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Teacher Agree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임상에서 부모-교사 보고의 일치 : SDQ-Kr과 K-CBCL의 비교 (Agreement between Parent and Teacher Reports in Clinical Setting : Comparing SDQ-Kr with K-CBCL)

  • 김흥규;안정숙;김민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3호
    • /
    • pp.127-133
    • /
    • 2012
  •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greement between parent and teacher ratings of the Korean version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for the children's psychopathology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effective in diagnostics as the Korean version of Childhood Behavior Checklist (K-CBCL). Methods : SDQ-Kr and K-CBCL were completed by parents and teachers of 165 children aged 6-12 years. The clinical diagnosis was made by a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 who did not have knowledge of the outcome. Spearman's correlations were computed for associ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on a subscale level. The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for the influence of child's age and sex on the results. Finally, AUC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diagnostic capac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formants was tested using the z test. Results : High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DQ-Kr on every scale. Parents were more sensitive to emotional symptoms of girls, while teachers appeared to be more responsive to externalized symptoms of boys, inattention-hyperactivity of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symptoms of seniors. Parents' SDQ-Kr demonstrated the highest prediction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nclusion : Teachers' SDQ-Kr can be used in identification of child psychopathology when parents are absent or when their reliability is considered low.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평가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 공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이용하여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래동화는 유아교육의 중요매체이며, 부모와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전래동화를 선택하고 들려줌으로써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부모와 유아교사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40명의 부모와 7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6편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일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유아에게 유익한지와 가치관형성에 적합한지에 대해서 부모의 평가가 유아교사의 평가보다 높았지만, 전반적으로는 부모와 유아교사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는 편이었다. 이는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가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학령기 아동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부모-교사 평가 일치도 (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n School Children'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 박효인;김진미;박용천;김석현;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1권3호
    • /
    • pp.161-167
    • /
    • 2010
  • Objectives: In assessing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in school-aged children, the importance of multi-informant reporting has been well documented. However, in clinical settings obtaining multiple informants' opinions has proven difficult. For that reason, we researched the agreem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Child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 (CPSQ) in order to reveal how accurate parents' assessments reflected teachers'opinions. Methods: We conducted the first screening for second- and third-grade children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rom 2003 to 2007 using the CPSQ. There were 1178 children included in the analysis. We then administer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as a second screening tool and subsequently,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and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vers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 was administered by a psychiatrist. We examined each item on the CPSQ and the subscale's agreement between parent and teacher as well as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CPSQ in children diagnosed with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Results: The agreement rat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ppeared high for questions 18 (0.433), 1 (0.385), and 2 (0.325). Among the subscale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as found for externalizing problem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ognitive problems. For all diagnosed children, their parents revealed a higher sensitivity and lower specificity than teacher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CPSQ can be useful for sorting out externalizing and cogniti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however, with a larger sample size.

정신과 환자 자녀의 우울, 불안, 자기 개념 그리고 가정환경의 특성에 대한 연구 (IMPACT OF PARENTAL PSYCHIATRIC DISORDER ON OFFSPRING'S DEPRESSION, ANXIETY, SELF CONCEPT AND PERCEPTION OF FAMILIAL RELATIONSHIP)

  • 이정법;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54-6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와 비교하여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부모의 정신병리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기 위함이다. 아울러 환자집단 내에서 환자의 성별에 따라, 환자의 발병 당시의 자녀의 나이에 따라, 환자 진단에 따라 자녀의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7년 6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서울, 경기지역의 신경정신과 성인 외래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자녀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남녀 학생 52명에게 한국형 소아 상태-특성불안척도,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 한국형 소아자기개념척도, 한국형 가정환경척도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동 수의 정상인 자녀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자녀 내에서는 환자가 남자인지 혹은 여자인지, 환자의 발병 연령이 자녀가 3세 이전이었는지 이후였는지, 환자의 진단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 척도들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과 환자의 자녀들이 정상인의 자녀들과 비교하여 가정환경척도 중 표현력 척도에서 유의하게 낮은점수를 보였고 상태 불안 척도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소아 자기개념척도의 지적 및 학업 상태 소척도와 인기도 소척도에서는 오히려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2)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남녀 성별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3) 환자군 내에서 환자가 자녀 나이 3세 이전에 발병한 경우가 3세 이후에 발병한 경우보다 가정환경척도 중 조절성 소척도 점수는 유의하게 낮고 특성불안척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진단(정신분열병 범주 장애-정동장애-신경증)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한 우울, 불안 등의 정신병리는 환자의 자녀와 정상인의 자녀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의 진단이나 남녀 성별의 차이 역시 자녀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녀가 3세 이전에 부모가 정신질환에 이환 될 경우에는 자녀의 특성불안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향후 고위험군 자녀의 발달학적 측면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자녀의 자기보고 이외에도 부모, 선생님 등의 관찰과의 일치도에 대한 조사, 직접적인 면담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통제된 환경에서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의사결정트리 기반의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유형별 관련 변수 추출 (A Study of Extraction of Variables Affecting the Adolescents' Computer Use Type with Decision Tree)

