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ce da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the Peace-Dam Construction on the Flood Discharge and the Flood Stage of the Hwachun-Dam

  • Jun, Byoung-Ho;Shin, Hyun-Suk;Yoon, Jae-You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5권
    • /
    • pp.17-31
    • /
    • 1994
  • Because of the Keumkangsan-Dam and the Peace-Dam constructed in recent years, it is expected that the peak flood discharge and the peak flood stage at the Hwachun-Dam site have been changed. In this study, two methods were used to simul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e upstream dam construction on the change of the discharge and the stage. One is the storage function method widely used for the hydrological routing in the country. The other is the DWOPER(Dynamic Wave Operational Model) package conducted on four different scenarios: (1)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Keumkangsan-Dam and the Peace-Dam; (2) the exclusion of the Keumkangsan-Dam watersh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3) the exclusion of the Keumkangsan-Dam watersh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 (4) the exclusion of the Peace-Dam watershed. The results of the four test cases from the two methods show that the peak flood discharge and the peak flood stage at the Hwachun-Dam site are reduc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From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operational criteria for the optimal dam-operation of the Hwachun-Dam need to be modified.

  • PDF

화천댐의 홍수량 및 수위에 미치는 평화댐의 영향 분석 (Influence of the Peace-Dam Construction on the Flood Discharge and the Flood Stage of the Hwachun-Dam)

  • 전병호;신현석;이재철;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93-101
    • /
    • 1993
  • 화천댐 상류에는 최근 금강산댐과 평화댐이 건설되었으며 이로인해 홍수유출 및 수위에 큰 변화를 보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유역 자료를 사용하여 상류조건의 변화에 따른 화천댐으로의 유입량 및 수위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를 위해서는 수문학적 추적 방법중 저류함수법과 수리학적 홍수 추적 방법중 미국 NWS의 DWOPER(Dynamic Wave Operational Model)Package를 사용하였다. 홍수 추적은 1) 금강산댐과 평화댐 건설전, 2) 금강산댐 유역제외(평화댐 건설전), 3) 금강산댐 유역제외(평화댐 건설후), 4) 평화댐의 수문폐쇄시등의 4가지 경우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그 결과 상류댐의 건설로 인해 화천댐 유역의 유입량과 수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화천댐의 최적운영을 위하여 새로운 댐 조작기준의 설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 PDF

평화의 댐 흥수지체 효과에 따른 화천댐 계통 이수 능력의 증대에 대한 검정 (Identification of Expanding the Usability of the Water Resources in Hwacheon Dam System Due to the Flood Surcharging Effects of Peace Dam)

  • 유주환;박창근;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617-625
    • /
    • 2001
  • 수공 방어용으로 건설된 평화의 댐은 화천댐과 연계되어 있고 배수 터널과 함께 1단계 준공 상태로서 화천댐 상류에 위치하여 댐 하류에 홍수지체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평화의 댐의 활용방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화천댐 시스템 조작을 수행하여 평화의 댐 홍수조절효과와 화천댐의 홍수기 제한수위 등을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화천댐 계통의 이수 증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저수지 조작 기준과 모형을 설정한 다음 저수지 조작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치에 대한 실적치의 상대적인 값으로 조정계수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화천댐 제한수위의 몇가지 대안에 대하여 최적 저수지 조작을 수행하여 제한수위 적정 수준을 제시하고 경제적인 편익 또한 평가하였다.

  • PDF

이수측면에서 평화의댐 활용방안 연구 (Utilization of Peace Dam for Conservation Purpose)

  • 이재응;임동선;이종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8호
    • /
    • pp.653-66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평화의댐을 화천댐과 연계운영하여 치수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이수측면에서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평화의댐은 2003년 2단계 축조공사 완료후 현재 댐 마루표고가 EL.225m에서 증축될 계획이어서 담수능력이 증가될 것이다. 만일 평화의댐 저수용량이 증대되고 수문이 설치된다면 치수뿐만 아니라 이수 측면에서도 한강수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운영 기법을 사용하여 평화의댐 상시만수위 변화, 화천댐 하절기 제한수위의 변화, 그리고 평화의댐으로 유입되는 유입량의 변화를 다양하게 고려한 저수지 운영을 실시하여, 신뢰도 95%시 화천댐 연평균발전량, 상시발전량, 용수공급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평화의댐 상시만수위와 화천댐 제한수위 증대시 발전량은 증가하나 유입량 감소시에는 발전량에 크게 변화를 미치지 않았다. 용수공급능력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유입량 감소시 약 35∼40%가량 감소하므로 일정수준을 유지하려면 평화의댐을 증고하여 상시만수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평화의 댐 상류수계의 부착조류 분포 및 계절변동 조사 (Seasonal Variations of Periphyton Communities in the Upstream of the Dam of Peace, Korea)

  • 김백호;최환석;서미연;한명수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2호
    • /
    • pp.37-44
    • /
    • 2004
  • Flora and standing crops of the periphyton communities were examined at five sites in the mountainous streams of the Dam of Peace, Korea, from June to November 2003. The attached algal communities comprised totally 76 taxa belong to the 5 classes. In species composition, diatoms and green algae overwhelmingly dominated the periphyton communities although their standing crops were low. During the survey period, major dominant species were Navicula gregaria and Nav. pupla var. capitata, as 11.7% and 8.9% of total standing crop, respectively. Other subdominant species were Scenedesmus ecornis and Spirogyra weberii in green algae, Cymbella affinis, Cymbella minuta. Fragilaria capucina, Melosira varians, Naw. cryptocephala, Nav. exigua var. capitata, Nav. gregaria, Nit. sublineuris in diatom. In the seasonal appearances, S. ecornis and Oscillatoria nigra were occurred in summer, C. affinis and F. capucina in autumn, and N. sublinearis, and species Spirogyra weberii in winter, respectively.

