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Research on Characteristics and Role Perceptions of Korean Foster Parents : Based on Cases of H Foster Care Center

일반위탁보호를 수행하는 부모의 특성과 역할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 위탁보호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e research was performed responding to the growing needs of Korean foster care programs. It deals specifically with the people who voluntarily provide foster care despite the lack of Government support. The research has also made an effort to understand how the foster parents perceive their parent roles for the foster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parents from the H foster care center, it showed that foster parents generally come from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compared to their equivalent age group and also similar or even higher income levels than the average family residing in an urban area. Conclusively, their traits in socio-demographic factors is said to be homogeneous. The research also focused on examining the role perceptions of Korean foster parents. The foster parents were well aware and educat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s. However, the research recognized some role responsibilities that the parents failed to understand. Hopefully the foster care centers will take on such responsibilities and contribute in helping the parents realize their insuffici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cognize the important issues involved in the recruitment,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for the foster parents. Additionally, new role adjustments are necessary among both foster parents and foster centers.

본 연구는 최근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일반가정위탁보호와 관련한 것으로 어떤 사람들이 공적인 경제적 지원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위탁보호를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며, 그들은 실제로 위탁부모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H위탁기관의 위탁 부모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 의하면 이들이 동일연령대의 일반인들과 비교했을 때 학력수준이 높고, 경제적 수준 역시 도시가구평균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으로 비교적 동질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위탁부모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한 역할 책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위탁부모들은 아동의 심리적 적응과 관련된 문제를 비교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위탁보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임에도 위탁부모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지 않은 역할들을 밝힘으로서 향후 위탁기관의 역할로 조정되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위탁부모의 모집, 선발, 교육과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이 어떤 것들인지를 알 수 있게 되었으며, 위탁부모의 역할과 관련 주체들간의 역할정립이 새롭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