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genic bacteria

검색결과 1,292건 처리시간 0.035초

Bacteriological Study about the Death of Cultured Doctor Fish, Garra rufa in the Aquarium

  • Lee, Ji-Yoon;Gang, Nam-I;You, Jin-Sol;Ko, Chang-Yong;Lee, Ki-Won;Han, Won-Min;Kim, Eunheui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24
    • /
    • 2016
  • Since April 2012, doctor fish in the breeding tank and in the quarantine tank in Hanwha Aquaplanet Yeosu Aquarium have been dying, accompanied by diffuse bleeding around the mouth, in the chin, and at the bottom of the abdomen. In this study, the cause of death would be examined through the bacteriological study of doctor fish and the rearing water quality in the aquarium. The water quality and the bacterial counts of the rearing water in the exhibit tank and in the quarantine tank were analyzed once a week, starting from August to November 2014. Water quality was measured based on the following data: temperature was in the range of 24.5~26.8℃, pH at 6.77~7.94, DO at 6.15~8.61 ppm, ammonia at 0~0.93 ppm, nitrite at 0.009~0.075 ppm, and nitrate at 1.1~40.9 ppm. Studie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se water quality factors were not related to the death of doctor fish. Bacterial counts in the rearing waters of Garra rufa slightly increased to 103~104 CFU/ml, just before the death of the doctor fish. Twelve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dead fish and rearing water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eromonas veronii, Citrobacter freundii, Pseudorhodoferax aquiterrae, Shewanella putrefaciens, and Vibrio anguillarum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 freundii, which showed medium sensitivity to florfenicol and norfloxacin, and was resistant to amoxacillin, doxycycline, oxytetracycline, tetracycline, and trimethoprim. Ten isolates were confirmed to be pathogenic to the doctor fish. Doctor fish infected with C. freundii and S. putrefaciens showed high morta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riation in bacterial numbers in the rearing water was related to the death of doctor fish. C. freundii and S. putrefaciens were directly implicated in causing the death of doctor fish in the aquarium.

차아염소산나트륨이 비가열 엽경채류 중 병원성 대장균 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against E. coli on Various Leafy Green and Stem Vegetables)

  • 김수진;방우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36
    • /
    • 2023
  • 본 연구는 집단급식소에서 제공되는 빈도수가 높은 비가열 및 가열조리 엽경채류에 사용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에 대하여 미생물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비병원성 대장균과 장출혈성 대장균의 칵테일(E. coli O157:H7)을 엽경채류(초기 균수 7-8 log CFU/g)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차아염소산나트륨을 5분간 침지 후 흐르는 물에 3번 씻어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오염물질에 비해 살균효과가 1-2 log CFU/g 저감화하여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잎채소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표면적이 클수록, 덜 거칠고 잎이 부드러울수록 살균효과가 높았다. 200 mg/kg으로 처리하였을 때 100 mg/kg에 비해 0.1-0.3 log CFU/g만큼 효과가 더 감소하였으나 농도 증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므로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에서 제시한 기준 이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를 높이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잎채소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초기 오염도가 높기 때문에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만으로는 안전한 수준의 저감을 달성하기 어려워 생물학적 위험이 잔존한다. 따라서 여름철에 가열하지 않은 잎채소의 대체 조리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안전성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헤스페레틴(Hesperetin)과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포접 복합체의 항산화, 항염증, 항균 활성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hesperetin and its 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es)

