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sitoid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초

큰 28 점박이무당벌레의 기생천적 (Parasitoids of Henose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in Kyonggido area, Korea.)

  • 이장훈;;이해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34
    • /
    • 1988
  • 감자, 가지등 가지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1983년 1986년까지,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하였고, 이들을 공격하는 기생천적의 종류, 각 기생천적에 따른 기주곤충의 령기별, 월별 기샐률이 조사되었다. Nothoser plus afissae (Watanabe), (벌목:Proctotrupidae), Uga menoni(Kerich)(벌목:수중다리 좀벌과), Pedipbius foveolatus (Crawford), (벌목:좀벌과) 등 3종류의 기생천적이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 afissae는 2령~4령때 채집한 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3령때 채집한 기주에서 가장 높은 기생률로 나타났으며, 유충때, 기생해서 번데기때 우화하는 U.mononi의 경우 3령-번데기때 채집한 기주에 기생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번데기 때 재칩한 기주에서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N.afiss와 U.mononi는 6월뷰터 9월가지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기주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fissde 는 조사된 다른 기생천저등에 보다 기생률이 월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mononi의 겨우는 7월에만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P.foveolatuss는 다른 두 종류의 기생천적과는 달리 다매발생하는 것으로 남부지방에서는 8월초부터 출현하나, 경기도 지역에서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생된 큰28점박이 유충 1개체로 부퍼 평균 13.8개체의 성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An Integrated Approach in the Pest Management in Sericulture

  • Singh, R.N.;Saratchandra, Bee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141-151
    • /
    • 2002
  • The success of sericulture industry in India is mainly attributed to the well-planned annual sericultural activity and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pest preventive and control measures. The insect spectrum of silkworm and its food plants is complex and plays a major role in limiting the production of silk. Insects cause extensive damage to plant whereas predators and parasites either kill the silkworm larvae or force them to spin flimsy cocoons. Unilateral control measure against this pest is mainly based on the use of synthetic organic insecticides. Though these approaches initially paid rich dividends, the undesirable consequences soon surfaced. Insecticide induced resurgence of gall midges, leafhopper, leaf roller, secondary pest out breaks and development of pest biotypes has led to realiza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sericulture. Various components of IPM, viz. Host plant resistance, cultural practices, biological control, chemical control and integrating them at various technological levels have been studied. Sources of host plant resistance have been identified for some of the major insect pests. High yielding mulberry variety has been propagated and their resistances towards major pests have been recorded. Cultural practices like pruning, pollarding, judicious use of nitrogen, optimum spacing and weed management have preyed to be the powerful tools in containing pests. Natural control over the pest population build- up exerted by the wide range of parasitoids, predators and pathogens has been well documented with identification of natural enemies and studies on their potential. Augmentation, through inoculation or inundative releases of parasitic arthropods, is the most direct way of increasing the numbers of these beneficials in sericulture.

엽채류 유기재배의 병해충 관리 (Control of Diseases and Insects for Pesticide-free Cultivation of Leafy Vegetables)

  • 서영호;조병욱;최준근;강안석;정병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3-264
    • /
    • 2009
  • 상추의 가을재배에서 공기 교반 장치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 주면 잿빛곰팡이병(B. cinerea)과 무름병(E. carotovora)이 감소되었으며, 수량도 30% 이상 증수되었다. 배추의 진딧물 밀도는 천적인 무당벌레(H. axyridis)와 콜레마니진디벌(A. colemani)을 방사하며 현저히 감소되었다. 난황유와 BT제를 혼합하여 살포하면 배추의 무름병(E. carotovora), 노균병(P. brassicae), 흰가루병(E. polygoni)의 발생과 배추좀나방(P. xylostella)과 파밤나방(S. exigua)의 발생 밀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파의 노균병(P. destructor) 발생은 Neem 추출물을 처리하여 무처리 대비 60% 이상 낮출 수 있었다. 파좀나방의 충해는 잎굴파리고치벌에 의해 23% 감소되었다.

