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ient Uniform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2초

내시경적 역행성 췌관 조영상의 균등한 농도를 위한 적절한 쐐기형 필터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Wedge Type Compensation Filter for Uniform Density on the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graphy)

  • 손순룡;이희정;이원홍;조정찬;류명선;정홍량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4권1호
    • /
    • pp.5-9
    • /
    • 2001
  • Over-density of pancreatic duct tail part on the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gram results from patient's position and inserted air during the stud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cide the filter angle to obtain an uniform density.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graphy was performed to 234 patients, and angled wedge filter was used differently. They are $10^{\circ}$ (47), $20^{\circ}$ (45), $30^{\circ}$ (50), and $40^{\circ}$ (50). We also did not use wedge filter to 42 patients. We decided reliance degree in 95%. The statistical difference was p<0.05. The patients' sex rate was 1.8 : 1 between 18 and 87 years old(average age 58 years). Their body girth was 18.71 cm on the average. Of total 234 patients, difference of right and left average density was 0.01 by $30^{\circ}$ wedge filter, -0.08 $40^{\circ}$ wedge filter and 0.27 non-wedge filter. These average values of difference density were very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standard deviation also was close to regular distribution. In conclusion, there is a usefulness of angled wedge filter for increasing diagnostic value of pancreatic duct tall part on the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gram.

  • PDF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에서 균일한 에너지 소모를 유도하는 경로설정기법 (An Uniform Routing Mechanism with Low Energy Consumption over Wireless Sensor Network)

  • 윤미연;이광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2B호
    • /
    • pp.80-90
    • /
    • 2006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감지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센서노드에서 싱크로의 라우팅 기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전달을 위한 경로설정시 에너지의 효율성 및 균일성을 제공하는 제어메시지의 확률적 플러딩을 제안하며 에너지의 소모를 되도록이면 균일하도록 유도하는 에너지확률을 이용하고 경로를 은닉할 수 있는 분산 라우팅기법을 제안하였다. 에너지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학적 모델링과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다. 각 기법은 기존의 관련연구와 비교분석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유아 발 전체의 뼈에 대한 합성 전후축방향 엑스선촬영법 연구 (A Composite DorsoPlantar Axial X-ray Projection Study on the Bones of the Whole Infant's Foot)

  • 박윤;안병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07-1013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 발의 합성 전후축방향 엑스선 촬영에서 발전체가 다리와 겹침 없이 균일한 농도와 선예한 영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와 Signal to Noise Ratio 분석 결과 Cronbach Alpha 값이 0.813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호대잡음비(SNR)의 연구에서는 발허리뼈에서 발꿈치뼈를 향하여 엑스선관을 10° 기울여 검사 시 5.948 높게 나타났으며, 발꿈치뼈에서 발허리뼈를 향하여 엑스선관을 20° 기울여 검사 시 6.957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주관적평가에서는 발허리뼈에서 발꿈치뼈로 10° 기울려 검사시 18점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발꿈치뼈에서 발허리쪽뼈을 향하여 엑스선관을 20° 기울여 검사 시 18 점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 발 합성 전후축방향 검사 시 엑스선관을 발허리뼈 뒤쪽으로 10° 기울였을 경우와 발꿈치뼈에서 전방으로 20° 기울였을 때 균일한 농도와 선예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전뇌(Whole Brain)치료 시 Field-in-Field Technique 적용에 관한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dose distribution for whole brain with field-in-field technique)

  • 김보겸;이제희;정치훈;박흥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7
    • /
    • 2005
  • 목적 : 방사선치료에 있어 치료부위내의 균등한 선량분포는 환자의 치료성적 및 장해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이러한 치료부위내의 균등한 선량분포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간단한 Field-in-Field Technique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크기의 전뇌(whole brain)치료 환자에게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전뇌(whole brain)의 일반적인 치료기법인 대향2문조사와 Field-in-Field Technique을 적용했을 때의 선량분포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phantom(acryl 16 cm spheral phantom)을 대상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선량분포평가를 위하여 저감도필름(X-Omat V-film)과 열형광선량계(TL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두께의 환자20명(대, 중, 소 및 소아-각각 5명)을 대상으로 Field-in-Field Technique의 적용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결과 : 전뇌(whole brain)치료에 대향2문조사와 Field-in-Field Technique을 적용한 경우 각각의 치료부위내의 선량분포 및 DVH를 비교한 결과, Field-in-Field Technique을 사용한 경우 고선량(high dose)영역을 $3{\sim}4\%$이하로 줄일 수 있었고, 저감도필름(X-Omat V-film)과 열형광선량계(TLD)에 의한 측정결과 또한 유사한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Field-in-Field Technique을 다양한 두께의 환자에게 동일하게 적용해도 선량분포의 변화는 $1{\sim}2\%$로 나타났다. 결론 : 전뇌(whole brain)치료에 Field-in-Field Technique를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적용하면 치료부위내의 균등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선량합성이 용이하여 쉽게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균등한 선량분포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wedge filter 및 3D compensator 의 역할을 대체 할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 시 고선량 영역으로 인해 발생되는 장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두경부 종양의 방사선치료 시 접합 조사야에 사용된 조사면 끝단 차폐물의 유용성 (Efficiency on the Field Edge Block which was used at Junction Field of Head & Neck Cancer in the Radiotherapy)