  • 최성숙;이경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988-1000
    • /
    • 2023
  • Hesperetin은 Hesperidin에서 유도되는 강한 항산화 기능의 플라보노이드 비당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Hesperetin과 이의 Cyclodextrin 포접 복합체에 대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Hesperetin은 Hesperidin에 효소처리하여 제조되었으며, Hesperetin/Cyclodextrin 포접체는 용매 증류법에 의해 𝛽-Cyclodextrin 및 Hydroxypropyl-𝛽-Cyclodextrin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Hesperetin에 비해 Hesperetin/Hydroxypropyl-𝛽-Cyclodextrin 포접체의 용해도는 93.5배 증가하였고, Hesperetin/𝛽-Cyclodextrin 포접체의 용해도는 22.5배 증가하였다. 항산화 분석에서 Hydroxypropyl-𝛽-Cyclodextrin 포접체는 Hesperetin과 유사한 라디칼 소거 활성능을 보인 반면, 𝛽-Cyclodextrin 포접체는 Hesperetin 보다 약간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Hydroxypropyl-𝛽-Cyclodextrin 포접체, 𝛽-Cyclodextrin 포접체, Hesperetin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낮았다. Hesperetin과 Cyclodextrin 포접체는 모두 세포내 산화질소(NO), 종양괴사인자-𝛼(TNF-𝛼) 및 인터루킨-6(IL-6)과 같은 염증 매개체를 감소시켰다. Hesperetin 및 Hydroxypropyl-𝛽-Cyclodextrin 포접체는 상대적으로 𝛽-Cyclodextrin 포접체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피부 유해성 세균인 황색 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대해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Hesperetin = Hydroxypropyl-𝛽-Cyclodextrin 포접체 > 𝛽-Cyclodextrin 포접체의 순서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녹농균에 대해서는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Hesperidin의 비당체 형태인 Hesperetin과 이의 Cyclodextrin 포접체는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용해도가 높은 Hydroxypropyl-𝛽-Cyclodextrin 포접체가 𝛽-Cyclodextrin 포접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Effectiveness of cephalosporins in hydrolysis and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biofilms

  • Jawaria Aslam;Hafiz Muhammad Ali;Shujaat Hussain;Muhammad Zishan Ahmad;Abu Baker Siddique;Muhammad Shahid;Mirza Imran Shahzad;Hina Fatima;Sarah Tariq;Fatima Sadiq;Maria Aslam;Umar Farooq;Saadiya Zia;Rawa Saad Aljaluod;Khaloud Mohammed Alarjani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47.1-47.12
    • /
    • 2024
  • Importance: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contribute to global health challenges by forming biofilms, a key virulence element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several infections. Objective: The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various generations of cephalosporins against biofilms developed by pathogenic S. aureus and E. coli. Methods: The development of biofilms by both bacteria was assessed using petri-plate and microplate methods. Biofilm hydrolysis and inhibition were tested using first to fourth generations of cephalosporins,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by crystal violet staining and phase contrast microscopy. Results: Both bacterial strains exhibited well-developed biofilms in petri-plate and microplate assays. Cefradine (first generation) showed 76.78% hydrolysis of S. aureus biofilm, while significant hydrolysis (59.86%) of E. coli biofilm was observed by cefipime (fourth generation). Similarly, cefuroxime, cefadroxil, cefepime, and cefradine caused 78.8%, 71.63%, 70.63%, and 70.51% inhibition of the S. aureus biofilm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E. coli, maximum biofilm inhibition (66.47%) was again shown by cefepime. All generations of cephalosporins were more effective against S. aureus than E. coli, which was confirm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Conclusions and Relevance: Cephalosporins exhibit dual capabilities of hydrolyzing and inhibiting S. aureus and E. coli biofilms. First-generation cephalosporins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 aureus, while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significantly inhibited E. coli biofilm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ailored antibiotic strategies based on the biofilm characteristics of specific bacterial strains.

다이오드 레이저와 PhotoMed, Methyl Pheophorbide A, Radachlorin®을 이용한 녹농균에 대한 항균 광역학 요법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on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a Diode Laser and PhotoMed, Methyl Pheophorbide A, or Radachlorin®)

  • 송영규;육근돌;김지원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2-58
    • /
    • 2024
  • 광역학 요법(photodynamic therapy)은 특정 파장의 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민감제(photosensitizer)를 사용하여 세포 내 산소를 활성화시키는 치료 방법으로,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상처 감염의 치료에 유망한 접근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 비병원성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은 특정 병원성 징후를 보이지 않지만, 피부 손상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들에서는 패혈증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항생제는 P. aeruginosa 감염에 대한 전통적인 치료법이나 약물 오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의 증가는 이러한 감염을 관리하는 데 큰 어려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P. aeruginosa의 억제제로서 광민감제(PhotoMed, Methyl pheophorbide A, Radachlorin®)와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광역학 치료 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P. aeruginosa 현탁액과 광민감제(PhotoMed, Methyl pheophorbide A, Radachlorin®)를 페트리 접시에 접종하여 30분 후 다이오드 레이저를 사용하여 3 J/cm2의 에너지 밀도로 조사했다. 그 결과, P. aeruginosa는 PhotoMed에서 79.65%, Methyl pheophorbide A에서 47.36%, Radachlorin®에서 40.91%의 사멸률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P. aeruginosa를 억제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PhotoMed와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광역학 치료임을 보여준다.

