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on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Platelet Anti-Aggregation of Paeony Root

  • Kang, Sam-Sik;Kim, Ju-Sun;Kim, Eun-Mi;Yun-Choi, Hye-Sook
    • 생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5-218
    • /
    • 1991
  • Paeony root was extracted and fractiona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platelet anti-aggregatory components. And gallic acid methylester was isolated as the major component from the active sub-fraction F302.

  • PDF

작약의 번식방법과 작약 / 목단 접목근의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Some Propagation Methods in Paeonia albiflora Pallas and Effective Components of Paeonia albiflora Pallas Root Grafted with Paeonia moutan Sims)

  • 이희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3-287
    • /
    • 1992
  • 작약의 번식방법과 작약근 / 목단접수의 유효성분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실생묘 파종적기는 수확후 같은해 8월20일에서 9월10일에 파종하는 것이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2. 분주법은 춘식보다 추식이 작약의 생육에 유리하였다. 3. 삽목법은 개화중에 실시하는 것이 발근율이 양호하였고, 생장조정제는 무처리관행 대비보다 Ruton 처리가 발근율이 21% 증가하였으나 정아출현이 되지 않았다. 4. 작약근 / 목단접수의 접목시기는 9월이 적기이고, 작약근 / 목단접수에서 뿌리 생산성도 가장 우수하였다. 5. 작약 유효성분은 paeoniflorin 성분이 가장 많았고, 목단은 paeonol 성분이 많았으며, 작약근 / 목단접수의 paeoniflorin 성분은 작약보다 75.9% 높았으며, 기타 유효성분 또한 작약근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 PDF

한국산 작약의 산지별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Effective Constituents of Korean Paeony Roots(Paeoniae radix)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 성원용;윤광로;장상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7-302
    • /
    • 2000
  • 백작약 및 적작약의 주산지로 알려져 있는 경북 의성지역 외 5개 지역에서 1999년에 재배된 작약뿌리를 현지에서 수집하여, 산지별로 작약의 지표물질로 알려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산 작약의 재배 지역별 paeoniflorin 함량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백작약 2.06%로 가장 높았다. 산지별로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적작약 1.52%이었으며, 전라북도 임실 지역에서 재배된 적작약이 1.33%로 가장 낮았다. Albiflorin의 함량은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적작약에서 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지역은 적작약에서 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지역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과 전라북도 임실 지역의 적작약이 0.05%와 0.06%이었다. Benzoic acid의 함량은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서 0.12%로 가장 높았으며, 경상북도 울진 지역이 0.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aeoniflorin, albiflor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유사한 비례적인 상호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1년근 적작약의 paeoniflorin 함량에 대한 albiflorin 함량의 비율은 타 지역과 달리 1.60 및 1.77로서 paeoniflorin에 비하여 albiflorin의 함량이 더 많았다.

  • PDF

약용작물거생선충에 관한 연구 (Nematodes Associated with Medicinal herbs)

  • 박소득;추연대;정기채;박선도;최대웅;최영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6-415
    • /
    • 1992
  • 약용작물에 대한 기생선충의 분포상황 및 선충에 의한 약용작물의 피해상황,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의 기생정도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생식물별 선충기생상황은 작약의 25개 작물중에서 총 10과 15속 25종의 식물기생선충이 검출되었으며, 가장 밀도가 높은 것은 Meloidogyne hapla였고, 다음이 Tylenchus sp., Ditylenchus dipsaci., Aphelenchoides sp., Tylenchorhynchus claytoni등의 순으로 많이 검출되었는데, 바이러스 매개충인 Xiphinema sp. 과 Trichodorus sp. 도 검출되어 바이러스 감염도 우려되었다. 선충 기생에 의한 피해조사에서 작약, 방풍, 백지, 내궁, 인상, 당귀, 시호가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에 의해 심하게 기생당하였으며, 포장감염율은 54.5~88%였고 재배년수가 경과 할수록 선충기생에 의한 뿌리혹(Gall), 난낭(Egg mass), 유충(2nd larvae)의 밀도가 높았는데, 지하부 뿌리의 분지수는 뿌리혹선충의 기생이 많을 수록 높았다. 뿌리혹선충 기생에 의한 약용작물별 감수율을 조사한 결과 건전주의 근중에 비해 당귀에서는 57.8, 작약은 49.1, 시호는 27.9%의 감수율을 보였으며, 피해도는 23.2~88%로 작물별 차이가 컸고, 감염된 포장에서는 피해가 컸으며, 뿌리혹선충 유충의 밀도는 토양 300g당 50~1890마리로 밀도 범위가 컸다. 작약포장에서 작부체계에 따른 선충증식정도를 조사한 결과 논포장에서 벼재배후 작약재배나, 밭에서 참깨재배후 작약재배한 것이 고추나 작약연속 재배한 포장보다 선충의 밀도가 훨씬 낮았다.

