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nibacillus amylolyticu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PVA [Poiyvinyl Alcohol]분해용 균주 Microbacterium barkeri LCa 및 Paenibacillus amylolyticus LCb의 분리 및 특성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bacterium barkeri LCa and Paenibacillus amylolyticus LCb for PVA [Poiyvinyl Alcohol]Degradation)

  • 최광근;신종철;전현희;김상용;류원석;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479-484
    • /
    • 2003
  • 염색폐수에 포함된 PVA를 생물학적으로 제거하고자 34 종의 PVA 분해용 균주를 염색폐수 및 슬러지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중 PVA 분해 시험을 거쳐 2 종의 균주를 최종분리하여 동정하여 Microbacterium barkeri LCa와 Paenibacillus amylolyticus LCb로 명명하였다. 최종분리균의 최적성장조건 및 최대분해조건을 규명해보았는데, 온도는 3$0^{\circ}C$, pH는 7, 탄소원은 starch, 그리고 질소원은 peptone으로 판명되었으며, 최적조건 하에서의 PVA 분해율은 89%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리한 균주는 PVA 중합도의 영향 없이 높은 분해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 및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에서 분비되는 PVA 분해 효소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PVA Degrading Enzymes from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 and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

  • 최광근;김상용;류원석;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54-58
    • /
    • 2006
  • 본 연구의 목표는 새롭게 분리한 두 종의 균주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과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 에서 분비되는 PVA 분해 효소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기 두 종의 균주로부터 얻은 crude enzyme을 사용하여 PVA 분해 시험을 진행한 결과, SAO의 활성은 시험 시작 후2일 혹은 3일 후 최대를 보인 반면, BDH의 활성은 시험 내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배지내에 PVA가 존재하면 이들 효소의 활성 이 유지되었으나, PVA가 배지에서 완전히 사라지게되면, PVA 분해 효소의 활성도 사라졌다. 배지에 다시 PVA를 주입하면 이들 효소의 활성이 다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상기 두 종의 효소는 PVA 분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PVA는 SAO와 BDH의 활성에 의해 분해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olyvinyl Alcohol Degradation by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 and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 in Dyeing Wastewater

  • Choi, Kwang-Keun;Park, Chul-Hwan;Kim, Sang-Yong;Lyoo, Won-Seok;Lee, Sang-Hun;Lee, Jin-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1009-101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of PVA (polyvinyl alcohol) contained in dyeing wastewater by a mixed culture of Microbacterium barkeri KCCM 10507 and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CM 10508. Firstly, synthetic wastewater which contained different initial concentrations of PVA varying from 50 to 3,500 mg/l were tested to obtain optimal PVA biodegradation activity of isolated strains, and the above two strains were found to degrade PVA up to 90%,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PVA was 750 mg/l and below. Next, dyeing wastewater was tested by a nixed culture of the two isolated strains, and 42% and 55% of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PVA and COD, respectively, was removed after five days. MLSS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an initial 1,400 to 2,500 mg/l, and the pH was also increased from 5.1 to 7.8. Sterilized dyeing wastewater was tested to find the effect of strains only on the biodegradation of PVA, and PVA degradation ratio and COD removal ratio were 50% and 72.8%, respectively. Thu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two strains have good ability to degrade PVA and remove COD in dyeing wastewater, Finally, it is expected that if these two strains were used in the dyeing wastewater treatment, good efficiency for PVA degradation and COD removal could be achieved.

Paenibacillus amylolyticus 유래 xylanase GH10 및 GH30의 xylan 가수분해 특성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Paenibacillus amylolyticus xylanases GH10 and GH30 for xylan hydrolysis)

