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ople Making Small Librari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지역사회를 위한 정보봉사에 관한 일연구-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권
    • /
    • pp.17-30
    • /
    • 1974
  • As a society rapidly advances in technology and industry, various demands for information arc increasing and becoming more specialized than every before. The college library can no longer restrict its service to the people or, the campus alone. There is no fundamental change in its place on a college campus, but it has an additional role to play: to meet the demands for information from the community outside of the campus. Thyre is no denying that there are public libraries meant to serve the comnlunity and some small spacialized libraries to support certain institutions. But it is also well known that these libraries are inadequate to satisfy the demands for information in a highly diversified and specialized soceity of today largely due to lack of facilities, funds. and personnel. Under these circdmstances, it is almost imperative that the college library open its door to the community. It was attempted in the article to point out the nccds of cooperation between the college library and the community for economic and intellectual advancement on thc campus and in the community. Various ways of making the college library available to the community werc also discussed.

  • PDF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of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Movement in Korea)

  • 변현주;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1-170
    • /
    • 2016
  • 본 연구는 학교마을도서관의 태동, 성장, 발전, 확산을 통한 성과요인을 분석하고 현 단계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과제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마을도서관 운동과 관련된 관계자와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추진과정을 태동기, 성장기, 발전기, 확산기, 전환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의 역사에 나타난 학교마을도서관의 운영 성과와 의미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도서관은 문화소외지역 중심으로 개설되어 공공도서관의 부족과 작은도서관의 편중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농 산 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 부족한 장서를 제공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운영이 활성화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운영인력과 장서, 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마을도서관이 지역 커뮤니티 거점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고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