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rt family

검색결과 1,052건 처리시간 0.021초

시간제 근로 및 성별에 따른 개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 -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를 이용하여 - (The Effect of Part-time Work on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Life - Using Seoul Survey -)

  • 김재원;임업
    • 지역연구
    • /
    • 제35권2호
    • /
    • pp.59-71
    • /
    • 2019
  • 우리나라 연평균 근로시간은 OECD 최상위 수준이다. 장시간 근로는 근로자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방해하는 등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최근 정부는 시간제 일자리를 증가하는 등 유연근로제를 장려하고 있지만,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가 부족한 현실이다. 시간제 근로는 일과 개인의 삶을 병행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열악한 근로환경과 부정적인 사회적 시선을 보유하여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전일제 근로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노동시장에서 성별 격차를 경험하고 있으며, 일과 가정의 병행이라는 측면에서 시간제 근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7년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근무유형-성별의 교차효과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는 전일제 여성, 전일제 남성, 시간제 여성, 시간제 남성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제 여성 근로자가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이 가장 높은 반면, 높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전일제 남성 근로자는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이 가장 낮은 반면, 높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우울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 박명희;김창숙;서영숙;서희숙;노현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88
    • /
    • 1998
  • Present study was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r needs of family support in psychological care especially among adolescents. Study subjects comprized of 308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vocational students in part,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in the Kwangju City area in April. 1998. The Moos Family Environment Scale and the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modified by investigators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of 59 item questionnaire and in data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of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tiliz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e higher the degre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among adolescents,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was supported (r=-0.4469, p<.001). 2. Some variabl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school division of vacational vs non-vocational(t=-2.02, p<.05), age(f=5.47, p<.01), family monthly income (f=2.49, p<.05), mother's level of education (f=3.01. p<.05), residence at developmental stage (f=2.87, p<.05), personal problem of highest priority at present(f=7.73, p<.001), and family problem perceived by adolescents(f=7.38, p< .001). 3. Items In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level of depress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sex(t=-2.91, p<.0l). mother's level of education(f=2.53. p<.05). residence at developmental stage (f=3.95. p<.0l). present personal problem of highest priority (f=3.68. p<.1l). and perceived in-family problem (f=4.58. p<.001). 4. The mean score of the degre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61.26 $(SD=\pm14.45)$ in a range of 21.00 to 96.00 ; that of the level of depression. 43.74 $(SD=\pm8.04)$ in a range of 23.00 to 67.00. which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the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is a variable affecting the level of depression. Based on the study outcome,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can be made as such that repeated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delineat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and a study involving family support implementation program is requir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security among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support, depression, adolescence.

  • PDF

영국 로열 패밀리의 모자 패션에 나타난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t Fashion of the British Royal Family)

  • 김은영;이미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4호
    • /
    • pp.28-4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at fashion worn by the British royal family. The research range has been limited to hats which Elizabeth II, Camilla Parker Bowles, and Kate Middleton wore from April 29, 2011 to April 11, 2014 when Kate Middleton married Windsor Prince William and became part of the royal family. The methods of the research were: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about the royal family were referred to, the function and types of hats were considered, and then the plasticity of the designs seen in hat fashion of the royal family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hape of the hats of the British royal family: Three-dimensional shapes(84.2%) were the most frequent, the detailed shape of the hat Canotier(33.5%), Boater(12.7%) and Bowler(10.3%) had greater frequency. Second, the color of the hats were W(13.7%), Bk(10.5%), Y(9.8%), B(9.6%), YR/PB(9.4%) and RP(9.2%) color. The Color Combination is the Monochrome Color(62.3%), Analogous Color(16.1%), Accent Color(13.2%) and Complementary Color(8.4%) were most frequent. Third, the material of the hats were Felt(44.5%) and Straw(40.3%) were used most frequently. Finally, the decoration of hats were: Flowers(25.7%), String(25.0%), Ribbon(18.4%) and Feathers(17.9%) were the most comm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styling and design ideas in the field of total fashion.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요소가 유자녀 기혼남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거주환경 만족도, 가족지원시설만족도, 가족지원 프로그램만족도, 양육 및 교육환경 만족도, 생활환경 정보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Life Environment Factors on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Married Men/Women with Children : Focused on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mily support facility satisfaction, family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nurture and educa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ccessibility)