  • PDF

잎갈나무통나방의 생활사 (Bionomics of Coleophora obducia (Lepidoptera: Coleophoridae))

  • 신상철;채정석;최광식;박일권;김철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9-171
    • /
    • 2003
  • 일본잎갈나무의 식엽해충인 잎갈나무통나방(Coleophora obducia Meyrlck)의 생활사 및 천적의 종류를 충북지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주식물로는 일본잎갈나무만이 확인되었다. 잎갈나무통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성충의 우화시기는 5월 중순부터 하순까지였고 최성기는 5월 14일경이었다. 성충 1마리당 포란수는 약 44.5개였으며 1엽당 1개씩의 알을 낳았다. 난기간은 약 2주 였고 유충은 잎 속에다 고치를 틀고 월동하였고 4월 말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천적으로 포식성곤충인 거미류, 개미류 등과 기생성곤충인 기생파리류와 기생벌류가 조사되었다.

Insect natural enemies as bioindicators in rice paddies

  • Ueno, Takatoshi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45-553
    • /
    • 2012
  • In Asia, including Japan and Korea, rice paddies occupy the largest cultivated area in agricultural land. Rice paddies provide the habitats for many organisms including endemic species, sustaining high biodiversity. Insect natural enemies inhabiting rice paddies have an important function for rice production as agents of 'ecosystem services' because they play a major role in suppressing rice pests.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natural enemies can be a good index reflecting the 'healthiness' of agro-ecosystem services in rice padd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insect natural enemies could be good biological indicators for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and agricultural practice. First, the concept of ideal bio-indicators was summarized. The strategy to explore and select such bio-indicators was then proposed. Lastly, field survey was made to evaluate the abundance and bio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 Japanese rice paddies where chemical inputs, i.e., insecticide use, were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reduction of chemical inputs led to an increase in species richness or 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cluding parasitoids and predators. Then,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suitable indicator species to assess environmental soundness of agricultural practice and biodiversity in rice paddies. The density of several species of natural enemies did respond both to pesticide use and to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The analyses thus have indicated that natural enemies can be suitable as bio-indicators. Usefulness of indicator species in rice paddie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cologically sound agriculture.

대형 엘리베이터에서 Bracon hebetor (벌목: 좀벌과)의 반복 방사에 의한 화랑곡나방 (나비목 : 명나방과)의 방제 효과 (Suppression of Indian Meal Moth (Lepidoptera : Pyralidae) by Iterative Mass Release of Bracon hebetor (Hymenoptera : Braconidae) in Wheat Elevators)

  • 나자현;천용식;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7-241
    • /
    • 2005
  • 대용량 밀 저장 엘리베이터(직경 8 m, 높이 41 m)에서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H\"{u}bner$))의 유충기생봉, Bracon hebetor Say, 방사를 통한 화랑곡나방 개체군의 억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2 년 7월 23일부터 일주 간격으로 총 50,000 마리의 기생봉을 방사하였던 바 화랑곡나방 성충의 밀도 수준이 방사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비해서 30%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A New Marine Species of Miracula (Oomycota) Parasitic to Minidiscus sp. in Iceland