  • 이재승;김정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35-241
    • /
    • 2008
  • 두경부 종양에서 표적용적(target volume)을 하나의 조사야로 포함하지 못하는 경우는 조사야를 둘, 또는 그 이상으로 접합시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다. 방사선치료 시 두 조사야 경계면에서 균등한 선량을 부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환자의 외형적인 인자나 전신 상태에 따라 피부 접합면( skin Junction area)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접합면에서의 과선량 또는 저선량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경부 종양의 측면 조사면 끝단 차폐물(edge block)을 회전 가변형으로 제작하여 피부 접합면에 균등한 선량을 부여할 수 있는 치료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모의치료에서 전방 상쇄골 하림프절(supraclavicle lymph node)의 중심선을 우측방 조사야 하단과 접합면으로 하여 회전 가변형 차 폐물을 이용하여 변형되는 거리와 회전각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원발병소와 상부 경부 림프절 우측방 조사야의 하단에서 회전 가변형 차폐물의 변형 거리는 Y축 중심선에 수직인 ${\pm}$10cm 거리에서 2mm 이내 였으며, 회전각은 평균적으로 약 1.28도의 회전 변형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사면 끝단 차폐물을 회전 가변형으로 제작함으로서 기존에 발생하던 피부 접합면에서의 불일치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두경부 종양의 경우는 원발병소와 상, 하부 경부 임파절에 적절한 선량을 부여하기 위한 조사면 끝단 차폐물을 이용한 방법이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라 사료된다.

두경부암 환자 치료시 3차원 보상체의 임상 적용에 대한 고찰 (Clinical Application of 3-D Compensator in Head and Neck Cancer)

  • 홍동기;이정우;이두현;박광호;김정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4-70
    • /
    • 1997
  • The goal of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is to deliver the dose to the patient within $5\%$ of that prescribed. We have often encountered the situation that the area which have not only several irregular contours but also tissue heterogeneities should be treated. With conventional devices such as wedges, missing tissue compensato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achieve the uniform dose distribution in treatment volume. The use of CT simulator, 3-D planning system, computer-controlled milling machine enables it to deliver the dose uniformally. This report includes the whole procedure which have patient data acquisition 3D planning, computer-controlled milling, performance verification of 3D compensator, and TLD evaluation. We applied it for the treatment of head and heck cancer only. In Spite of the irregular contour and different electron density of tessue, we have achieved the uniformity of the dose distribution within ${\pm}3\%$ relatively. Although there are some problems which are not only verification of performance but uncertainties of using the new treatment device, we believe that the improvement of dosimetry will eliminate the uncertainties of that application. so the other lesions besides head and neck can will be ale to use the 3D compensator to achieve the dose uniformity

  • PDF

18 시간까지의 허혈시간이 재접합 수지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Ischemia Time up to 18 Hours Does not Affect Survival Rate of Replanted Finger Digits)

  • 박정일;이동철;김진수;기세휘;노시영;양재원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636-641
    • /
    • 2011
  • Purpose: There are multiple dependent variables commonly attributed to survival of replanted digits. The ischemia time is thought to be a clinically relevant factor. However, controversy exists as large hand centers have reported successful replant outcomes independent of ischemic time. In this study, we present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on the effect of ischemia time on the survival of completely amputated digit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was performed. This cohort included all comers who had suffered complete amputation of a digit (Zone 2-4) and underwent replantation from 2003 to 2009. Demographic information as well as injury mechanism, ischemic time, and replantation outcome were recorded for each patient. Chi-square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 Results: Mean age was 35.5 years old (2-69). Mean replantation survival was 89.5% (37/317). Survival rates were 94, 88, and 88% in respective groups of 0~6, 6~12, of > 12 hours of ischemia time. In chi-squar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with $p$ value of 0.257. No other independent patient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replant survival rate. In the group with longest ischemia time (12~18 hours) replant survival rate was 88% (37/42). Conclusion: Prolonged ischemia time is commonly believed to be a contributing factor for replant survival. However, our experience has shown that survival rate is uniform up to 18 hours of ischemia.