  • 박주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53-6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life environment factors including local community's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safety, convenience, comfort, accessibility, exchange of neighbor satisfaction), family support facility satisfaction, family support program satisfaction and nurture and educa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ocal community's liv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on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married men and women with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380 married men and women with children located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d KyungSangNam-Do. The results show that, first of all, related to general trend of role satisfaction and role strain, the subjects have higher experience of role satisfaction than role strain. Secondly, the variables of social demography, such as monthly income, non-regular full-time working system, white collar occupation, number of children and level of education, and living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of living environment stability and satisfaction of neighbor exchange in living environmen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ole strain. Thirdly, social demography variables, such as average monthly earnings, gender (male), non-regular part-time working system, satisfaction of stability in liv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convenience in living environmen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ole strain.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양립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of Working Moms' Work and Family Balanc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손영미;황혜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441-481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균형과 관련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명 이상의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시간제와 전일제 워킹맘 17명을 연구 대상자로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106개의 개념, 50개의 하위범주,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코로나 19 시기에 워킹맘이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신체적, 정서적 소진', '역할 갈등 상황에서의 불안감과 죄책감', '워킹맘이 겪는 일자리 위기', '가족 갈등 심화'로 나타났다. 워킹맘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심현상을 극복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을 이루는 과정은 '충격과 혼란 단계', '고군분투 단계', '적극적 대처와 타협 단계', '수용 단계', '외상 후 성장 단계'의 5단계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시기 워킹맘의 일과 가정의 양립 경험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한국의 초단시간 노동시장 분석 (The Short-Hours Part-Time Jobs in Korea)

  • 문지선;김영미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9-164
    • /
    • 2017
  • 이 글은 근로시간이 주당 15시간 미만에 불과한 초단시간 노동시장의 성장에 주목하여, 어떤 집단에서 초단시간 근로가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노동 상황은 어떠한지 분석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초단시간 근로는 저학력 고령층 여성, 특히 사별 또는 이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나 경력단절에 초점을 둔 정부의 시간제 근로 장려 정책의 결과가 아니었다. 오히려 배우자가 있는 여성도 육아나 가사의 이유보다 원하는 일자리가 없거나 생활비가 필요해서 초단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초단시간 근로란 일-가정 양립을 원하는 여성이 노동시간의 이점을 보고 선택하는 고용형태가 아닌 것이다. 초단시간 노동시장은 사회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임금에 사회보험과 부가급여도 기대할 수 없는 열악한 특성을 띠고 있었다. 노동 수요와 공급, 정부와 제도 측면에서 볼 때,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 현상은 급증하는 사회서비스의 수요를 민간에 넘긴 정부, 30인 미만 영세 사회서비스업 중심의 초단시간 고용, 주당 15시간 미만 근로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배제한 미비한 법제도, 그리고 생계가 급급한 노동공급자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사별 또는 이혼 상태인 저학력 고령층 여성은 경제적 동기는 강한 반면 시장에는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저임금 노동으로 초단시간 노동시장이 존재 할 수 있었지만, 고용의 질이 낮은 만큼 이들은 근로빈곤의 함정에 빠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노인빈곤율이 높은 현실과 호출근로같이 열악한 근로조건의 초단시간 노동시장을 감안할 때, 정부의 규제와 초단시간 근로자를 온전하게 보호하는 법 제도 등의 대책이 매우 시급하다.

영국의 시간제 근로: 기혼 여성의 일에서 보편적 유연근로로의 변화? (Part-time Work in the UK: From Married Women's Work to Universal Flexible Work?)

