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u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COVID19 Innate Immunity through Natural Medicine in Palau

  • Christopher U. Kitalong;Tmong Udui;Terepkul Ngiraingas;Pearl Marumoto;Victor Yan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5-15
    • /
    • 2020
  • In an internal documen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LAN, release developed stated that "on January 22, 2020, Palau Ministry of Health activated its emergency operations center, and since then has prepared and put in place measures in response to this global pandemic." The actions eventually led to the closure of most flights coming into Palau as a method to protect its population. The population of is at high risk with COVID19 due to the very elevated rate of NCD's, as well as the limited access to proper testing and treatment facilities. Increased use of traditional medicines in the population has reduced the co-morbidities by reducing risk factors. Furthermore, the expansion of tradtional NCD therapies, especially that of DAK reduce pressure due to obesity and diabetes therefore allowing for unimpaired immune systems to combat deadl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 PDF

Effect of Phaleria nisidai Extracts on Cell Viability of Pancreatic Beta Cell Lines

  • Kim, Seong-Sun;Jeon, Yong-Deon;Kitalong, Christopher;Jin, Jong-Si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6-106
    • /
    • 2019
  • The leaves of Phaleria nisidai Kaneh. have been used as a beverage for tonic and immune-enhancing effect in Palau. Recently, extract of the plants showed anti-diabetic effect in clinical trial and possibility could be used as a medicine for diabetes. However,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which elucidate cytotoxicity and biological mechanism have not been studied yet. To begin the series of in vitro and in vivo anti-diabetic studies, we evaluated cell viability of pancreatic beta cell lines to figure it out toxicity of the extract. The leaves of Phaleria nisidai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70% EtOH, and followed by evaporation and lyophilization. And, MIN6 and RIN-m5F cell lines were used for assessment of cell viability. MTT assay was adopted to evaluated a toxicity. Any of extract and concentration used in this study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the cell lines. Furthermore, morphological change was not observed. These results means Phaleria nisidai might be a medicinal resource when further biological and safety studies would be performed.

  • PDF

발사체 안테나 이득패턴을 이용한 팔라우추적소 링크버짓 분석 (Linkbudget Analysis of Palau Tracking Station Using Antenna Gain of Launch Vehicle)

  • 김춘원;권순호;이태진;김동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591-59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팔라우추적소 원격자료수신장비 링크버짓 결과를 예측하고 실제 신호수신레벨과 비교 분석하였다. 팔라우추적소는 발사 임무에 처음으로 참여하였으며, 지리적 특성상 비행시험 등 안테나 추적 및 신호 수신 성능에 대한 검증 시험에 어려움이 있어 발사체 궤도 및 자세각에 따른 송신 안테나 편파별 이득 값의 변화를 예측하여 보다 정확하게 링크버짓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팔라우추적소 신호 수신 가능 구간, 안테나 구동각도와 좌현/우현 편파 예상 수신레벨 분석에 활용되었고, 발사임무 운용 결과 안테나 실제 수신레벨은 링크버짓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세틀라이트 마커 분석을 이용한 남서태평양 일대에 서식하는 남방톱날꽃게(Scylla serrata)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the Mud Crab Scylla serrata in Micronesia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 장요순;이순길;노충환;오승용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319-326
    • /
    • 2009
  • Analysis of four microsatellite markers from Mud Crab Scylla serrata revealed that there is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within this species. Genetic diversity of S. serrata was calculated using allele diversity, observed heterozygosity, expected heterozygosity (Het-exp),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gene differentiation and Nei's $D_{A}$ distance. Mean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value was 0.797, which reflected high level of polymorphism across the loci of S. serrata. The Palau population has the highest genetic diversity (Het-exp=0.871), while the Kosrae population has the lowest genetic diversity (Hetexp=0.806). However, the geographical genetic distance among S. serrata populations from Yab, Chuuk, Pohnpei, Kosrae, and Palau were low (0.2009${\sim}$0.3350).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spite their wide distribution, S. serrata are no different in geographical genetic diversity within the five sampled locations.

