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Excavated from the Tomb of Dongrae Jung, Kimhwak's Wife

김확 부인 동래정씨(東萊鄭氏) 묘 출토직물 연구

  •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 이은진 (동신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All of 132 kinds of fabrics are used in excavated costume from the Dongrae Jung's Tomb. Classified by its materials, it is divided into small groups as follows: 58 pieces of silk tabby 43.9%, 2 of filament silk tabby 1.5%, 14 of thin filament silk tabby 10.6%, 19 of spun yarn silk 14.4%, 4 of twill without a pattern 3.0%, 8 of patterned silk tabby 6.1%, 23 of satin damask 17.4%, 1 of damask with supplementary gold thread 0.8%, 2 of mixture fabric with silk and cotton 1.5%, and 1 of ramie fabric 0.8%. Classified by ways of weaving: 96 pieces of plain weave 73%, 23 of satin weave 17%, 8 of patterned silk tabby consisting of plain weave material and twill weave pattern-6%, 4 of twill weave 3%, and 1 of compound weave 1 %. In point of patterns, the most often used ones are plant patterns such as lotus patterns, peony patterns, plum blossom patterns, flowers representing seasons patterns, and small flower patterns. For animal patterns, it has phoenix patterns designed together with flowers representing seasons patterns. And for natural scenery patterns, it shows cloud patterns with treasures patterns together. For object patterns, it also shows treasures patterns mixed with cloud or lotus together. For geometrical patterns, it has rhomboid patterns and 卍 character patterns; some show only rhomboid patterns and others show material patterns of 卍 character patterns blended together with fruit, lotus, etc.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환 (2007). 금사(金沙) 김확(金穫)과 숙인 동래정씨의 행력.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 56
  2. 직물의 숫자는 전체 출토복식의 직물 사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일한 옷감이 여러 부분에 사용되었을 경우에 각각 별개로 처리하였다. 예를 들어 철릭의 옷감이 저고리에 사용되어도 각각 1점으로 간주하였다
  3. 직물의 명칭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의인왕후빈전도감의궤(懿仁王后殯殿都監儀軌), 인목왕후빈전도감의궤(仁穆王后殯殿都監儀軌), 인조빈전도감의궤(仁祖殯殿都監儀軌)를 참고하였으며, 소현세자가례도감의궤(昭顯世子嘉禮都藍儀軌)와 인조장열후가례도감의궤(仁祖莊烈后嘉禮都監儀軌)에 기록된 직물의 종류와 명칭을 조사하여 명명하였다. 그밖에 상례비요(喪禮備要), 상례언해(喪禮諺解), 초산일기(楚山日記)와 같은 상례관련 서적과 역어유해(譯語類解)와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도 참고하였다
  4. 조효숙 (2003a). 파평윤씨 모자미라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파평윤씨 모자미라 종합연구논문집.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156
  5. 조효숙 (2005). 연안김씨 묘 출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양평 출토 홍몽남 배위. 용인:경기도박물관, p. 172
  6. 조효숙 (2003b).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91
  7.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6
  8. 김확 묘의 직물류 118점 중에는 2점만 무늬있는 직물로, 다양한 종류의 무늬들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김확 묘 복식류에 사용된 무늬는 연꽃보배무늬, 모란넝쿨무늬 등이며 이들도 모두 수례지의로 넣은 여성용 저고리에 사용된 것이다
  9. 조효숙 (2000). 장기정씨 묘 출토 직물의 분석. 포항 내단리 장기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 안동대학교박물관, p. 100
  10. 위의 책, p. 98
  11.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15
  12. 조효숙 (2003a). 앞의 책, p. 167
  13. 조효숙 (2005). 앞의 책, p. 180
  14.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앞의 책, p. 215
  15. 조효숙 (2008). 신경유(1581-1633)묘 출토직물 연구, 韓國服飾, 26. 단국대학교출판부, p. 78
  16. 조효숙 (2003b). 앞의 책, p. 100
  17. 위의 책, p. 75
  18. 조효숙 (2000). 앞의 책, p. 97
  1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1). 朝鮮時代 피륙의 무늬,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116
  20. 위의 책, p. 115
  21. 조효숙 (2005). 앞의 책, p. 181
  22. 조효숙 (2003a). 앞의 책, p. 168
  23. 조효숙 (2006). 앞의 책, p. 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