesame, perilla (var Japonica), and Korean pine nuts and walnuts were 24.3%, 56.6%, 56.4%, 46.9%, 69.8%, and 67.2%, respectively. 2. The saponification numbers of samples ranged from 190 to 200. It showed that the mean molecular weights of fatty acids composing the lipids were very much closed each other. 3. Iodine numbers of varing seed oils ranged from 96.5 of Korean squash seed oil to 124.6 of walnut oil. Oils obtained from squash seeds and sesame seeds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while others ranged from 122 to 125. 4.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squash seed oil was composed mainly of unsaturated fatty acids, 74.9% of which was oleic acid, whereas red pepper seed oil, pine nut oil, and sesame oil contained linoleic acid as a major component showing 64.4%, 56%, 48.8%, and 47.8%, respectively. In perilla seed oil, the amount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14.1% and 58%, respectively which meant nearly three-fourths of the total fatty acidsbeing the unsaturated essential fatty acids. This study will encourage the use of these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vegetable oils which have highr ratios of poly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 PDF

국내 종실류를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Seeds and Nu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5-661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식물자원을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로 지방산 성분 분석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scavenging과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을 측정하였다. 호박씨 오일, 동백씨 오일, 땅콩 오일은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열처리 후에도 고추씨 오일을 제외하고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DPPH에서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87.84%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5.20%, 74.16%, 43.18%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76.72%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 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6.25%, 73.34%, 41.2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올리브 오일과 비교하여 DPPH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 그리고 땅콩 오일이 대조군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열처리 후 항산화 활성능력은 근소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를 통해 4종의 오일은 화장품 용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고추씨 기름의 정제와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Red Pepper Seed Oil)

  • 김재철;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6-132
    • /
    • 1980
  • n-hexane으로 추출한 고추씨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붉은 색과 매운 맛의 제거를 시도하였다. 예상한 대로 붉은 색은 탈색 및 탈취 공정중에서 제거되었으나 매운 맛을 내는 capsaicin의 제거에는 탈취 공정은 별 영향이 없었고 탈색 공정이 아주 효과적임을 알았다. 4 %의 산성 백토를 가지고 탈색을 했을 때 capsaicin은 완전히 제거 되었다. 또한 기름 중의 capsaicin의 산성 백토에의 흡착은 산성 백토의 양을 증가함에 따라 대수적으로 감소했고 다음과 같이 Freundlich 식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frac{x}{m}}=1.1\;c^{0.31}$, 여기서 x는 백토에 흡착된 capsaicin의 양 ((mg/ml), m은 산성 백토의 양 (%), 그리고 c는 탈색 후의 잔존 capsaicin의 양 (mg/ml)이다. 고추씨 기름의 중성 지질의 구성을 보면 95.87 % triglyceride, 1.55 % sterol ester, 1.45 % monoglyceride, 0.78 % 유리 지방산, 0.2 % diglyceride와 0.15 % sterol이었다. 또한 HPLC에 의한 고추씨 기름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리놀산 (78.79 %), 팔미틴산 (15.27 %)과 올레인산 (2.93 %)이 주 지방산이었고 리놀린산은 0.63 %로 극히 적은 량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