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logic finding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1초

슬개하 지방체에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 증례 보고 - (Para-articular chondroma in the infrapatellar fat pad - A case report -)

  • 남일현;안길영;문기혁;이영현;최성필;김정현;백애란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08
    • /
    • 2011
  • 주변골과 연결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계 외의 연골종에는 활액막성 연골종증, 관절 내 및 관절 주위 연골종, 연부 조직성 연골종 등이 있으며, 후자의 두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20세 군인이 심한 훈련을 한 후 발생한 슬관절의 압통, 굴곡시의 통증과 충만감, 운동 제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x-ray와 MRI 검사에서 발견한 종괴에 대한 것으로, 이 종괴에 대해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5.5{\times}4{\times}3$ cm 크기의 단단한 고립성 종괴였다. 현미경 소견 상 종괴는 소엽상을 이루는 초자 연골이 바깥쪽의 섬유성 피막에 의해 싸여져 있었으며, 이에 관절 주위 연골종으로 진단하였다. 저자들은 슬관절 슬개하 지방체에서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1 예를 경험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소견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외상성 교합으로 인한 어린이의 치주질환 (PERIODONTAL DISEASE CAUSED BY TRAUMA FROM OCCLUSION IN A CHILD)

  • 최병재;고동현;김성오;이제호;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8-452
    • /
    • 2004
  • 외상성 교합은 교합력의 결과로서 치주조직에 가해지는 손상이다. 주된 증상은 치아의 동요도이고, 통증, 타진에 민감, 열에 민감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교합력에 의해 치아가 이동을 할 수도 있다. 만성으로 진행시 치아의 과도한 교모가 나타나며 방사선학적으로 치근막 공간의 비후, 치조백선의 비후, 치조골의 방사선 투과성 치근흡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외상성 교합은 치주질환의 원인과 관련되어 있다. 증가된 치아동요도를 야기하며 외상성 교합 자체는 치은염과 치주낭을 발생시키지 않으나 국소적 치태와 염증이 존재하고 있는 하에서 골소실, 치주낭이 발생할 수 있다. 치은퇴축은 외상성 반월, 맥콜스 팽윤, 스틸만 균열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증례는 하악 유견치 부위의 치주질환을 주소로 내원한 5세 남아로서 상하악 유견치의 조기 접촉에 의해 하악 좌우측 유견치의 중증도의 동요도, 교합마모, 치은 퇴축, 치조골 파괴의 증상이 나타났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Methotrexate에 의해 발생한 간질성 폐렴 1예 (A Case of Methotrexate Induced Pneumonitis in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 박찬석;이상학;심건호;김완욱;이숙영;김석찬;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3호
    • /
    • pp.273-277
    • /
    • 2004
  • 저자들은 급성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임상소견과 흉부 방사선소견, 기관지폐포세척액 및 경기관지폐생검을 통해 methotrexate에 의한 간질성 폐렴 1예를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활액막 연골종증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Synovial Chondromatosis)