적도 태평양 산호초 서식지의 해수 반사도 특성 (Ocean Optical Properties of Equatorial Pacific Reef Habitat)

  • 문정언;최종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15-625
    • /
    • 2021
  • 태평양 적도 부근에 위치한 팔라우섬과 통가섬 주변 연안해역은 산호초와 맹그로브 및 해초지로 구성된 해역이다. 특히, 산호초 서식지의 표층 해수의 광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원격탐사 기반의 서식지 분류의 정확도를 높이고, 열대해역 생태계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팔라우섬과 통가섬 산호초 서식지의 해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해수 표면의 파장별 분광특성 자료를 수집하고, 해수 표층의 부유물 농도, 흡광계수 및 원격반사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부유물 농도 분석 결과에 의거 위성자료 기반 부유물 농도 추정 경험적 알고리즘을 개발 및 검증하였으며, 555, 625, 660 nm 세 개 밴드를 이용한 원격반사도 밴드비와 부유물 농도의 결정계수가 0.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열대해역의 산호초 서식지는 해양광학적으로 빈영양성의 CASE-I 해수 성향이 강하며, 현장자료의 지속적인 수집과 분석을 이용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Calyxaprenols A-D, New Merohexaprenoid Metabolites from the Marine Sponge Calyx sp.

  • Kim, Chang-Kwon;Gustafson, Kirk R.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303-310
    • /
    • 2020
  • Four new merohexapenoids named calyxaprenols A-D (1 - 4), together with the known compound haliclotriol A (5), have been isolated from the marine sponge Calyx sp.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southwest islands of Palau. Based on comprehensive spectroscopic analyses, calyxaprenols A (1) and B (2) were determined to be pentacyclic hexaprenoids that are appended to a glycolic acid-substituted phenol moiety, whereas calyxaprenols C (3) and D (4) possess a tricyclic hexaprenoid skeleton joined to a hydroquinone ring. Identification of new merohexaprenoids from a Calyx sponge expands the known taxonomic distribution of this sparsely distributed class of marine metabolites and increases the chemical diversity described for this genus of marine sponge.

고해상도 다중빔음향측심 지형자료 분석을 통한 서필리핀분지의 진화 연구 (An Understanding the Opening Style of the West Philippine Basin Through Multibeam High-Resolution Bathymetry)

  • 최한진;신현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43-654
    • /
    • 2023
  • 서필리핀분지는 필리핀해판 서쪽 그리고 유라시아판에 위치한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하여 류큐해구를 경계로 두고 있는 해양 분지이다. 이 분지는 전체 필리핀 판의 절반정도의 크기이며 류큐해구, 필리핀해구를 경계로 유라시아판 하부로 섭입 중이다. 이 분지의 25-50%가 이미 섭입되었고, 분지 남쪽의 경우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까지 분지의 진화과정 해석에 대하여 크게 논란 중에 있다. 이러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서필리핀분지의 진화과정을 고해상도 다중빔음향측심자료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판의 확장과정에서 생성되는 비변환불연속 구조(Non-Transform Discontinuity)는 일반적으로 중앙해령과 수직한 방향으로 생성되는 변환단층 경계와 유사하지만 지각아래 맨틀대류 변화에 의한 마그마공급 불균형으로 해령분절에 변위가 생기며 만들어진다. 고해상도 해저지형도를 제작하여 분석한 결과, 해령전파에 의한 비변환불연속 구조가 크게 발달한 것과 전반적인 심해언덕의 주향이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E-W방향에서 NNW-SSE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지 확장 초기에 아마미-산카쿠 분지가 현재의 위치에서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팔라우분지와 인접해 있다가 분지의 확장이 시작되면서 민다나오 파쇄대를 경계로 팔라우분지와 분리되어 반시계 방향의 회전열개로 확장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분지 내 비변환불연속 구조는 ENE-WSW 방향에서 N-S 방향으로 급격한 확장방향의 변화와 동시에 필리핀해판의 드리프트(drift)로 인한 갑작스러운 마그마 공급 변화로 형성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팔라우분지는 WPB의 남쪽 일부로 간주되었으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확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퇴적층과 지각의 두께 등 여러 단서들이 팔라우분지가 WPB 확장 이전에 이미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나 분지의 진화과정은 여전히 논란이 많다. 서필리핀분지와 필리핀해판의 정확한 진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팔라우 분지의 연대와 확장 진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해상도 다중빔음향측심자료 분석을 통해 서필리핀분지의 진화과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서필리핀분지와 필리핀해판의 정확한 진화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POLLO3 homogenization techniques for transport core calculations-application to the ASTRID CFV core

