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eling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태양광 모듈 표면 온도 제어에 따른 백시트 박리 거동 (Peeling Behavior of Backsheet according to Surface Temperature of Photovoltaic Module)

  • 김정훈;이준규;안영수;여정구;이진석;강기환;조철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703-708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ling behavior of the backsheet of a photovoltaic(PV) module and its surface temperature in order facilitate removal of the backsheet from the PV module. At low temperatures, the backsheet does not peel off whereas, at high temperatures, part of the backsheet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PV module after the peeling process. The backsheet materia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V module i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XRD) analysis to be poly-ethylene(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i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the layers of the PV module. In particular, DSC provides the melting temperature($T_m$) of laminated ethylene vinyl acetate(EVA) and of the backsheet on the PV module. It is found that the backsheet does not peel off below the $T_m$ of ethylene of EVA, while the PE layer of the backsheet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PV module above the $T_m$ of the PE. Thus, the backsheet is best removed at a temperature between the $T_m$ of ethylene and that of PE layer.

제주도 난대림에서 노루 뿔의 성장과정에 의한 어린나무 박피에 관한 연구 (Peeling Damage of Sapling caused by the Developing Process of Roe Deer Antlers in Warm-temperate Forests of Jeju Island)

  • 김은미;박영규;권진오;김지은;강창완;이치봉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4-259
    • /
    • 2012
  • 산림에서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는 노루를 비롯한 사슴과에 속하는 포유류에 의해 발생하며 먹이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뿔이 녹각으로 되는 과정에서 벨벳을 벗겨내는 행동에 의해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가 발생하여 이들을 살펴보았다. 국립산림과학원 한남시험림내의 해발 400m에서 500m 사이에 위치한 6km구간의 임도 주변 5m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9일부터 10월 4일까지 맑은날을 택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루가 뿔로 긁은 피해목은 총 25종, 267본이었으며 낙엽활엽수가 18종 134본, 상록활엽수가 5종 71본, 나머지 2종 62본은 침엽수였다. 뿔 긁기로 가장 선호하는 수종은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비목(Lindera erythrocarpa),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순이었다. 피해목은 주로 3~4년생의 어린나무이며 평균 수고는 $120.7{\pm}42.4cm$이었고, 지상 5cm 높이에서의 직경은 $1.5{\pm}0.5cm$, 피해 시작점(최저점)은 지상에서부터 평균 $22.1{\pm}10.1cm$ 지점이었고, 피해길이는 평균 $27.5{\pm}10.6cm$이었다. 나무껍질이 벗겨지면 이차적으로 균류의 침입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어린나무의 외형이 변하거나 죽게 되어 난대림의 향후 종 구성에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림의 식생변화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노루의 뿔에 의한 피해는 난대림의 자연 갱신은 물론 조림과 묘목생산 그리고 지속적인 산림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숭례문 복원 단청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tored Sungnyemun Gate Dancheong)

  • 김순관;한민수;정선혜;김미정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7-456
    • /
    • 2014
  • 복원된 숭례문 단청에서 박리 박락 등의 손상이 발생함에 따라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사용된 안료 12종에 대한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호분과 석간주를 제외한 10종은 인공안료로 확인되었다. 교착제의 종류와 비율을 달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고, 현장에서 채취한 단청 시편을 대상으로 용해 비교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단청 시편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착제의 도포 순서를 달리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촉진내후성을 평가하였다. 전체적으로 도막 층이 두꺼워지고, 다른 물성의 교착제를 교차하여 사용하였을 때 박리 박락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텅스텐 실리사이드 박막 들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Si$_2$ film peeling off from Si substrate)

  • 한성호;이재갑;김창수;이은구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4
    • /
    • 1996
  • High temperature anneal of W-rich silicides, inferior to adherence compared with Si-rich silicides, resulted in the film peeling off from the Si-substrate when WSix thickness reached more than critical thickness. Investigation of the W-rich silicide films peeling off from the substrate revealed that the voids underneath the $WSi_2$ produced through silicide reaction were responsible for the poor adherence of W-rich silicide. In addition, internal stress in the film increased as the silicide thickness increased. In order to promote the adhesion of WSix to Si-substrate, thin Ti-layer was formed between WSi and Si-substrate(WSix/Ti/Si). No voids were observed in $WSi_2$/Ti/Si $N_2$-annealed at $1000^{\circ}C$, thereby leading to an increase of the critical thickness from ~1700$\AA$ to more than 2500$\AA$. However, higher resisiti-vity was obtained in WSix/Ti/Si than in WSix/Si. Finally, different silicide reaction mechanism for the structures(WSix/Si, WSix/Ti/Si) was proposed to explain the formation of voids as well as the role of thin Ti-layer.