  • 우명숙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25-350
    • /
    • 2011
  • 이 글은 영국의 시간제 근로의 특징과 그 제도적 맥락을 분석하고 있다. 노동시장에 대한 규제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지원이 낮은 영국에서는 시장주도의 시간제 활용이 일찍부터 발달했다. 시간제 근로는 영국 취업 여성의 40 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특히 기혼 여성들의 주요한 일자리이다. 시장의 역할과 개인의 선택이 강조되는 영국에서 시간제 일자리는 고용주 주도의 시장의 유연성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여성들이 일과 가족 사이에서 시간제 근로를 통해 여성들 자신의 노동시간을 조정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작동했다. 그러나 1997년 이후 영국에서는 제도적 개입을 강화하는 변화가 있었고, 시간제 근로를 기혼 여성을 위한 제한적 일자리로부터 보편적 유연근로로 변화시키려는 법적, 제도적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제 근로에 대한 불이익은 원칙적으로 시정할 수 있게 되었으나, 여전히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집합적 해결방식보다는 개별 근로자와 고용주 사이의 개인화된 해결방식으로 영국이 접근함으로써 여성들의 고용패턴, 그리고 시간제 근로의 질적 성격에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소설 '심청전'에 대한 복식 연구 II- 여자 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ume in Classical Novel 'Shimchungjun' II- Focusing on the Woman's Costume -)

  • 김문자;이수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3호
    • /
    • pp.455-46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iewing and researching the symbolic meaning and classifying the types of the style of the Costume in classical novel 'Shimchungjun' focusing on the woman's costume through the antique records and tombs bequests. Titled ladies for royal family put on 'Wooimkyoryong' and 'Sungun' as a petticoat when the ladies of Song period rode on horses. The underskirt played a part to swell a skirt for ladies. 'Bakjueui' and 'Hwangsangi' were ordinary clothes ranging from ladies of loyal family to women. The red color was limited to royal family. The ordinary clothes of women were white ramie clothes commonly and floral patterned clothes were prohibited to the ordinary clothes for women. 'Ko', a breast-tie (breast ribbon) of a Korean coat, was made of silk and women wear as an outer garment. The common people will wear 'Ko' of white ramie clothes which was very active items. The ladies of royal family and women put on shoes made of white ramie clothes, but the full dress of queen wore blue boots made of leather. The noble women wore 'Suk'(boots) made of deer skin and common people wore straw shoes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Sometimes they wore 'Woopihye' made of cowhide. In the first of Koryo era, the styles of dress were consisted of 'Monso', 'Eui', 'Po', 'Dae', 'Koh', 'Sang', 'Sungkun' and 'Kangnang'. The structure of costume for women made little difference and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with decoration.

  • PDF

부엌 구조(構造)와 생활(生活)의 대응을 바탕으로한 제주도(濟州道) 민가(民家) 유형(類型)의 문화지역적(文化地域的) 해석(解釋) (Interpretation of the Folk House Type at Cheju Island into Meaning of Culture Area by Corresponding Kitchen Form to Dwellers' Life)

  • 이희봉;송병언
    • 건축역사연구
    • /
    • 제8권4호
    • /
    • pp.81-9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 house as material into culture. Main method is an ethnographic interview with dwellers as a part of a participant observation, a kind qualitative study. Significantly two different types of folk housing are discovered in East and West areas of the Cheju Island. In the East, kitchen itself forms a separated building, Jeongji-gori, whereas in the West, kitchen is within a main building, An-gori. Different type of kitchen is formed by the different family system. While independent family system of son and father selects a separate kitchen building as a general rule of Cheju Island, an extended family system between father and son selects same kitchen, Jeongji-gori, in the east area. Natural environment of infertile soil of east area makes family work together and eat together. Inner space of the kitchen building is utilized not only in cooking but also in eating, working, and sleeping. In order to explain folk house type, a 'culture area' concept is suggested. The interrelated 'cultural type' of architecture behind a physical surface 'type' is suggested as a new typolo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