  • 남경화;장명운;김민정;이정민;이민재;김태집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63-470
    • /
    • 2016
  • Xylan의 효소적 가수분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 또는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발효성 당을 얻는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endo-${\beta}$-Xylanase는 xylan 주사슬 내부의 ${\beta}$-1,4-결합을 가수분해하여 xylobiose, xylotriose를 포함한 다양한 XOS를 생산하는 핵심 효소이다. 이들 효소 중에서 glucuronoxylanase GH30은 methylglucuronic acid가 측쇄에 수식된 xylan에 특이적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Paenibacillus amylolyticus KCTC 3005에서 유래한 2종의 xylan 가수분해효소(PaXN_10과 PaGuXN_30)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Escherichia coli에서 각각 발현시켰다. PaXN_10 (38.7 kDa)은 ${\beta}$-xylanase GH10 계열, PaGuXN_30 (58.5 kDa)은 glucuronoxylanase GH30에 해당하는 효소이며, $50^{\circ}C$와 pH 7.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수분해 특성 연구를 통해 P. amylolyticus가 목질계 glucuronoxylan을 분해하는 효소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세포 외로 분비되는 PaGuXN_30은 glucuroxylan을 가수분해하여 methylglucuronic acid 측쇄를 가지는 다양한 aldouronic acid mixtures를 생성하며, 이러한 분해산물은 세포 내로 이동하여 PaXN_GH10에 의해 xylose, xylobiose와 같은 저분자 XOS로 분해되어 세포 내 대사경로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소의 가수분해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탄수화물 소재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호흡률 측정기를 이용한 파일럿 스케일 염색폐수처리 장치에서의 생물학적 활성 측정 (Measurement of Biological Activity in Pilot Scale Dyeing Wastewater Process by Using Respirometer)

  • 전현희;최광근;윤인준;이진원
    • KSBB Journal
    • /
    • 제19권5호
    • /
    • pp.390-393
    • /
    • 2004
  • Oxygen uptake rate (OUR) was used as an indicator of microbial activity. In this study OUR at dyeing wastewater in the pilot plant was monitored to examine biological activity. Correlation between inlet COD concentration and maximum OUR showed that maximum OUR was proportional to inlet COD concentration. Changes in the OUR values reflected the changing waste load in the reactor. Consequently, OUR can be used to estimate biological activity of inlet COD concentration. This study showed that biodegradable COD at dyeing wastewater could be calculated from OUR and yield coefficient. Non-biodegradable COD was able to be calculated from a difference between initial COD concentration and biodegradable COD.

악취 저감용 세균에 의한 돈분뇨의 생물학적 처리 (Biological Treatment of Piggery Liquid Manure by Malodor Reducing Bacteria)

  • 전효천;신재형;왕옌칭;최민경;김상민;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71-978
    • /
    • 2022
  • 본 실험은 축산분뇨의 악취제거 활성이 우수한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돈분뇨와 토양으로부터 황산화균 분리용 배지, 암모늄산화균 분리용 배지 그리고 질소산화균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12종의 세균들을 분리하였다. SK2654 균주는 Paenibacillus amylolyticus로, SK2656, SK2658, SK2659 균주들은 각각 Rhodococcus jostii, Rhodococcus qingshengii, Rhodococcus opacus로, SK2657과 SK2672 균주들은 Alcaligenes faecalis로, SK2660과 SK2662 균주들은 Kastia adipata로, SK2665 균주는 Microbacterium oxydans로, SK2673 균주는 Halomonas campisalis로, SK2675 균주는 Acinetobacter oleivorans로, SK2676 균주는 Micrococcus luteus로 동정되었다. 돈분뇨 액상원액에 상기 균주 배양액을 1% 접종하였을 때 발효액의 pH는 전반적으로 8.0을 유지하였다. 총균수는 실험 15일차까지 7.3~7.9 log CFU/ml 수준을 유지하다가 15일차 이후로 5.1~5.5 log CFU/ml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질소 농도는 시험 후반부인 30일차에는 Rhodococcus opacus SK2659 균주를 접종한 처리구가 대조구의 39% 수준을 나타내면서 비교적 높은 암모니아태질소 제거능을 보였다. 실험 100일 후 Rhodococcus opacus SK2659 균주를 접종한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에 황화수소 농도는 3.23% 수준으로 악취제거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가스발생량은 대부분의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낮았으며 실험기간 중 가스량의 측정 누계량은 대조구의 1/4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Acinetobacter oleivorans SK2675 균주를 접종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12.39% 수준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돈분뇨의 생물학적 처리시 본 연구에서 분리한 Rhodococcus opacus SK2659와 Acinetobacter oleivorans SK2675 균주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악취저감 효과가 증대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