  • PDF

Quadrant Analysis in Correlation between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Conductive Film Bonded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 Baek, Su-Wung;Choi, Kwang-Il;Lee, Woo-Hyoung;Lee, Suk-Ho;Cheon, Chan-Hyuk;Hong, Seung-Min;Lee, Kil-Song;Shin, Hyun-Woo;Yan, Yeon-Won;Lim, Cheolhyu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1-4
    • /
    • 2015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conductive film (LT-CF) bonded silicon solar cells by a quadrant analysis (horizontal axis (peeling strength), vertical axis (power loss)). We found that a series of points with various bonding parameters such as bonding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were distributed in the different three regimes; weak regime (Q2: weak bonding strength and high power loss), moderate regime (Q4 : strong bonding strength and low power loss) and hard regime (Q3 : weak bonding strength and low power loss). Using this analogous technique, it was possible to fabricate the LT-CF bonded silicon solar cells with the various conditions displayed in Q3 of the quadrant plots, possessing the peeling strength of ~ 1N/mm and power loss of 2~3%.

닥나무 박피 자동화를 위한 닥 인피의 구성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of Paper Mulberry Bark for the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 서진호;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1호
    • /
    • pp.74-82
    • /
    • 2011
  • The bast fiber of Paper mulberry has been generally used as a fibrous raw material in traditional Hanji-making. Nowadays, its uses is expanded to different special purposes such as paper mulberry yarn, laminated paper, antimicrobial paper depending on its application. Despite the wide array of the use of mulberry fibers, it is still limited due to some difficulties in the automation process of manufacturing work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aper mulberry bark for the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The bast tissue of paper mulberry was separated in three plies; black outer layer, green inner layer, and white inner layer. The total lignin content, holocelluloses, extractives and ashes, and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three layers in mulberry bark tissue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lack outer layer is composed of about 50% of total lignin content, whereas the white inner layer is composed of about 90% of holocellulose content.

Effect of Tio2 particles on the mechanical, bonding properties and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AA1060/TiO2 composites fabricated by WARB

  • Vini, Mohamad Heydari;Daneshmand, Saeed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99-107
    • /
    • 2020
  • Reinforced aluminum alloy base composite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since they usually possess several desirable properties. Recently, Warm Accumulative Roll Bonding (WARB) process has been used as a new novel process to fabricate particle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s. In the present study, TiO2 particles are used as reinforcement in aluminum metal matrix composites fabricated through warm accumulative roll bonding process. Firstly, the raw aluminum alloy 1060 strips with TiO2 as reinforcement particle were roll bonded to four accumulative rolling cycles by preheating for 5 min at 300℃before each cycle. The mechanical and bonding properties of composites have been studied versus different volume contents of TiO2 particles by tensile test, peeling test and vickers micro-hardness test. Moreover, the fracture surface and peeling surface of samples after the tensile test and peeling test have been studied versus different amount of TiO2 volume content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ength and the average vickers micro-hardness of composites improved by increasing the volume content of TiO2 particles and the amount of their elongation and bonding strength decreased significantly.

딥러닝을 이용한 PCB 필름 미박리 양품 판정 (Determination of PCB film of Un-peeling Defect Using Deep Learning)

  • 이정구;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075-1080
    • /
    • 2022
  • 최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대표되는 머신러닝 및 딥러닝 알고리즘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분류, 군집화 등과 같은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CB의 보호용 필름의 미박리 상태를 디젝트론2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반사 임계각 42.8°의 조건으로 촬영된 이미지로 61장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42장의 데이터를 학습에 19장의 데이터를 검증에 사용하였다. 딥러닝을 이용한 PCB 미박리 필름 검출 결과 19장의 검증 데이터 중 16장 검출, 3장 오검출 결과를 얻었다.

