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edentulou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1초

임플란트 서베이드 보철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의 9년 경과 관찰 증례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 surveyed prostheses: A 9-year follow-up)

  • 이재림;윤형인;김희선;심혜영;한윤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11-221
    • /
    • 2022
  • 완전 무치악 악궁을 수복함에 있어 해부학적인 한계 또는 경제적인 제한이 있거나 환자가 광범위한 수술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임플란트 식립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대안으로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치주질환으로 다수 치아를 발거하여 상악 완전 무치악과 하악 부분 무치악이 된 56세 여성 환자에서 상악 전방부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8본 서베이드 보철물과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하악은 전치부 8본 고정성 가공 의치 및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였다. 9년 간의 경과 관찰 시 심미적, 기능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부분틀니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maxillary partial edentulous patients using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이보라;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8-135
    • /
    • 2014
  • 부분 무치악 환자는 고정성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소수 잔존치아만 남은 경우, 고정성 보철로는 수복이 어려우며, 국소의치 혹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고려하게 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은 고정성 수복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충분한 개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전신적, 국소적 여건이 합당해야 하고, 경제적 부담도 크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에 의한 대칭적인 지지가 중요하며, 특히 중심선에 대해 편측으로 소수 치아만 남은 경우에는 지점선에 대해 지대치에 유해한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지대치의 예후가 불량해진다. 이 경우,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의치의 유지 및 지지 요소로 활용하는 가철성보철물을 설계한다면 비용 대비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 수복이 가능해진다. 본 두 증례는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 환자 중 편측으로 소수 잔존치가 전치에 국한하여 존재하는 경우로, 잔존치를 지대치로 사용하면서,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의치의 지지가 향상된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이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국소의치 수복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 김성균;유수연;박인필;이주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9권2호
    • /
    • pp.77-84
    • /
    • 2011
  • The benefits of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are readily apparent for the fully edentulous patients and have been well documented, however, there is deficiency of the studies regarding the combination of implants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iterature concerning implants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and evaluate the evidence for this clinical approach. Through many clinical case reports and studies we have searched from a broad variety of journals, we present the six considerations needed to contemplate respecting implants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First, the connection between abutment tooth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has to be rigid and the link between implant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should be hinged. Second, a mesial rest acts better in the point of force distribution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splinting between implants is also a favorable choice. Third, T bar has an advantage for implants which are used as abutments i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th, as we all known functional impression is better way to reproduce movement for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Fifth, indirect retainer and guiding plane on the proximal surfaces of terminal abutment teeth are important in preventing denture base lifting. Sixth, implants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superior in the esthetic and phonetic as well as cost-effective point of view. We also suggest that which place we should install implants for force distribution and which diameter and length of implants should be used. in this review article, we recommend to locate the implant near of the abutment tooth for esthetics or near of first molar position for good stress distribution. The diameter and length of implant also influence to stress distribution. When we compare to conservative partial denture, patients go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implants due to convenience, better support and retention according to several studies. But it is true that we need to study more on this subject and collect long term follow up cases before we discuss on it. So it is enough to bring this subject into the surface of prosthetic treatment by this article.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텔레스코프 시스템을 적용한 전악 수복 증례 (A Telescopic System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Arch)

  • 신미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2호
    • /
    • pp.139-144
    • /
    • 2007
  • Prosthodontic treatment planning for various edentulous arches is not an easy issue for dentists. Especially, in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we must have a knowledge of overall treatment procedures, and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Recently, interest of dental implant and case reports are increasing, the decrease of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is true, but dental implantation takes longer treatment period and it is more expensive. Also,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like lack of available alveolar bon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chronic periodontitis. Therefore, sometimes implantation is impossible. Finally, implantation cannot be adapted to every single patient. Currently, the clasp type removable partial dentures are used routinely, giving patients many unesthetic and functional difficulties. With better laboratory technique,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ttachment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rigid type increase patient's happiness level much more than predicted. The case presented in this article, clinically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using a telescopic system to improve esthetic and functional recovery for patients who lose multiple teeth.

상악 전치부 단일치 상실 환자에서 지르코니아 레진접착성 고정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Zirconia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in maxillary single-tooth edentulous area: A case report)

  • 오로지;장희원;김나홍;방주혁;이근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35-142
    • /
    • 2023
  • 일명 '메릴랜드 브릿지'로 불리는 Resin-bonded fixed partial denture (RBFPD)는 전치부 결손부위를 수복하는데 있어 침습범위를 최소화하는 보존적 보철치료로 잘 정립되어 있다. 하지만 RBFPD의 여러 이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탈락률, 비심미성, 지지체 파절 등으로 인해 보편적인 치료방법으로 선택되지는 못하였다. 최근 치과 재료의 발달과 함께 지르코니아가 RBFPD의 새로운 재료로 도입되면서 강도와 심미성이 개선된 전치부 RBFPD의 적용에 적합한 재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좌측 측절치를 상실한 환자에서 지르코니아 RBFPD를 수복한 증례로, 전치부에서 비침습적이며 심미적인 보철물을 이용하여 치아상실부위를 수복하였고,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한국인의 부분 치아 결손 증례와 국소의치 설계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PARTIAL EDENTULISM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S FOR PATIENTS IN KOREA)

  • 이시혁;장익태;김광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5-248
    • /
    • 1994
  •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distribute the partial edentulous states and examine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s in the planning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treat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e poi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prescription to evaluate partial edentulism and its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dental laboratory of each three dental colleges in Seoul and from two dental laboratories only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s as a prescription form. A total of 1411 cases with prescription form collected from dental laboratories were distributed for this study, then 788 ca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case selection was don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prescription form. The selected cases were divided into maxillary arch and mandibular and classified in terms of types of major connector and direct retainer, unbroken anterior teeth, Kennedy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distribution of age and sex.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Kennedy classification I showed highest frequency both in maxilla and mandible. 2. The arch distribution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50.08% for maxilla and 49.92% for mandible. 3.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distribution of direct retainer was the RPA clasp design. 4. The frequency of unbroken anterior 6 was 73.36% for maxilla and 82.30% for mandible. 5. The design of broad palatal strap and lingual bar revealed the highest prevalence in the major connector construction. 6. The mean number of remaining teeth per arch was 8.25 for maxilla and 8.37 for mandible. 7.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supplied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52.25 years for men, 51.68 years for women, 52.11 years for maxilla, and 51.76 years for mandible and women showed more prevalence.

