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s' Educational Effort for Childre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학교 신뢰와 지역교육만족을 매개로 교사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Educational Effort on Teacher Confidence Mediated by School Trust and Local Education Satisfaction)

  • 이종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16-423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 중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학교신뢰와 지역교육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은 교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과 교사신뢰 관계에서 학교신뢰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교신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교사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과 교사신뢰 관계에서 지역교육만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모의 자녀교육노력이 교사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역교육만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교사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복지적 측면에서의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아 약시 어머니의 삶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life experience of parents with amblyopic children)

  • 남정자;유지형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03-31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arents with amblyopic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8 to May 2019. This study involved semi-structur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and was analyzed in term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 mothers with amblyopic children. Verbatim transcripts were analyzed. Four themes-clusters were identified: passing without realizing the clues of action, experiencing emotional distress, enduring the long and tough process of treatment, and making every effort to escape from amblyopi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a deep understanding of mothers'experiences of caring for amblyopic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health care providers need educational programs that include a step-by-step eye health program. In addition, compliance needs to be improved.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지역 문화 콘텐츠 기반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Local Cultural Contents to Promote Creativity of Chinese Children)

  • 윤우람;백동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6-67
    • /
    • 2020
  • 창의성의 개념을 규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여러 디자인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디자인교육의 영역을 보편교육까지 확장하여 국민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정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국민소득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교육시장의 성장 역시 가속되고 있는 반면, 현재 교육시장은 입시과목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의 창의성을 위한 전문적 교육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중국의 문화적 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 대상 심층 인터뷰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 탐색; 2) 아동 교육 전문가 참여 아이데이션을 통한 3가지 수업방안 도출; 3) 전문가/학부모 평가를 통한 최종 수업방안 선정 및 교재 개발. 이렇게 개발된 교재를 활용하여 만 9~10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 전후에 수행한 창의성 검사 TTCT 점수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였으며, 이는 추후 중국 아동 창의성 증진에 기여하는 동시에 추후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는 지역/현지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로서 여러 교육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폐성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smart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o enhance adaptive behavior)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23-131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해 적응행동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수학교 교사 및 장애학생 교육기관 전문가들의 AHP설문을 통해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적응행동기술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어떠한 적응행동기술 분야가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하기에 적합한지 앱개발 전문가들의 토론과 설문을 통해 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에 적합하고 그 효과가 높은 적응행동 기술은 언어이해, 시간이행 및 엄수, 이동기술, 옷입기, 개인위생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교육당국은 단편적인 교육용 스마트 콘텐츠 개발보다는 효과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특성 및 특수교사나 부모의 요구에 맞는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및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일반위탁보호를 수행하는 부모의 특성과 역할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 위탁보호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Research on Characteristics and Role Perceptions of Korean Foster Parents : Based on Cases of H Foster Care Center)

  • 김정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87-113
    • /
    • 2006
  • 본 연구는 최근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일반가정위탁보호와 관련한 것으로 어떤 사람들이 공적인 경제적 지원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위탁보호를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며, 그들은 실제로 위탁부모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H위탁기관의 위탁 부모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이들이 동일연령대의 일반인들과 비교했을 때 학력수준이 높고, 경제적 수준 역시 도시가구평균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으로 비교적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위탁부모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한 역할 책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위탁부모들은 아동의 심리적 적응과 관련된 문제를 비교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위탁보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임에도 위탁부모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지 않은 역할들을 밝힘으로서 향후 위탁기관의 역할로 조정되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위탁부모의 모집, 선발, 교육과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이 어떤 것들인지를 알 수 있게 되었으며, 위탁부모의 역할과 관련 주체들간의 역할정립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독교대안학교의 유형별 교육철학 및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Curriculum by Type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 황규석;박은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8권
    • /
    • pp.87-110
    • /
    • 2024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대안학교 설립의 토대가 되는 교육철학과 그에 따른 교육 실천 행위의 기준인 교육과정을 탐구하고, 교육철학 및 교육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학교현장에서는 유형별로 어떤 공통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 교육과정이 교육 실천으로 이어지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함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대안학교에 대한 선행연구, 기독교대안학교의 유형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기독교대안학교의 세 유형인 대안교육 특성화학교(특성화학교), 각종학교로서의 대안학교(각종학교), 등록 대안교육기관(등록대안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독교대안학교의 교육철학, 교육과정의 특징, 교육과정이 교육 실천으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요인을 정리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학부모들이 자녀의 신앙을 위해 대안학교에 보내고 있는 현실에서 학교의 리더들과 교사들은 깊은 성찰과 함께 진정성 있는 신앙교육을 실천해야 한다. 둘째는 기독교대안학교가 학교로서의 책무를 다하고 가치 있는 교육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연합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기독교 세계관과 학업을 통합하고자 하는 작업이 있어야 한다. 셋째는 학부모의 과중한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최소한 학교 운영비 정도의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요청하는 시민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특수아동(特殊兒童) 복지제도(福祉制度)에 관(關)한 고찰(考察) (A Review of Literature on the Welfare Delivery System of Exceptional Children in Korea)