제주지역 야생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분변의 호기성 장내 미생물 분포 (Distribution of Aerobic Intestinal Microorganisms in the Feces of the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coreae) in Jeju)

  • 김지로;오윤희;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9-65
    • /
    • 2024
  • 제주특별자치도에 서식하는 등줄쥐를 포획하여 대장을 포함한 내부장기에서 분변 검체를 채취한 후, 장내 미생물을 호기적 배양하여 등줄쥐 분변에서 배양된 장내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등줄쥐 분변 36개의 검체를 호기성 배양된 세균 집락을 그람염색 한 결과 모든 검체에서 그람음성막대균이 우세하게 관찰되었다. 36 검체 중 그람음성막대균은 36 균주(100%), 그람양성알균은 21 균주(58.3%), 그람양성막대균은 15 균주(41.7%)로 나타났으며 그람음성알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36개의 검체에서 배양된 그람음성막대균은 Vitek 2 system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모두 Escherichia coli (E. coli) 균종으로 동정되었으며, 1개 검체는 E. coli 균종과 Enterobacter cloacae 균종이 동시에 동정되었다. 분리된 E. coli 36 균주 중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1 균주만 cefoxitin 항균제에 중등도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드기, 설치류 매개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등줄쥐의 분변에서는 병원성 세균은 존재하지 않았다.

메티실린 저항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조추출물의 항균 활성 연구 (Antimicrobial activity of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crude extract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손수현;박예지;이수현;최주현;김학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98-104
    • /
    • 2023
  • 메티실린 저항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을 제어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대안적인 전략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는 7,10-dihydroxy-8(E)-octadecenoic acid로부터 1단계 열처리를 통해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EODA)이 생성되었음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인 연구에서는 EODA가 MRSA를 포함한 광범위한 병원성 박테리아에 대해 높은 활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시켜 MRSA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항균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EODA를 산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중요한 문제점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순수한 활성성분을 얻기 위한 정제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열처리에 위한 EODA 생산 반응 후 얻어진 반응물을 추가적인 정제 과정 없이 조추출물의 상태로 사용할 때 항균 활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 지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조추출물의 상태로 사용하여도 EODA 자체가 나타내는 항균 활성에 유의한 변화가 감지되지 않았으며 상업용 항생제와 병용처리 시 나타나는 추가적인 시너지 효과 또한 그대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Safety assessments of recombinant DTaP vaccines developed in South Korea

  • Gi-Sub Choi;Kyu-Ri Kang;Seung-Bum Kim;Joon-Hwan Ji;Gyu-Won Cho;Hyun-Mi Kang;Jin-Han K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Vaccine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5-165
    • /
    • 2024
  • Purpose: Pertussis bacteria have many pathogenic and virulent antigens and severe adverse reactions have occurred when using inactivated whole-cell pertussis vaccines. Therefore, inactivated acellular pertussis (aP) vaccines and genetically detoxified recombinant pertussis (rP) vaccines are being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afety profile of a novel rP vaccine under development in comparison to commercial diphtheria-tetanus-acellular pertussis (DTaP) vaccines. Materials and Methods: The two positive control DTaP vaccines (two- and tri-components aP vaccines) and two experimental recombinant DTaP (rDTaP) vaccine (two- and tri-components aP vaccines adsorbed to either aluminum hydroxide or purified oat beta-glucan) were used. Temperature histamine sensitization test (HIST), indirect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 cluster assay, mouse-weight-gain (MWG) test, leukocytosis promoting (LP) test, and intramuscular inflammatory cytokine assay of the injection site performed for safety assessments. Results: HIST results showed absence of residual pertussis toxin (PTx)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DTaP vaccine groups, whereas in groups immunized with tri-components vaccines, the experimental tri-components rDTaP absorbed to alum showed an ultra-small amount of 0.0066 IU/mL. CHO cell clustering was observed from 4 IU/mL in all groups. LP tests showed that neutrophils and lymphocytes were in the normal range in all groups immunized with the two components vaccine. However, in the tri-components control DTaP vaccine group, as well as two- and tri-components rDTaP with beta-glucan group, a higher monocyte count was observed 3 days after vaccination, although less than 2 times the normal range. In the MWG test, both groups showed changes less than 20% in body temperature and body weight before the after the final immunizations. Inflammatory cytokines within the muscle at the injection site on day 3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revealed no significant response in all groups. Conclusion: There were no findings associated with residual PTx,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local and systemic adverse reactions in the novel rDTaP vaccine compared to existing available DTaP vaccin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novel rDTaP vaccine is safe.