작약(芍藥)의 뿌리굵기와 각피(刻皮)정도가 건조시간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 Diameter and Peeling Methods on Drying Time and Paeoniflorin Content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기재;박준홍;유오종;신종희;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8-43
    • /
    • 1998
  • 직약 건조시 양질의 약재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뿌리굵기에 따라 박피정도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의 뿌리는 굵기별로 건조하는 것이 건조시간 단축효과가 있었는데, 기계박피시 적정건조 시간은 $5{\sim}10mm$가 20시간, $10{\sim}15mm$가 39시간, $15{\sim}20mm$가 48시간, 20mm 이상이 56시간이었고, 5mm이하는 무박피로 건조하는데 11시간, 노두(蘆頭)는 무박피상태에서 절단 건조할 경우 4시간이 소요되었다. 2. 작약 건조시 가는 뿌리일수록 무박피와 박피간의 건조소요시간의 차이가 적었고, 박피율은 증가하여 수량 손실이 않았으므로 뿌리굵기 10mm 이하는 세척하여 무박피상태로 그 이상은 표피부분만 제거 하고 건조하는 것이 건조시간 단축 및 수량면에서 효율 적인 박피방법이었다. 3. 작약 뿌리 표피부분은 금기에 관계없이 두께가 0.3mm정도인데 무제거 건조가 제거후 건조에 비하여 paeoniflorin함량은 높았으나 건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었다. 4. paeoniflorin함량은 뿌리굵기 5mm이하가 6.15%로 가장 높았고, $15{\sim}20mm$까지는 굵기가 굵어 질수록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20mm이상에서는 다시 약간 증가하였고, 표피와 피층부분의 껍질은 많이 제거될수록 함량이 감소하였다.

  • PDF

리기다소나무 조재목(造材木)의 천연건조(天然乾燥)에 미치는 박피처리(剝皮處理)의 효과(効果) (The Peeling Effect on the Natural Seasoning of Pitch Pine Log)

  • 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2
    • /
    • 1967
  • 이 시험(試驗) 전남(全南) 광양연습림(光陽演習林)에 있는 약(約) 40여년생(餘年生)의 리기다소나무임분(林分)에서 하계벌(夏季伐)과 동계벌(冬季伐)을 실시(實施)한 다음 조재목(造材木)에 완전박피(完全剝皮), 외피박피(外皮剝皮)(내피부재(內皮付材)) 그리고 무박피처리(無剝皮處里)를 하여 이들이 천연건조(天然乾燥)에 미치는 박피처리(剝皮處理)의 효과(効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실시(實施)되었다. 이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완전박피재(完全剝皮材)는 대체(大體)로 내피부재(內皮付材)나 무박피재(無剝皮材)에 비교(比較)하여 속(速)히 건조(乾燥)하나 건열피해(乾裂被害)를 많이 이르킨다. (2) 하계벌(夏季伐)을 실시(實施)한 완전박피재(完全剝皮材), 내피부재(內皮付材) 및 무박피재(無剝皮材)를 비교(比較)하면 완전박피재(完全剝皮材)와 내피부재(內皮付材) 및 무박피재간(無剝皮材間)에는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어도 내피부재(內皮付材)와 무박피재간(無剝皮材間)에는 차이(差異)가 없다. (3) 동계벌(冬季伐)을 실시(實施)한 경우 내피부재(內皮付材)와 완전박피재간(完全剝皮材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어도 완전박피재(完全剝皮材) 및 내피부재(內皮付材)와 무박피재간(無剝皮材間)에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따라서 내피부재(內皮付材)의 건조효과(乾燥効果)는 완전박피재(完全剝皮材)의 효과(効果)와 같다고 생각(生覺)한다. (4) 이 시험(試驗)에서 하계벌(夏季伐)의 완전박피재(完全剝皮材) 그리고 동계벌(冬季伐)의 내피부재(內皮付材) 및 완전박피재(完全剝皮材)는 모두 4개월(個月) 이내(以內)에 평형함수량(平衡含水量)에 도달(到達)한다고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