  • 이소희
    • 아동학회지
    • /
    • 제1권
    • /
    • pp.94-106
    • /
    • 1980
  • The issue presen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Legislative actions of welfare-related law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legislative base for the evolution has been yet weak and ambigous at best for a formalization of what should be considered accepted practice and effective action in providing handicapped child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rights and equal protection of the law. And they are under remote control of partial factor subject to social welfare law for children, and public law for education, promotion law for the exceptional child education, protection law for public aids. 2. Organization of government for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There is no sing of a push toward consolidation of effort for the welfare servic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in this country that seeks to recapture a sense of unity, of coherence, of completeness from a reality made up of discontinuous fragments of humanitarian effora This presently that. as for the education of the exceptional child, by the section of the exceptional education in MOE (Ministry of Education), and/or as for welfare services and promotion actions, by the section of child welfare in MHSA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One door type operation rooted in the specialization, and limited resources to evolve multi-purpose agencies that undertake to provide a broad range of tangible and concrete services, as well as supportive counselling and assessment, under a single management which plans and directs the allocations of resources, should be followed. 3. Facilities and recruitment of teachers for the exceptional children. In this country there are 54 facilities for special services, 56 schools for the exceptional education, and 3 colleges and equavalents that provide teacher training services leading to certification with IIO annual graduates. However, curriculum for exceptional children should be rearranged and reconstructed. Conclusion; Only as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community, this country produced a succession of specific purpose activities, over period of time, that accumulated to form the present network of hundred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Periodically major efforts were launched to revitalize or to improve the help-giving system. But they lack specialization to be effective, and the nature of multi-purpose center tends to be vague for the classified handicapped. Therefore, there, should be linkage between policy maker and community services to maintain some coherenty in preventive care, treatment, and after cares. At last, the effects of the current concept "the exceptional child" involved with their families, and their neighborhood should be considered in view of the people who consist about 25% of the total population.

  • PDF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문화적응 단계별 특성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Marriage Immigrants' Acculturation Stage and the Source of Support: With an Emphasis on Filipino Marriage Immigrants' Family Life Culture in Korea)

  • 홍달아기;채옥희;한은진;송복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1-2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Filipino marriage immigrants' acculturation stages in regards to their Korean family life culture and to identify the source of the support for each stage, hence to provide information for educational programs that would promote successful acculturation for each stage. The following findings have been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8 female Filipino immigrants to Korea. In a range of obstacles from the Honeymoon Stage to the Confusion stage, the first are the language and the aspects of the food/cooking/ingredients/diet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own culture. Especially, pregnancy/childbirth is a major change in one's life and the biggest challenge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As food and cooking are the first change that the immigrants have to face and get accustomed to in the early stage of their Korean life, the food culture is rather easier for the immigrants to get accustomed to than other parts of Korean life. From the Honeymoon Stage to the Harmony Stage, the immigrants make efforts to help their family in the home, while they look to their future in their children during the Autonomy Stage. Regardless of how long they have been in Korea, from the Honeymoon Stage to the Autonomy Stage, the immigrants have a hard time with the patriarchal environment in Korea due to the bilateral nature of kinship in the Philippines. Secondly, the immigrants receive the most support from their husband, family, and the tutors in Korean culture, while their mothers-in-law are the main source of the support for the Korean diet. At the Confusion Stage, the immigrants start visiting the regional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get help from the friends they meet there while depending on the TV for cooking tips. From the Harmony Stage, they may seek a job through the community network with their own effort and their children's help. In the Autonomy Stage,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 rather than their own parents, and they find their own identity as a Korean and realize that their effort is important.