  • Vidal, Jean-Francois;Archier, Pascal;Faure, Bastien;Jouault, Valentin;Palau, Jean-Marc;Pascal, Vincent;Rimpault, Gerald;Auffret, Fabien;Graziano, Laurent;Masiello, Emiliano;Santandrea, Simon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7호
    • /
    • pp.1379-1387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comparison of homogenization techniques implemented in the APOLLO3 platform for transport core calculations: standard scalar flux weighting and new flux-moment homogenization, in different combinations with (or without) leakage models. Besides the historical B1-homogeneous model, a new B-heterogeneous one has indeed been implemented recently in the two/three-dimensional-transport solver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First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on a very simple Sodium Fast Reactor core with a regular hexagonal lattice. They show that using the heterogeneous leakage model in association with flux-moment homogenization strongly improves the prediction of $k_{eff}$ and void reactivity effects. These good results are confirmed when the application is done to the fissile assemblies of the more complex CFV (Low Void Effect) core of the ASTRID (Advanced Sodium Technological Reactor for Industrial Demonstration) project of sodium-cooled fast breeder reactor (Generation IV).

분자표지를 이용한 마(Dioscorea spp.)의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among Dioscorea, spp. Using Molecular Markers)

  • 장광진;최익영;박주현;박종인;윤병성;김남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45-54
    • /
    • 2002
  • 마(Dioscorea spp.)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51개 계통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도입재배 가능성을 시험했다. 또한 종간, 계통 간을 AFLP 분석하였고 생육 패턴을 시험하였다. 1. AFLP분석의 분자마커를 이용한 도입마의 유사성 분석에서 62% 수준에서 도입마는 다른 종간에 유의성이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에서도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 중 D. alata는 일부 수집 지역별로 그룹이 형성되었다. 2. 일본의 쿠마모도(Kumamoto)지방에서 수집된 D. alata의 계통들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지역의 마 유전자원의 이동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Indonesia, palau Is., 파푸아뉴기니아에서의 수집종들의 유연성이 높은 것은 한 지역의 계통이 여러지역으로 이동된 것으로 사료되다. 3. D. nipponica에 속하는 부채마는 다른 종과 변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전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정된다.

도입 마(Dioscorea alata L.)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Dioscorea alata L. Introduced from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 장광진;유기억;박철호;박종인;홍규현;박주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48-69
    • /
    • 2001
  • 1997년 부터 한국농업전문학교에서 수집하여 재배되고 있는 마 (Dioscorea alata L.)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33개 계통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형태적 차이를 보이는 19개 계통에 대한 RAPD분석을 실시하였다. 1. 주당 괴경의 전체 무게는 최대 2,147g (No.36), 최소 90g (No.20)으로 평균 610g이었다. 주당 평균 괴경수는 2.8개였으며 최대 4.7개, 최소 1.3개였다. 괴경중은 평균 363g이었으며 최대 1200g, 최소 70g이었다. 2. 괴경의 육질은 백색, 담황색 및 적자색 3가지 패턴을 보였으며, 잎은 녹색, 진녹색 및 담녹색으로 분류되었다. 3. RAPD 분석에 사용된 총 113개 primers 중 12개 primer 만이 모든 분류군에서 증폭되었다. 이를 통하여 93개의 밴드를 얻었으며 69개 밴드는(71.0%) polymorphic 하게 나타났다. 4. 유집분석 결과 19개 계통은 유사도 지수 값 0.66~0.90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크게 2개의 그룹, 즉 인도네시아와 가고시마에서 도입된 8개의 계통이 포함된 그룹과, 유사도지수 0.70~0.90의 범위를 갖는 Nauru, Palau Is., Okinawa와 Papua New Guinea에서 도입된 11 계통이 포함된 그룹으로 대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