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Follow-up Study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의 장기추시결과

  • Kim, Jeung-I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uh, Keun-Ta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정일 (부산대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서근택 (부산대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Purpose: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SCCH) is a disease of unknown etiology, which is characterized by periosteal reaction and endosteal hyperossification of the sternum, clavicles and upper ribs as well as ossification of the surrounding soft tissue. SCCH is a well recognized but uncommon condition which is important differential diagnosis to consider to avoid misdiagnosis and to differentiate the condition from malignant process. But few studies have reported long-term clinical result of SCCH. We report long-term clinical result of SCCH.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86 to 2000, 17 cases of SCCH were followed up over two to 14 years. We evaluated the radiologic, pathologic and clinical results. Results: Four men and thirteen women were studied. The age when first symptom appeared were raged from17 to 60(average-48.7) There are no specific bacteriological, serological or histological finding. Usually a permanent increase in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s found. The radi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signs of proliferate destructive arthritis in most case. The majority of patients respond to NSAIDs and antibiotics. Conclusion: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is uncommon benign condition, but important condit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inflammatory or malignant process of this joint.

목적: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흉골, 쇄골, 상부 늑골 및 주변 연부조직의 골화와 골막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골종양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질환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병인이 불분명하고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장기관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해 이질환의 치료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에 대해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분포는 남자가 4례, 여자가 13례로 여자가 더 많았다. 이환된 시기의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0까지로 평균나이는 48.7세였다. 전례에서 흉쇄골 관절 및 흉골, 늑골 주위의 흉골, 쇄골, 상부 늑골에 과골화 소견을 보였고 이것은 시간 경과후에도 변화 없거나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과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5례가 있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소염진통제에 반응을 하였지만 2년 이상의 소염진통제 및 항상제의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3례가 있었다. 결론: 흉골 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골주사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되어질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질환으로 비교적 항염증 약물, 항생제, 항류마치스약물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나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약제의 사용이 추천되어진다. 장기간 추시관찰시 동통은 대부분 소실되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화부분은 변화 없거나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부조직의 침범이 있거나 악성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고 외형상문제로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