구개 형태 및 조직 변위를 고려하여 후방 구개 폐쇄를 형성한 상악 총의치 제작 증례 (Maxillary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cases with posterior palatal seal considering palatal form and tissue displacement)

  • 김선아;손미경;허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52-159
    • /
    • 2022
  • 상악 총의치의 유지에 있어 후방 구개 폐쇄(Posterior palatal seal)의 역할은 중요하다. 최종 인상을 채득한 후 주모형상에 구를 형성하는 기계적 방법을 통하여 상악 의치에 추가적인 유지를 부여할 수 있으나 이는 임상적인 과정에서 간과되곤 한다. 그 결과 기공사에 의해 환자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방법으로 후방 구개 폐쇄가 형성된다. 현재까지 많은 이들에 의해 다양한 후방 구개 폐쇄 형태가 소개되어 왔다. 본 증례 보고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개 형태 및 기능시 조직 변위를 고려한 후, 적절한 후방 구개 폐쇄의 위치 및 형태를 결정하여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는 과정을 보고하는 바이다.

PET/CT 저선량 적용 시 CT 감쇠보정법에 따른 피폭선량 저감효과 (Effect of the Dose Reduction Applied Low Dose for PET/CT According to CT Attenuation Correction Method)

  • 정승우;김홍균;권재범;박성욱;김명준;신영만;김영헌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27-133
    • /
    • 2014
  • PET/CT에서 환자피폭 문제로 인해 저 선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CT 데이터를 이용한 감쇠보정법인 CTAC와 새롭게 적용된 Q.AC를 환자실험과 팬텀 실험을 통해 저 선량으로 촬영 시 PET 영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장비는 GE사의 PET/CT Discovery 710 (GE Healthcare, USA)를 사용하였으며 팬텀실험으로 감쇠보정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NEMA IEC body phantom과 균일성 평가를 위한 Uniform NU2-94 phantom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팬텀 내부에 동위원소 18-F FDG를 70.78 MBq, 22.2 MBq 주입하고 CT조건은 저 선량조건으로 80 kVp, 10 mA로부터 일반선량 조건으로 140 kVp, 120 mA 조건까지 스캔 후 CTAC와 Q.AC 두 감쇠보정법을 적용하여 재구성하였다. PET 영상에서 일반선량 조건을 기준값으로 정하고 horizomtal profile과 vertical profile을 통해 정량평가를 시행하고 기준값과의 상대적 오차를 평가하였다. 또한 환자실험으로 정상체중 환자와 과체중 환자를 구분하여 저 선량과 일반선량으로 비교 촬영한 뒤 CTAC와 Q.AC로 재구성된 PET영상에서 주요장기별 SUV에 대한 상대적 오차와 신호 대 잡음비를 비교분석하였다. 팬텀실험 결과 저선량 조건에서 CTAC와 Q.AC로 각각 재구성한 PET 영상의 profile과 상대적 오차에서 CTAC보다 Q.AC가 기준값과의 오차가 적은 그래프를 얻었다. 환자실험의 경우 일반선량 조건에서는 정상체중 환자와 과체중 환자 모두 감쇠보정법에 따른 상대적 오차값의 변화가 적었으나 저 선량 조건에서는 정상체중 환자보다 과체중 환자에서 감쇠보정법의 변경에 의한 상대적 오차의 감소폭이 커짐으로 기준값과 차이가 감소하였다. 기존의 감쇠보정법인 CTAC는 80 kVp, 10 mA의 저선량 CT를 사용하는데 있어 PET 영상의 선속경화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CTAC를 이용하여 재구성된 PET 데이터는 정량화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반면에 새로운 알고리즘이 적용된 Q.AC는 과체중 환자의 경우 80 kVp, 10 mA 정도까지는 140 kVp, 120 mA 조건으로 촬영하여 재구성한 PET 데이터 결과와 차이가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Q.AC를 이용한 경우 기존보다 저 선량의 CT를 이용해 PET의 재구성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피폭을 줄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다발성의 분화도가 좋은 태아형 폐선암종 - 1예 보고 - (Multiple Well Differentiated Fetal Adenocarcinoma of the Lung - A Case Report -)

  • 김광일;이주한;문정석;김한겸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75
    • /
    • 1997
  • Well differentiated fetal adenocarcinoma of the lung Is a subtype of pulmonary blastoma. In this report, CT-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smears were performed at the right upper lobe of the lung in a 45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the smoking history of one pack per day for 25 years. The smears disclosed round, papillary, and tubular patterns of cell clusters. The individual cells had relatively uniform, small to medium sized nuclei without nucleoli, and showed vesicular or eosinophilic cytoplasm with Indistinct cell border. The morules were seen in the central area of papillary clusters. They were composed of two cell types, outer single layered cuboidal cellular lining and central three-dimensional cluster of cells simulating fetal lung. These cytologic features need to be differentiated from usual pulmonary adenocarcinoma, carcinoid, and pulmonary blastoma. On histologic findings, the tumor arised in the bronchial epithelium. And the tumor cells had abundant intracytoplasmic glycogen with neuroendocrine feature on histochemical study. In addition, the multiplicity of this tumor is the unique point comparable to the previous repor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