평화의 댐 어류군집 분석 (Fish Community Analysis in the Peace Dam)

  • 이광열;장영수;최의용;서진원;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297-303
    • /
    • 2005
  • 2003년 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평화의댐의 어류상 및 군집분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동안 출현한 어류는 모두 8과 31종이었다. 채집어종들 중 한국고유종은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등 13종 (41.94%)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누치 (Hemibarbus labeo) 14.07%, 갈겨니 (Zacco temmincki) 13.72%, 피라미 (Z. platypus) 11.94%, 참마자(H. longirostris) 9.31%,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8.10% 등 이었다. 생체량은 누치 (H. labeo) 24,278 g, 쏘가리 (S. scherzeri) 19,487 g, 뱀장어 (A. japonica) 10,400 g, 잉어 (C. carpio) 8,418 g, 붕어 (C. auratus) 4,020 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류상 및 어류군집에 따라 북한강수계의 인공호들은 UPGMA에 의해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평화의 댐은 소양호 및 파로호와 비슷한 군집구조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댐붕괴시 홍수가 하천하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ood Discharge due to Dam Breach on Downstream Channel)

  • 안상진;이준근;연인성;유형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66-16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 downstream channel is affected in case of hypothetical dam failure. The object of it is Hwacheon dam basin within the basin of North Han river. This study has analyzed the influence on Pyeonghwa(Peace) dam and Hwacheon dam supposing that the Imnam dam in North Korea on the upper stream of North Han river is failed hypothetically at the MFWL(maximum flood water level) by a deluge of rain. The model applied at the main study is NWS(National Weather Service) FLDWAV(Flood Wave Routing Model). Dam breach characteristics data are analyzed by making nine hypothetical scenarios on the basis of other studies on the shape and size of dam breach, time of failure and so on. Expected peak discharge through the breach is verified to have the propriety in comparison with empirical function which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ase of dam breach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it is observed that peak discharge is more increasing, as the time of breach gets shorter and the breach width gets bigger. As a result of main study, even though the Imnam dam is hypothetically failed down, there has no influence on the Hwacheon dam of the downstream as the extended Pyeonghwa dam on the downstream controls the volume of discharge properly.

  • PDF

평화의댐 장기 유출과 수질 모의를 위한 GSSHA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GSSHA model for the long-term simulation of discharge and water quality at the Peace dam)

  • 장석환;오경두;조준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5호
    • /
    • pp.357-367
    • /
    • 2020
  • 미계측 유역의 수문순환이나 수질을 모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특히 장기간에 걸쳐 모의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인 평화의댐 유역을 대상으로 물리적인 과정 기반의 분포형 수문 모형 GSSHA의 장기 유출과 수질 모의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분포형 유역 모형 GSSHA를 평화의댐 유역에 적용하여 유량과 수질 모의치를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소규모 호우로부터의 첨두유량을 과대하게 모의하거나 실측된 수질 자료와 일부 구간에서 다른 경향성을 보이는 등 일부 불일치하는 사항들이 나타났으나 모의된 주요 호우의 첨두유량과 기저유출의 전반적인 수문곡선 형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실무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강원도 접경지역이 평화지역으로 가기위한 새로운 지평과 지속가능발전 (On the New Prospect of Gangwon Border Area as a Peace Zone and its Sustainable Development)

  • 김종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38-651
    • /
    • 2022
  • 지난해는 한반도 평화권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2021 DMZ양구평화선언문'이 채택되었다. DMZ관련 법과 제도, 지속가능한 생태·환경, 안보·공동체 관점에서 새로운 인식과 접근 등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강원도는 DMZ 접경지역을 평화지역으로 만들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평화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공론화시키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 접경지역이 담의 기능에서 통로의 기능으로의 대전환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경계의 벽을 허물어 소통의 흐름을 위한 새로운 지평으로 지속발전 가능한 지역으로 나갈 수 있는 토대가 되어야 한다. 한반도 접경지역 중에서 강원도 지역이 왜 평화지역으로 나가야 하는 지에 대하여 주장하였다. 결론은 한반도 통일 정책의 새로운 시각으로 '평화권'에 대한 이해와 아젠다의 정립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의 지정을 활용한 DMZ일원의 생태환경 보전의 가치가 미래 지구환경보전이라는 가치와 맞물려야 한다. 평화지역은 한반도를 넘어 범세계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글로컬 지역주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그 방법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요소 반영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그동안 접경지역은 아픔과 상처의 피해 지역이었다. 이제 강원도 평화지역은 치유를 통한 평화공존의 지역가치 실현의 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강원도 접경지역이 새롭게 평화지역으로서의 가치를 조명하여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의 제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