  • PDF

과학동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Running질 Science Garden질)

  • 채동현;이수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263-288
    • /
    • 2002
  • 'Science Garden' is a science program that develops acquirements of science & technology at an early stage through experiential study and inspire the spirit of scientific inquiry by carrying out laboratory work, science movie, science lecture, scientific work, outdoor activities, computer classes and science experiment which is hard to do through the regular educational course. It is targeted grade 4,5,6 students during summer and winter vacation. 'Science Garden' is conducted by selective participation freely. It is a wholelistic activity that develops children's potential talents or creativities, improves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lso gives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by extending capacity for inquiry to show each student's ability. This study is observed and is compared how it i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using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is used narrativ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Objects of narrative observation are two elementary schools, each from Jellabukdo and Gyeonggido, and 7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ly. Here are results of the study. 1 A teacher in school G never takes part in student activities, tends to be indifferent to classes, but focuses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laboratory. And feedback or evaluation about student's activity is never done. On the other hand, a teacher in school S guid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als of science on themselves, and wide variety forms of activities such as role playing, discussion, and games are being done. But an effort to evaluate student's activity is not being made properly. 2. Teachers set a high valuation on the need of 'Science Garden'. Observing the way of conducting 'Science Garden', usually teachers who is in charge of science for official work is selected as a teacher in charge, and groan under a heavy burden of conducting it without anyone's help. Participating students are selected by volunteering or teacher's recommendation, but because of low Participation rate, teachers have difficulty in conducting it. Plan for conducting ‘science Garden’ is made 20 days before it, after getting an official document from Office of Education, refering to booklets produced by National Jungang Science Institute, or data from Office of Education, and internet. Teachers evaluate rarely Most school principals have interest in 'Science Garden' but parents are not well aware of it, The budget is made at the same time with the plan, and scale is varied between 200,000∼500,000 won. Because of the improper way of selecting teacher in charge, difficulty in selecting students, heavy works caused by planning, conducting the program, as well as reporting teacher's work, and lack of parents' awareness, 'Science Garden' has been conducted formally and superficially. Next gives you direction to change, for the right way of conducting' Science Garden'. It is important to motivate competent teachers to instruct students actively. Fo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hey should publicize thoroughly beforehand, and develope 'Science Garden' program for teachers to be able to make better use of it. Evaluation of student activities and program should be done in the aspect of developing students’ faculties. Beside of school facilities, they need to put diverse local facilities and places to practical use for immediate natural experience. And not only separate schools but also associated form of schools to conduct it is necessary.

  • PDF

일반학급에서의 초등 수학 영재아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f a Teaching Plan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es)

  • 김명자;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3-19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초등학교 일반학급 수학 영재아를 위한 효율적인 영재교육 방안을 탐색해 보고,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로 일반학급의 교수 학습 환경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일반학급 수학 영재아 지도를 위한 복식수업 형태의 영재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수학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한 학급 6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학급에서 복식수업 형태로 수학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수학 영재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둘째, 수학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은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성 계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셋째, 수학 영재아 선발 과정에서 교사의 추천과 영재성 검사는 둘 다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재교육이 방과후 교육 형태의 특별교육으로만 운영될 것이 아니라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운영함으로써 수학 영재아의 요구에 부합되면서도 영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