도깨비부채의 항균,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Rodgersia podophylla)

  • 표수진;이윤진;강덕경;손호준;박광훈;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8-30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의 화장품 산업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잎(RP-L), 줄기(RP-B), 뿌리(RP-R)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의 항균,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RP-R 및 RP-L에서 382.5~387.7 mg/g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P-B의 경우 84.2 mg/g으로 RP-R에 비해 20% 수준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평가에서는 RP-L 및 RP-R 추출물에서 매우 강력한 그람양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RP-R 추출물의 경우 제어가 어려운 그람음성의 대장균 및 P. vulgaris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3종 부위별 추출물 모두에서 매우 강력한 DPPH 음이온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환원력 및 nitrite 소거능이 확인되었으며, RP-L 및 RP-R 추출물의 DPPH 음이온 및 ABTS 양이온 소거능에 대한 RC50은 각각 23.0~29.7 및 15.0~18.2 ㎍/ml를 나타내어 vitamin C의 9.8 및 8.0 ㎍/ml 수준과 비교할 만 하였다. 또한 RP-R 추출물은 0.5 mg/ml 농도에서 α-glucosidase 및 β-amylase 활성을 각각 6.9% 및 48.5% 저해하여 우수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깨비부채 잎 및 뿌리 추출물에서 강력한 항세균,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신규 확인하여, 향후 도깨비부채가 화장품 및 식의약품 산업에서 새로운 생물자원으로 이용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시판 생식에서 식중독균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Commercial Sangshik)

  • 곽효선;황인균;박종석;김미경;이근영;고영호;배윤영;문성양;변주선;권기성;우건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6
    • /
    • 2006
  • 최근 생식제품에 대한 국민 선호도가 높아지고 판매량이 증가됨에 따라 안전하고 위생적인 생식의 유통을 유도하고, 위생 강화를 위한 미생물 규격 제정의 기초연구를 위하여 시판 생식 및 원재료에 대한 식중독균 분포실태를 조사하였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 인천, 부산 등 전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대형마트 및 통신판매에서 시판 중인 생식제품 191건을 구입하여 주요 식중 독균인 E. coli, Salmonell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y jejuni, Yersinia enterocolitica, E. coli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B. cereus는 29건(15.2%), C. perfringens는 21건(11.0%), E. coli는 1건(0.5%)에서 검출되었으나 그 외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정량적 평가 결과 일반세균수는 $1.2X10^3cfu/g{\sim}1.6X10^9cfu/g$, B. cereus는 100 cfu/g 이하${\sim}11X10^3cfu/g$, C. perfringens는 100 cfu/g 이하${\sim}2.2x10^3cfu/g$의 분포를 보였다. 생식의 미생물 오염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9개 생식제조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미, 당근, 율무, 옥수수 등 53건의 원재료에 대한 미생물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수는 $1.0X10^3cfu/g{\sim}1.5X10^8cfu/g$의 분포를 보였고, B. cereus는 13건(24.5%)에서 검출되었는데 11건(84.6%)이 100 cfu/g 이하이었다. C. perfringens는 2건(3.8%)에서 검출되었는데 모두 100 cfu/g 이하의 낮은 균수를 보였다. 생식 완제품과 같이 E. coli, Salmonella, S. aureus 등 8종의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유통 생식은 일반적으로 식중독균에 의한 위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제조과정 및 유통과정 중 부적절한 보관 및 유통에서 기인될 수 있는 오염균의 증식이나 교차오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