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assessment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5초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패션 제품의 친환경 CMF 디자인 프로세스 분석 (A Systematic Review of Eco-CMF Design Processes for Fashion Products)

  • 이소현;강수경;박성진;고영아;박주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23
  • An eco-CMF design process is vital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concerning both emotional and physical quality factors, thus extending the use phase of the product life cycle. Life cycle assessment (LCA) is widely used in other fields to evaluate environmental impact; However, the method is rarely adopted in fashion. While cooperating with design, technology, and the users, reflecting the CMF design process is an excellent approach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s. Moreover, it is likely to evoke favorable reactions in users toward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sustainable design strategies associated with CMF in the fashion industry. Using a systematic review, 135 paper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xamined from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22. They contained specific design processes or tools relevant to eco-CMF design. The search used the Web of Science database. After a rigorous search, the final six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were selected and underwent thorough content reviews. Then, the CMF design tools and frameworks for eco-design featured in the articles were carefully reviewed and analyzed. Finally, we propose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co-CMF design in the fashion industry. The study outcomes revealed the need for concrete eco-CMF design processes, particularly for fashion products. Furthermore, more active research involving eco-CMF design processes for the sustainable environmental impact of fashion products is required.

위해성평가의 불확실도 분석과 활용방안 고찰 (Uncertainty Analysis and Application to Risk Assessment)

  • 조아름;김탁수;서정관;윤효정;김필제;최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25-437
    • /
    • 2015
  • Objectives: Risk assessment is a tool for predicting and reducing uncertainty related to the effects of future activities. Probability approaches are the main elements in risk assessment, but confusion about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assessment factors often undermines the message of the analy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systematic reduction plans regarding uncertainty in risk assessment. Methods: Articles and reports were collected online using the key words "uncertainty analysis" on risk assessment. Uncertaint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reports focusing on procedures for analysis methods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In addition, case studi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suggested method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with exposure data, including measured data on toluene and styrene in residential spaces and multi-use facilities. Result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data on uncertainty, three major factors including scenario, model, and parameter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sources of uncertainty, and tiered approaches were determined. In the case study, the risk of toluene and styrene was evaluated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also determined. Five reduction plans were presented: providing standard guidelines, using reliable exposure factors, possessing quality controls for analysis and scientific expertise, and introducing a peer review system. Conclusio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method for reducing uncertainty by taking into account the major factors. Also, we showed a method for uncertainty analysis with tiered approaches. However, uncertainties are difficult to define because they are generated by many factor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guidelines based on the representative scenario, model, and parameters developed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the implant surgical technique and assessment rating system

  • Park, Jung-Chul;Hwang, Ji-Wan;Lee, Jung-Seok;Jung, Ui-Won;Choi, Seong-Ho;Cho, Kyoo-Sung;Chai, Jung-Kiu;Kim, Chang-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2권1호
    • /
    • pp.25-29
    • /
    • 2012
  • Purpose: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establish an objective implant surgical evaluation protocol to assess residents' surgical competence and improve their surgical outcomes. The present study presents a newly developed assessment and rating system and simulation model that can assist the teaching staffs to evaluate the surgical events and surgical skills of residents objectively. Methods: Articles published in peer-reviewed English journals were selected using several scientific databases and subsequently reviewed regarding surgical competence and assessment tools. Particularly, medical journals reporting rating and evaluation protocols for various types of medical surgeries were thoroughly analyzed. Based on these studies, an implant surgical technique assessment and rating system (iSTAR) has been developed. Also, a specialized dental typodont was developed for the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of surgery. Results: The iSTAR consists of two parts including surgical information and task-specific checklists. Specialized simulation model was subsequently produced and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iSTAR. Conclusions: The assessment and rating system provided may serve as a reference guide for teaching staffs to evaluate the residents' implant surgical techniques.