  • 배대경;권오수;이정희;임찬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8
    • /
    • 2002
  • 목적 : 슬관절에 발생한 8명(9례)의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6월부터 1999년 9월까지 활액막 연골종증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활액막 전절제술 및 유리체 제거술을 시행받은 8명 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6명, 여자 2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4.1세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5.9년이었다. 진찰소견에서 동통 및 종창이 주증상 이었으며, 2례에서 장김 현상, 3례에서 평균 28도의 굴곡 구축을 보였다. 결과 : 병리소견 및 관절경 소견상 Milgram 1기 1례, 2기 6례 및 3기 2례였고 부위별로 전반적인 활액막 비후를 보인 경우가 6례, 국소적인 활액막 비후를 보인 경우가 1례 였으며, 국소적 1례의 경우 후내방 및 후외방 구획의 병변을 보였다. 술후 전례에서 임상적 증상의 소실과 함께 정상적 운동범위를 보였다. 술후 재발은 1례로 1차 수술 소견상 Milgram 2기였으며 술후 11개월에 이차적 관절경 수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 비교적 희귀한 질환인 활액막 연골종증 9례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유리체 제거술 및 활액막 전절제술로 합병증 없이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재발 방지를 위해 활액막 전절제술이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근활택술과 치은박리소파술 후 치아동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Clinical Evaluation of Tooth Mobility Following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 방은경;채중규;김종관;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893-914
    • /
    • 1999
  • Tooth mobility may be the decisive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dental treatment of any kind is undertaken. Although tooth mobility in isolation says little in itself, the finding of increased tooth mobility is of both diagnostic and prognostic importance. Only the detection of an increase or decrease in mobility makes an evaluation possible. Thus prior to treatment, we must understand the pathologic process causing the observed the tooth mobility and decide whether the pattern and degree of observed tooth mobility is reversible or irreversible. And then it must be decided whether retention and treatment or extraction and repla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oth mobility at different time period during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and to relate changes in mobility to each treatment method. Twenty-one patients (287 teeth) with chronic adult periodontitis were treated with root planing(control group) and flap operation(experimental group), and each group was divided 3 subgroups based upon initial probing pocket depth (1-3mm, 4-6mm, 7mm and more). Tooth mobility was measured with $Periotest^{(R)}$ at the day of operation, 4 days, 1 week, 2 weeks, 3 weeks, 4 weeks, 8 weeks, 12 weeks after each treatment. Tooth mobility, attachment loss, radiographic bone loss, and bleeding on probing were measured at the day of operation, 4 weeks, 8 weeks and 12 weeks after treatment. 1. In group initial probing depth was 1-3mm, tooth mo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2 . In group initial probing depth was 4-6mm, 7mm and more, tooth mobility had decreased in 12 weeks after root planing(p<0.01). And the mobility had increased after flap operation(p<0.01) and was at peak in 1 week, and decreased at initial level in 4 weeks, below the initial level in 12 weeks(p<0.01). 3. In 1 week,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 mobility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as found(p<0.01) but, in 12 week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4. Change of immediate tooth mobility after treatment was more larger in deep pocket than in shallow one. In group with the same probing pocket depth, the change of tooth mobility in molar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premolar group. 5. Tooth mobility before treatment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radiographic bone loss (r=0.5325) than probing depth, attachment loss and bleeding on probing, in 12 weeks after treatment,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attachment loss($r^2$=0.4761) than probing depth and bleeding on probing. Evaluation of the treatment effect and the prognosis after root planing and flap operation were meaningful on tooth initial probing depth 4mm and more. After flap operation, evaluation of the prognosis should be performed at least in 4 weeks and in 12 weeks after treatment, no difference in tooth mobility between two groups was observed. Radiographic bone loss and attachment loss were good clinical indicators to evaluate tooth mobility.

  • PDF

치아흡인에 의한 기관지 폐쇄 1예 (A Case of Bronchial Obstruction due to Occult Aspiration of a Tooth)

  • 장중현;김세규;정경영;민동원;신동환;이홍렬;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442-448
    • /
    • 1993
  • 저자들은 최근 약 30년전 치과에서 발치도중 치아 흡인되었으나 환자가 모르고 지내오다 5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상부 흉통을 주소로 내원, 폐엽절제술후 치아 흡인으로 인한 기관지폐쇄로 확인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Human Lung Cancer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Tumor Angiogenesis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umor Angiogenesis in Human Lung Cancer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 천선희;김성숙;라선영;정현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894-902
    • /
    • 1996
  • 연구배경: Tumor angiogenesis란 종양 내에서 및 종양을 향한 새로운 혈관 증식을 말하는 것으로 암의 중식과 전이의 원인이 되며, 주로 유방암과 전립선암에서 암세포 조직 내에서의 angiogenesls와 전이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으며, angiogenesls의 정도가 암의 독립적인 중요한 예후인자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폐암 조직에서 anglogenesls의 정도를 측정하여 예후인자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하였다. 방법: 1990년 1월 부터 1994년 12월 까지 이화여대 부속 동대문병원에서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치료성적 및 생존여부를 알고 있는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환자의 기관지내시경 조직의 paraffin embedded block을 이용하여 CD31에 대한 antibody인 JC70을 사용하여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endothelial cell을 염색하였다. 결과: 1) 전체 29예에서 microvessel의 수는 $32.7{\pm}20.8$(9-96)개 였다. 2) Microvessel의 수와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 T staging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임파선 전이 (N staging) 및 혈성 전이 (M staging) 와도 관계가 없었다(p>0.05). 3) 대상환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15개월(2-46)로 microvessel의 수가 20개 이상인 군(20예)과 이하인(9예) 군으로 나누어 보았을때 1년 생존률 각각 50%, 46%, 2년 생존율 각각 30%, 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Tumor angiogenesis는 임파선 및 원발 전이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예후 예측인자일 것으로 생각되나 폐암의 기관지내시경 조직검사 조직을 이용하여서 angiogenesis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조직이 적절하지 못하고 측정이 제한적이었으며,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에서 폐암에서의 angtogenesls에 관한 연구가 없는 상태로 수술조직을 이용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관지내시경하에 시행한 조직생검에 대한 고찰 (Clinical Analysis of Tissue Biopsy Under Fiberoptic Bronchoscopy)