  • Buaya, Anthony T.;Scholz, Bettina;Thines, Marco
    • Mycobiology
    • /
    • 제49권4호
    • /
    • pp.355-362
    • /
    • 2021
  • Obligate endoparasitic oomycetes are known to ubiquitously occur in marine and freshwater diatoms, but their diversity is still largely unexplored. Many of these parasitoids are members of the early-diverging oomycete lineages (Miracula, Diatomophthora), others are within the Leptomitales of the Saprolegniomycetes (Ectrogella, Lagenisma) and some have been described in the Peronosporomycetes (Aphanomycopsis, Lagenidium). Even though some species have been recently described and two new genera were introduced (Miracula and Diatomophthora), the phylogeny and taxonomy of most of these organisms remain unresolved. This is contrasted by the high number of sequences from unclassified species, as recently revealed from environmental sequencing, suggesting the presence of several undiscovered species. In this study, a new species of Miracula is reported from a marine centric diatom (Minidiscus sp.) isolated from Skagaströnd harbor in Northwest Iceland. The morphology and life cycle traits of this novel oomycete parasite are described herein, and its taxonomic placement within the genus Miracula is confirmed by molecular phylogeny. As it cannot be assigned to any previously described species, it is introduced as Miracula islandica in this study. The genus Miracula thus contains three described holocarpic species (M. helgolandica, M. islandica, M. moenusica) to which likely additional species will need to be added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presence of several lineages known only from environmental sequencing that clustered within the Miracula clade.

벼슬집명나방의 생활사 및 천적 종류 (Life History of Locastra muscosalis (Walker) (Lepidoptera: Pyralidae) and Its Natural Enemies)

  • 박철하;이범영;이세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1-104
    • /
    • 1993
  • 호도나무의 식엽성해충인 벼슬집명나방(Locastra muscosalis Walker)의 기생식물 종류, 생활사 및 천적의 종류를 충북지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생식물로 혹호도나무, 폐칸, 중국 굴피나무, 가래나무가 추가조사되었다. 벼슬집명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성충 우화시기는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였고 최성기는 7월 10일경이었다. 산란수는 560개 정도로서 기주식물 잎표면에 무더기로 산란하였음 란기간은 7~12일로 란기의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충은 7월 중순경부터 잎을 거미줄로 묶고 군서하면서 잎을 식해하고 9월 중순부터 땅으로 내려와 토양 속 1cm 정도에 고치를 만들고 유충태로 월동하였으며 6월 중순경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였고 용기간은 평균 16일이엉ㅆ다. 또한 천경으로 기생성 3종, 포식성 6종및 병원미생물이 조사되었다.

  • PDF

알락하늘소 유충의 외부기생 알락하늘소살이고치벌(Spathiu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의 발견 (Discovery of Spathiu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 (Hymenoptera: Braconidae) as a Larval Ectoparasitoid of Citrus Longhorned Beetle in Korea)

  • 김무성;이혜린;구덕서;;;;김일권;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85-291
    • /
    • 2016
  • Spathius exarator의 종 그룹에 속하는 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가 한반도에서 알락하늘소(Anoplophora chinensis)의 1령과 2령 유충에 외부기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란유인목을 이용하여 유리알락하늘소와 알락하늘소의 기생봉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 고치벌이 발견되었다. 이 고치벌의 진단형질과 수컷의 특징, 삽화 및 한반도에 분포하는 종들의 기주목록을 함께 제공하였다.

인공숙주에서 증식된 Tetrastichus sp.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trastichus sp. reared on Artificial Host)

  • 이장훈;이기상;이해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9-105
    • /
    • 2002
  • Tetrastichus sp.는 미국흰불나방의 번데기 기생벌로서, 1개의 숙주에 여러마리의 자손을 번식하는 집단 기생벌이며, 일년에 여러 세대 발생한다. 작잠, 신생아용 분유, 난황, 로얄젤리 등을 주요성분으로 기생벌의 인공먹이를 조성하였으며, polypropylene필름으로 번데기형태를 만들어 인공숙주로 사용하였다. 인공숙주에서 발육한 기생벌은 자연숙주에서 자란 기생벌보다는 크기가 작았으나, 계대 사육으로 번식 가능한 자손을 생산하였다. 인공숙주에서 발육한 in vitro 2세대의 생물학적 특성은 in vitro 1세대보다 훨씬 개선 었다. 평균 자손 수, 산란기간, 수명 등은 in vitro 에서 45.7,7.8, 13.8일 이었고 암컷 편중의 성비 76.9%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Tetrastichus sp.가 in vitro 대량사육에 적합한 기생벌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