  • PDF

상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milled bar and Locator in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 김지현;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37-144
    • /
    • 2020
  • 다수 치아가 상실된 부분 무치악 환자의 전통적인 치료 방법으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국소의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수의 임플란트를 보조적으로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유지와 지지를 얻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가지며 심미적이다. 또한 소수의 임플란트 식립을 통해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며,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진다.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에서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초기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치료 계획하였으나 여러 요인에 의해 milled bar와 Locator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을 변경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과 심미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편측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수복: 증례보고 (Restoration of bilater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 fixed implant prosthesis in unilateral partial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기원진;박재호;임현필;윤귀덕;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6-181
    • /
    • 2019
  •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소수의 치아로 지대치를 형성하여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 시 환자의 불편함 및 지대치 손상 등으로 인해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 최근 편측 부분 무치악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사용하여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로 제작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사용하여 환자의 수직 악간관계를 보존하고 본인의 치아와 같은 형태를 부여하여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향상된 저작 기능의 결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통하여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편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역학적, 기능적으로 유리한 양측성 후방 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안정 요소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환자에게 경제적 및 사용 시 만족감을 가져왔다.

국부의치 제작을 위한 보철의뢰 서식의 기록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Study of Prosthetic Prescriptions sent to the Laboratorie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Framework)

  • 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3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prescriptions including surveyed crowns and design of component parts sent to the laboratory technician. A total of 351 casess with prescription forms and master cast in maxillary and mandibular semi-edentulous situations collected from dental laboratory by random sampling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evaluation and study observed here involved the classification of edentulous situations, status of abutment splinting, form of rest seats and guiding plane of surveyed crows, location of maxillary major connectors and tripodig marks on the master casts. Removable partial denture prescriptions contained (1) general request (upper and lower cast framework), (2) types of metal, (3) location of retainer(retention, lingual bracing, rest area, guiding plane surface), (4) location and type of major connector, (5) relief area and amount, (6) and other specific instructions. The following informations based on the classified groups such as Group I was those cases sent with no real prescriptions. They say 'make a partial.' No prescriptions, no thought beforehand, Group II was those cases sent with a minimal prescriptions. They say 'make a partial with clasps on May be some preparations, usually inadequate. Group III was those cases sent with a moderately good prescription. Adequate but could be much better. No tripoding but it tell what clasps go where. Still not good prescriptions. Group IV was good cases, tripoded with adequate prescriptions and a prescription which exactly describes what is expected from the laboratory.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ormal form of rest seats and guiding plane of surveyed crowns in Class. I and Class. II edentulous situations on the maxillary cast were observed 31.9% and 27.89%, respectively. The abutment teeth and retainer without occlusal rests of Class. I and Class. II were showed 11.58% and 8.86%, respectively. In mandibular cases, the normal form of rest seats and guiding plane of surveyed crowns showed 27.54% and 8.82% in Class. I and Class. II situation. The abutment teeth and retainer without rest seats were showed 15.19%, respectively. 2. The splinted surveyed crowns of Class. I and Class. II maxillary edentulous situations in distal extension cases were showed 34.51% and 28.85%, but 28.52% and 10.29%, respectively. 3. The location and type of maxillary major connector delineated on the master cast were 66 cases (44.89%). 4. The results of 351 cases were classified as Group I 146(41.59%), Group II 115 (32.76%), Group III 57 (16.23%), and Group IV 33 (9.48%). 5. The delineation of abutment tooth for clasping were 176 cases (50.14%) among total of 351 cases. 6. The delineation of height of contour line were showed 45 cases (12.8%) in Group II, 14 cases (3.98%) in Group III and 33 cases (9.40%) in Group IV with total 92 cases (26.21%). 7. In surveying procedure, the delineation of tripoding marks and reference line were showed 17 cases (4.84%).

  • PDF

골수염 치료로 인해 골결함이 있는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IARPD 수복 (Restoration of IARPD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ith bone defects due to osteomyelitis treatment)

  • 박세현;성한결;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59-369
    • /
    • 2021
  •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부분무치악 환자의 치료방법으로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국소의치가 주로 이용되며, 최근에는 골흡수가 심한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위해 임플란트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를 전략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안면골 감염의 일종인 골수염으로 인한 악안면 구조의 상실은 저작, 연하, 발음과 같은 기능장애 및 사회적, 심리적인 영향을 유발하므로 상실된 조직회복을 위해 가철성 수복이 필요하고 지대치와 국소의치의 설계가 치료의 성공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경우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가지는 IARPD는 좋은 예후를 보일 수 있다. 본 증례는 골수염 치료로 인해 골결함이 있는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IARPD 수복으로 의치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여러 차례에 걸친 임시수복을 통해 적절한 의치 설계와 교합양식을 부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양호한 예후를 기대할 수 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