  • 고건성;유장열;박석근;조태권;노관택;김홍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5.1-5
    • /
    • 1978
  • 1968년 Ikeda가 처음으로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e를 소개한 후 기관지경의 이용은 급속히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기관지경검사중에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생검도 빈번히 시행하게 되었다. 저자등은 1976년 6월부터 1978년 1월까지 시행한 233례의 기관지경검사중 조직생검을 시행한 71례를 분석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개월간 의뢰된 233례의 기관지경검사중 조직생검이 필요했던 경우는 30.5%인 71례이었다. 2. 조직생검이 필요했던 71례의 주소는 해수(17례), 호흡곤란(16례), 객담(15례) 등이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흉통, 객혈의 순이었다. 3. 조직생검의 부위는 우상엽기관지가 21.1%로 제일 많았고, 좌주기관지, 좌상엽기관지, 우주기관지, 좌하엽기관지등의 순이었다. 4. 조직생검이 필요했던 71례의 원인질환은 폐암이 80%(57례), 결핵이 15%(11례), 악성중피종, 탄분증, 국균증(aspergillosis)등이 각 1례이었다. 5. 폐암이 생검결과 확진된 것은 57례중 36례로 63%의 진단율을 보였다. 6. 폐암으로 확진된 36례의 병리학적 소견은 편평상피암이 64%(25례), anaplastic 25%(9례), 폐암과 분류할 수 없는 것이 각 1례이었다. 7. 71례중 기관지조영술을 한 예는 51%인 36예이었으며, 그 시기는 기관지경검사전에 시행한 것이 1/4, 후에 시행한 것이 3/4이었다. 8. 71예중 76%(54예)에서, 세포진단학 검사를 병행하였으며, 이 결과는 PAP class V가 15%, class IV가 7.5%, class III가 1.8%이었다.

  • PDF

Sulfur Dioxide 가스 흡입 후 흰쥐 기관 점막에서 Laminin의 발현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Laminin in Rat Tracheal Mucosa after Exposure to Sulfur Dioxide Gas)

  • 이형석;유연희;조석현;김경래;정호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9-37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SO_2$) gas in the ambient air appears increasing in the industry and urban area day by day. It was known that $SO_2$ is noxious gas. $SO_2$ can be irritating to the eyes, nose, throat, upper respiratory tract and skin. It produces sulfurous acid on contact with water and is extremely irritating to the nasopharynx and respiratory tract. Laminin is a family of extracellular matrix glycoproteins localized in the basement membrane that separates epithelial cells from the underlying stroma.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aminin are to promote cell migration, wound healing, growth and differentiation. Meterials and Methods : The histologic changes and the expression of laminin in tracheal mucosa sacrificed at every weeks (to 7 weeks) after continued $SO_2$ exposure of 250ppm for 30 minutes a day were studied in rats. Results : Pathologic tissue was formed at the tracheal mucosa and the underlying tissue by the infiltration of monocytes and epithelium was transformed to the single cell layered epithelium above 5 weeks after exposure. At the 6 weeks after exposure, epithelial cells were partially lost and epithelial cell layer was transformed to be leaf-shaped. Submucosal tissue was transformed to be lymphatic tissue. An intense positive staining for laminin was found in apical cytoplasm and lateral surface of the normal epithelial cells and basement membrane but at the 5 and 6 weeks after exposure, laminin activity was decreased to the moderate activity. At the 7 weeks after exposure, laminin activity was decreased to the weak activity. Conclusion : Our finding suggests that $SO_2$ makes histologic damage on the tracheal mucosa and decreases immunoreactivity for laminin. Longer duration of the exposure of $SO_2$ makes more histologic damage on the tracheal mucosa and decreases immunoreactivity for laminin.

  • PDF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의 장기추시결과 (Long-term Follow-up Study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 김정일;서근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3-111
    • /
    • 2006
  • 목적: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흉골, 쇄골, 상부 늑골 및 주변 연부조직의 골화와 골막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골종양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질환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병인이 불분명하고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장기관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해 이질환의 치료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에 대해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분포는 남자가 4례, 여자가 13례로 여자가 더 많았다. 이환된 시기의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0까지로 평균나이는 48.7세였다. 전례에서 흉쇄골 관절 및 흉골, 늑골 주위의 흉골, 쇄골, 상부 늑골에 과골화 소견을 보였고 이것은 시간 경과후에도 변화 없거나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과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5례가 있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소염진통제에 반응을 하였지만 2년 이상의 소염진통제 및 항상제의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3례가 있었다. 결론: 흉골 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골주사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되어질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질환으로 비교적 항염증 약물, 항생제, 항류마치스약물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나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약제의 사용이 추천되어진다. 장기간 추시관찰시 동통은 대부분 소실되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화부분은 변화 없거나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부조직의 침범이 있거나 악성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고 외형상문제로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