  • PDF

작약 신품종 "의성작약" 의 주요특성 및 수량성 (Plant characters and yield of "Euiseong-Jakyak" a New Paeony Variety)

  • 정상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9-193
    • /
    • 1995
  • 최근(最近) 질병(疾病)의 예방(豫防) 및 치료(治療) 한약재(韓藥材)와 국민건강증진(國民健康增進) 식료품(食料品)으로 수요(需要)가 증가(增加)하고 있는 작업(芍業)의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을 위(爲)하여 경북(慶北) 농촌진흥원(農村進興院)에서는 1987년(年)부터 1993년(年)가지 7개년간(個年間) 국내(國內) 산야(山野)에서 지방재내종(地方在來種)을 수집(蒐集) 공시(供試)하여 순계(純系)를 분리(分離)하고 우량계(優良系) 통(統)에 대(對)한 생산력검정(生産力檢定)과 지방적응성(地方適應性) 및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기존(旣存)의 지방재래종(地方在來種)보다 양질다수성(良質多收性)인 의성작업(義城芍業)을 육성(育成)하였던바 그 主要特性(주요특성)과 수량성(收量性)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의성작업(義城芍業)은 홀꽃의 적색(赤色)으로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에 비(比)해 맹아수(萌芽數)와 근수(根數)가 많고 줄기도 굵으며 뿌리도 직근(直根)이어서 초기생육(初期生育)이 왕성(旺盛)하여 양질(良質)의 생약재생산(生藥材生産)에 유리(有利)한 품종(品種)이었다. 2. 출현기(出現期)와 개화기(開化期)가 빠르고 경장(莖長)이 짧으며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근수(根數)가 많아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으로 유망시(有望視)되었다. 3. 일반적(一般的) 품질(品質) 특성상(特性上)으로 의성작업(義략城릇芍)은 근육색(根肉色)이 백색(白色)이고 직근(直根)이며, Paeoniflorin 함량(含量)도 높았다. 4. 화학적(化學的) 품질특성상(品質特性上)으로는 풍기재내(豊基在來) 대비(對比) 총당(總糖)은 12.22%, 전분(澱粉)도 9.8%나 많았으며 조단백(粗蛋白)과 조회분(粗灰分)은 대등(對等)하였고 조섬유(粗纖維)는 1.17% 적었다. 5. 의성작업(義城芍業) 병충해(病蟲害) 및 도복성(倒伏性)도 대비(對比) 품종(品種)인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보다 강(强)하였다. 6. 10a당(當) 수량성(收量性)으로 볼때 의성작업(義城芍業) 대비(對比) 품종(品種)보다 생산력검정시험(生産力檢定試驗)에서 총수량(總收量)은 42%, 상품수량(商品收量)은 13% 많았고, 지성적응시험(地城適應試驗)에서 각각(各各) 32%, 17% 증수(增收)되었고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에서도 총수량(總收量)은 27%, 상품수양(商品收量)은 19% 증수(增收)되는 양질(良質)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이다.

  • PDF

작약꽃을 이용한 미백 및 항산화 효과 분석 (Effect of Whitening, Anti-aging on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Flower)

  • 정연옥;박노복;정숙진;곽준수;한종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2-456
    • /
    • 2010
  • Paeony flowers to separat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TOH extract the polyphenol materials sympathetic to the HPLC, anti-aging and whiting used in the cosmetics extract and comparing the results follows. Extracted by a different way to keep the flowers found in the experiment, after 1 year when stored frozen material and did not show changes in appearance. Concentrated extract by HPLC,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he type of polyphenol naringin, sinapic acid, methyl gallate, syringic acid were detected, including 11 kinds. Learn anti-aging effect in the experiment for the EtOH 80% extract showed excellent efficacy in the remaining conditions were low. The whitening effect Peony Flower extract higher than arbutin paeoniflorin was the main ingredient.

Effects of the Constituents of Paeonia lactiflora Root on Arachidonate and NO Metabolism

  • Choi, Yong-Hwan;Gu, Lianyu;Kim, Yeong-Shik;Kang, Sam-Sik;Kim, Ju-Sun;Yean, Min-Hye;Kim, Hyun-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4권4호
    • /
    • pp.216-219
    • /
    • 2006
  • In order to establish the anti-inflammatory cellular mechanism of the paeony root(Paeonia lactiflora, Pall, Paeoniaceae), the constituents including paeoniflorin, albiflorin, (+)-catechin, paeonol, benzoic acid and methyl gallate were evaluated for their effects on arachidonate and NO metabolism. Among the compounds tested, only paeonol weakly inhibited cyclooxygenase-2-mediated $PGE_2$ production from LPS-treated RAW 264.7 cells. (+)-Catechin and methyl gallate weakly inhibite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mediated NO production from the same cell line. In particular, methyl gallate significantly inhibited 5-lipoxygenase from RBL-l cells with an $IC_{50}$ of 8.4 ${\m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these components on arachidonate and NO metabolism may contribute at least in part to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the paeony root.

작약밭 잡초 발생 특성 (Weed Occurrence in Peony (Paeonia lactiflora) Fields)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임민혁;장정한;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65-178
    • /
    • 2017
  • 작약 밭에서 잡초의 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6-7월에 경북 의성, 청송, 전남 화순, 장흥, 강진 등의 지역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작약 밭에서는 국화과 30종, 벼과 9종, 마디풀과 8종, 콩과, 메꽃과 각각 5종, 십자화과, 현삼과 각각 4종을 포함하여 35과 105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9종, 월년생 23종, 다년생 33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명아주, 피, 깨풀 등의 순이었다. 경북지역에서는 국화과 20, 벼과 7, 마디풀과 6, 십자화과 4종, 콩과 4종, 메꽃과 4종, 대극과 3종을 포함하여 30과 75종이 발생하였다. 상위 2개 과에 포함하는 잡초가 31종으로 44.7%를 차지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35종, 월년생 21종, 다년생 19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쇠비름, 깨풀, 명아주, 속속이풀, 피 등의 순이었다. 전남지역에서는 국화과 23종, 벼과 7종, 마디풀과 8종, 콩과 6종을 포함하여 34과 88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3종, 월년생 20종, 다년생 25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쑥, 쇠비름, 망초, 명아주, 개여뀌, 피 등의 순이었다. 이와 같이 작약 재배지에서 일년생, 월년생 및 다년생 잡초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잡초방제 체계가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