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ony patter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4초

Dr. Evelin McCune 소장 한국복식에 관한 연구

  • 유혜영;금기숙
    • 복식
    • /
    • 제26권
    • /
    • pp.251-26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research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collections of Dr. McCune who was born in Pyung-Yang in 1907 and resided until her marriage to George S. McCune in about 1930. Her collections consist of three categories : children's costumes, adults' costumes, access-or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s are summorized as follows : 1. Deep wrappings are found at the front part of the top clothing when worn. The front gusset (SUB) has been dramaticaly tilted due to the difference in lengths of the top and bottom parts of the front gusset. 2. Assymetry was one of the principles of decorating Korean costumes. The assymetry were repeated at the GIT and SUB of CHOGORE with patchwork patterns. 3. Primary colors were favored in Korean costume. Hue contrast in color combinations was prefered as well, such as : yellow CHOGORE and purple blue CUFFS, a red SUN pattern matched with green embroidery. 4. Surface patterns were not so popular in Korean costumes, while the most colorful and fabulous patterns were shown through the various embroidery artifacts. Patterns were used as a way of expressing of their desires or longings in Korean costumes. The main themes of the patterns were longevity and happiness. The patterns such as peony, lotus, chrysanthemum, bamboo and bat were implying symbolism at that time. 5. Natural materials were prefered for the garments, Silk and cotton were used as the main materials of the costume collections. Studies of Korean Costume collections owned by international collectors are meaningful to boost the arena of Korean Costumes as well as fill up the vacancy left by lost costume artifacts.

  • PDF

김확 부인 동래정씨(東萊鄭氏) 묘 출토직물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Excavated from the Tomb of Dongrae Jung, Kimhwak's Wife)

  • 조효숙;이은진
    • 복식
    • /
    • 제59권8호
    • /
    • pp.132-151
    • /
    • 2009
  • All of 132 kinds of fabrics are used in excavated costume from the Dongrae Jung's Tomb. Classified by its materials, it is divided into small groups as follows: 58 pieces of silk tabby 43.9%, 2 of filament silk tabby 1.5%, 14 of thin filament silk tabby 10.6%, 19 of spun yarn silk 14.4%, 4 of twill without a pattern 3.0%, 8 of patterned silk tabby 6.1%, 23 of satin damask 17.4%, 1 of damask with supplementary gold thread 0.8%, 2 of mixture fabric with silk and cotton 1.5%, and 1 of ramie fabric 0.8%. Classified by ways of weaving: 96 pieces of plain weave 73%, 23 of satin weave 17%, 8 of patterned silk tabby consisting of plain weave material and twill weave pattern-6%, 4 of twill weave 3%, and 1 of compound weave 1 %. In point of patterns, the most often used ones are plant patterns such as lotus patterns, peony patterns, plum blossom patterns, flowers representing seasons patterns, and small flower patterns. For animal patterns, it has phoenix patterns designed together with flowers representing seasons patterns. And for natural scenery patterns, it shows cloud patterns with treasures patterns together. For object patterns, it also shows treasures patterns mixed with cloud or lotus together. For geometrical patterns, it has rhomboid patterns and 卍 character patterns; some show only rhomboid patterns and others show material patterns of 卍 character patterns blended together with fruit, lotus, etc.

명승 제60호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의 식재 원형 및 식생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iginal Planting Form and Management of Vegetation of the Scenic site Nr. 60 Chungam Pavilion and Seokchun Valley in Bonghwa)

  • 이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3-84
    • /
    • 2014
  • 본 연구는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주변을 대상으로 사료 분석과 현지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거의 식재 원형과 식생 관리방안은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석천지(石泉誌)"에 의하면 청암정 주변에는 소나무, 잣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의 교목류와 모란, 작약, 철쭉, 장미, 국화, 연꼿 등의 화목류가 심겨져 있었으며, 석천정사 주변에는 회양목, 대나무, 단풍나무, 복숭아나무, 다래, 작약이 식재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사시가경(四時佳景)을 즐기는 완상의 목적 뿐 아니라 다양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식재 경관을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사료에 나타난 당시의 식재 현황은 차후 청암정과 석천정사와 주변 계곡의 식생 정비와 관리시 매우 유용한 준거(準據)가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조선 후기의 식재 양상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가치가 있다. 둘째, 청암정과 석천정사 주변은 "석천지"에 묘사된 대로 식재 경관을 유지해야 할 것이며, 석천계곡의 소나무 군락은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소나무군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외래수종과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高麗) 철화(鐵畵) '성(成)' 명청자(銘靑瓷)의 특징(特徵)과 제작시기(製作時期)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Goryo(高麗) Iron 'Sung(成)' Inscribed Celadon)

  • 한성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1권2호
    • /
    • pp.61-78
    • /
    • 2008
  • 철화(鐵畵) '성(成)' 명청자(銘靑瓷)는 전라남도(全羅南道) 강진군(康津郡) 대구면(大口面) 사당리(沙堂里) 7호 가마터에서만 출토되는 특징적 청자로 붓을 이용하여 굽안바닥 중앙에 명문(銘文)을 쓰고 있다. 명문이 눈에 잘 띄지 않은 곳에 표기되어 있으며, 필체가 다양하여 생산에 여러 사람이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어 제작자보다는 공방(工房)을 표기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유약(釉藥)과 태토(胎土), 기형(器形), 문양(文樣), 번법(燔法) 등 품격(品格)이 동일(同一)하여 같은 제작기법을 사용하여 같은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기종(器種)은 ${\Box}$과 대${\Box}$(大), ${\Box}$시(匙), 잔(盞), 합(盒), 병(甁) 등 일상(日常) 생활용기(生活容器)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시문기법(施文技法)은 음각(陰刻)과 상감(象嵌)보다 압출양각(壓出陽刻) 기법을 특히 선호하였으며, 음각보다 상감의 예가 적어 이 시기 상감기법이 보편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문양은 국화문(菊花文)과 모란문(牡丹文), 앵무문(鸚鵡文), 연판문(蓮瓣文), 연당초문(蓮唐草文) 등으로 권위나 위엄의 의미를 갖는 특별한 문양은 확인되지 않는다. 굽은 합과 접시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U'자형으로 성형하였으며, 번법(燔法)은 내화토(耐火土) 비짐이 일부 있으나 전면(全面) 시유(施釉) 후 굽 안바닥 3~4 곳에 규석(硅石)을 받쳐 굽고 있다. 생산시기(生産時期)는 현재 사당리 7호 가마터 이외의 유적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유사한 성격을 갖는 유적 출토품과의 비교를 통해 13세기(世紀) 2/4분기(分期)에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품격의 양질청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일반적인 양질청자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 왕실(王室) 등의 최상류층보다 한 단계 낮은 계층에 공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成)' 명청자(銘靑瓷)는 그동안 전성기(全盛期) 음 양각 기법의 청자를 모두 12세기대로 편년하면서 발생하였던 13세기 전반의 공백을 보완할 수 있는 편년 자료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