  • 이혜주;정의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유형별 관련변수의 추출 알고리즘 과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패널 조사(KYPS)의 중 2패널의 1차년도 자료(총 3409명, 남: 1704명, 여: 1705명)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트리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오락추구는 성별, 컴퓨터 사용시간, 비행친구 수, 부모감독, 주변문제아인식, 부모공부기대, 자아통제력, 교사애착, 형제자매사이 등, 관계추구는 성별, 사이버동아리 참여, 컴퓨터 사용시간, 자기신뢰, 온라인 비행 등, 정보추구는 학업에 대한 열중, 개인공부시간, 낙관적 성향, 학기 중 공부시간과 여가시간, 본인희망교육, 사이버동아리 참여, 자기신뢰, 주변사람들비난 등의 변수들이 조합되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조건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컴퓨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 PDF

부모 및 교사가 보고한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 관련요인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Reported by Parents and Teachers and Associating Factors)

  • 여종일;이경화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7-37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using parent and teacher ratings. The study also explored how children's individual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ir problems.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SDQ-Kr) was completed by parents and teachers of 1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reported perceptions of their child's social skills. Children completed the measure of self-esteem. The results showed that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vealing a stronger correlation in regard to hyperactivity than to emotional problems. Self-esteem and social skill were associated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classified by socio-emotional developmental level. Integrating information from parents and teachers can provide a more complete portrait of a child's adjustment and can better identify a child's proble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self-esteem and social skill may play critical roles in intervening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성교육(性敎育)이 여고생(女高生)의 성(性)에 대(對)한 지식(知識) 및 태도(態度)에 미친 효과 (The Effect of Sex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High School Girls)

  • 방미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8
    • /
    • 1990
  • 본 조사는 인문계 여고생 2학년에게 연구자가 정규적으로 주 l시간 총 24시간에 걸쳐 성교육을 지침서에 의거, 실시하고 1학년과 교육을 주지 않은 2학년 여고생과 비교하여 성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준 효과를 설문지를 배부 후 회수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은 경남지역 1개교 542명을 교육군으로, 1학년 164명 그리고 비교육군 2학년 9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기간은 1988년 12월 21일 부터 23일 까지 3일간 이었다. 대상 여학생의 70.8%는 부모와 성문제를 상담하지 않았으며. 98.5%가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적절한 성교육 시기로 전체의 56.0%가 중학교라고 응답했으며 성지식의 출처로 선생님으로부터가 교육군의 30.1%인데 비해 비교육군은 19.1%로 양군간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1). 성에 관련된 인간의 해부 생리 및 2차 성징, 성병, 피임 및 임신 생리 등의 지식의 정도를 1학년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교육군은 평균치 이상인 여고생이 100.0%이었고 비교육군에 비해 (54.3%, 76.3%, 75.1%)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P<0.01). 성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혼전 성관계와 인공유산에 대한 바른태도 및 가족계획 슬로건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교육군과 비교육군간 찬성유무 및 생각해 본 일이 없다는 무관심 유무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P<0.05, P<0.01). 고등학교 시절의 이성교제, 이성교제에 대한 지식, 친구, 부모, 선생님과의 자유로운 대화에 대한 찬성율이 교육군과 비교육군간 유의한 차(P<0.05, P<0.01)가 있었으며 생각해 본 일이 없다는 항목은 비교육군이 교육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