Assessment and Support Measures of Academic Journals in the National Open Access Platform AccessON

  • Hyekyong Hwang;Eun Jee Lee;Wan Jong Kim;Jin Ho Par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75-88
    • /
    • 2024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maturity of Korean open access (OA) journals using the OA infrastructure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develop necessary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The assessment model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12 items, and 24 sub-items. The importance of the three dimensions (A: OA policy establishment and disclosure, B: OA sustainability, and C: Journal openness quality) was differentiat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the maturity stages were divided into five levels (Entry, Growth1, Growth2, Maturity1, and Maturity2). The assessment was carried out twice for 100 academic journ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journals at or above the Growth1 level increased by 11% to reach 83% during the second assessment phase, which could be owing to the learnings of the first assessment. Following expert consultations on the assessment results, three support measures were identified to activate OA. The first includes OA promotion and education activities, which involve creating standard regulations and guidelines, and advancing educational activities for societies that are either preparing for or currently implementing OA. The second involves providing support for technical aspects, such as identifiers, XMLization, and copyright management, through peer review and OA publishing platforms. The third includes collaborative activities to enhance journal evaluations and the recognition criteria for researchers' achievements in OA journals, and fostering cooperation with national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ions for financial support.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터넷 기반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The Effect of an Internet-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to Prevent School Violence)

  • 오서진;장현아;최지윤;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3호
    • /
    • pp.132-140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net-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Methods : Forty-eigh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an anger management training program; subsequently, participants,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participants' anger, aggressiveness, and other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pre- and post-training. Results : At the post-training self-assessmen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ir "anger-out" tendencies and physical aggressivenes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anger-out" tendencies, aggressiveness, anger and peer relational problem were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in participants who reported depressive symptoms. Teachers rated the participants' peer-relational problems as having decreased after the training. Conclusion : The proposed internet-based anger manage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chool-aged children's abilities to control their anger.

한의학 미래예측(2000년~2010년) 문헌 분야 실현 최종 평가 (Final Assessment Year of Realized on Forecasting Studies of the Literature Sector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000-2010))

  • 신현규;김용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5-98
    • /
    • 2013
  • Objectives : Final assessment of realized on forecasting studies of the literature sector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000-2010) revealed results as follow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related peer-reviewed papers and research project reports through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KIOM) and several publishers. Results : Of total five projects, two were realized and three were partially done. The projects 'It wil be standardized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erms' and 'CDs containing traditional medicine books from China, Japan and Korea wiil be released' were decided to be realized. In addition to those, the projects 'Systematic database will be build up for TKM books', 'translation and annotation versions on TKM old books will be completed', and 'A wide range of literature related to traditional medicine of each Asian countries' were concluded to be partially realized. Five projects on predicting TKM in the year 2006-2007 analyzed in 1996 were evaluated as realized or partially realized. Likewise, the five predictions should be reviewed whether it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after assessment on their realization. Conclusion : Furthermore, it should be studies if the new projects are needed for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hallenges.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에게 제공한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 등록을 한 만3~5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평행놀이와 또래놀이 중심의 대근육 활동과 주제에 맞는 미술활동과 감각놀이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와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놀이다움(The Test of Playfulness; To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후, 소근육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호작용과 놀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그룹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66-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실행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 및 평가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 과학 교사들은 평가 주체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시 정확한 평가 불가능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 제시,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내용 영역에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 부족으로 인한 정의적 영역 평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실시 전 학생에게 평가 기준 제시, 교사 간 협의를 통한 기준 선정 등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영역의 수행 평가시 어려움으로 관련 자료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 미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영역 중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많은 수의 학생에게 피드백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가장 많은 교사들이 선택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 또는 교사의 수업 시수 감소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평가 결과 서술식 기재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교사들이 언급한 학생의 특성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행정 업무 경감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교과 협의회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과 소극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꾸준한 토론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연수 관련 어려움으로 학생 수 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연수 내용의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성공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파이선(Python) 학습을 위한 평가 프로세스 설계 (Assessment Process Design for Python Programming Learning)

  • 고은지;이정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17-129
    • /
    • 2020
  • 본 논문은 기존 컴퓨팅 사고력 평가 연구를 분석하고 보완하여 형성적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 방안을 탐색하고,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선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 평가를 위한 평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컴퓨팅 사고력 영역을 탐색하고 평가 설계에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보자가 학습하는 파이선 프로그래밍의 학습 영역을 확인하고, 파이선 학습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컴퓨팅 사고력 영역을 규명하였다. 이들을 종합하여 컴퓨팅 사고력에 해당하는 구문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 방법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순서도와 의사코드를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나타내게 함으로써 반성적 사고를 통한 자기평가가 가능하게 하고, 커뮤니티를 활용한 코드공유 및 의사소통을 통해 동료피드백이 가능한 평가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