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PP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7초

청징방법에 따른 사과와인의 색과 투명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ning Treatments on Color and Clearness of Apple Wine)

  • 방병호;정은자;강혜란;이문수;이동희;백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8-3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산 홍로품종을 원료로 양조한 사과와인에 PVPP와 벤토나이트를 이용하여 청징조건을 다르게 적용한 후 사과와인의 색과 투명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와인시료는 청징조건에 따라 청징을 하지 않은 Control 시료와 0.5 g/L의 PVPP로 단일 청징한 A시료, 0.25 mg/L의 PVPP와 0.75 mg/L의 벤토나이트를 동시 투입하여 청징한 B시료, 0.25 mg/L의 PVPP 투입 24시간 후 0.75 mg/L의 벤토나이트를 넣어 청징한 C시료로 나누어 $15^{\circ}C$에서 7일간 보관 뒤 침전물과 분리하였으며, 각 시료의 총산과 유기산, 휘발성 향기성분, 총페놀과 intensity, hue, color(APHA value)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산과 유기산, 휘발성 향기성분의 경우 청징조건이 다른 시료 간의 분석결과가 유사하므로 청징에 의한 영향은 아주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총페놀과 intensity, hue, color(APHA value)의 비교분석 결과 총페놀 함량의 경우 청징에 의해 감소하며 특히 PVPP가 이 성분을 흡착하여 침전시키는 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페놀 함량이 낮아진 와인 시료에서 와인의 맑기가 더 맑아지고 색이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나 사과와인의 개선에 PVPP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rowning의 개선과 함께 사과와인의 외관에 있어 중요한 것이 혼탁을 일으키는 단백질 제거이므로, 이에 탁월한 효과를 지닌 벤토나이트를 PVPP와 혼용하여 청징한 실험도 진행하였다. 두 청징제를 동시에 넣는 조건과 PVPP 투입 24시간 후 벤토나이트를 넣는 조건으로 나누어 청징하였을 때, 동시에 투입하는 것이 더 높은 색 개선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벤토나이트가 단백질을 흡착하여 침전하면서 페놀화합물을 흡착한 PVPP의 침전을 도와 바닥에 더 잘 가라앉게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청징제를 동시에 청징한 와인과 PVPP 단일 청징 와인을 비교해본 결과, 두 청징제의 동시 혼용조건에서 와인이 더 맑으면서도 pale color에 가까운 색을 띠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PVPP 청징의 경우 적용 전 실험실에서 연구 스케일로 실험을 진행한 뒤 적정량을 결정하여 사용한다면 지나친 청징에 대한 우려와는 달리 관능적인 기질을 보존하면서도 색과 투명도를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과농축액에 대한 갈변억제제 처리효과 (The Effect of Antibrowning Agents on Enzymatic Reaction in Apple Concentrate)

  • 김현위;배수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4-458
    • /
    • 2002
  • 과실가공품에서의 갈변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과농축액에 갈변억제제 즉, PVPP (polyvinylpolypyrrolidone), bentonite, gelatin, celite 545, tannic acid, sodium sulfite를 첨가하여 여과한 후 갈변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PVPP를 첨가한 농축액에서 L값(lightness)이 8.16으로 대조구와 다른 농축액에 비해 갈변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탁도(660 nm에서의 흡광도)는 대조구 0.05인데 비해, PVPP, gelatin celite 545, tannic acid, sodium sulfite를 함유한 사과농축액은 각각 0.003, 0.038, 0.038, 0.018, 0.022로 다소 낮은 수치를 보여 부유물 등의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PVPP의 효과가 뚜렷하였다. 또한, PVPP 처리된 사과농축액 중의 PPO(polyphenoloxidase)활성과 폴리페놀화합물(catechol, catechin,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등) 함량에서도 현저하게 감소하여 효소적 갈변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VPP가 사과농축액의 색상, 탁도, PPO활성 및 폴리페놀화합물 함량 등 효소적 갈변특성을 개선시키는 우수한 갈변억제제임을 확인하였다.

사과농축액의 갈변현상 및 그 억제 (The Browning Reaction and Inhibition of Apple Concentrated Juice)

  • 배수경;이영철;김현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3
    • /
    • 2001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rowning inhibitors such as PVPP(polyvinylpoly-pyrrolidone), A.A.(ascorbic acid) on nonezymatic browning factors [free sugar, total amino acid, organic acid, A.A., HMF (hydroxymethylfurfural)] and enzymatic browning factors [PRO (polyphenoloxidase) activity, polyphenol compounds] in concentrated apple juice during 90 days storage. Considering color value (L value, $\Delta$E), absorbance at 420 nm, concentrated apple juice during 90 days storage. Considering color the effect of browning inhibi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changes of nonenzymatic factors in concentrated apple juice added with browning inhibitors were similar to those in control (concentrated apple juice without browning inhibitors), which were the decreased of sucrose(0.24~0.35% at 90 days), the slight increase of glucose and fructose, the decrease of total amino acid (530.4~573.1 mg/10g at 90 days), same value of A.A. at 90 days (38.5~78.6 mg/100g), and the increase of HMF (27.8~30.6 mg/100g at 90 days). On the contrary, enzymatic browning factor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concentrated apple juice added with PVPP, judging from the slow increase of PRO activity and the significant decrease of initial value in polyphenol compounds (especially chlorogen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VPP plays an important role as enzymatic browning inhibitor, that is, a scavenger of polyphenol compounds by adsorption in concentrated apple juice.

  • PDF

해양퇴적물의 핵산추출물에서 humic substances의 효율적인 제거방법 (Efficient Removal of Humic Substances in Preparing DNA Extract from Marine Sediments)

  • 이정현;신현희;이홍금;권개경;김상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2-136
    • /
    • 1998
  • 자연환경의 미생물군집을 분자생태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핵산의 분리가 필요하다. 해양퇴적물에서 핵산을 추출할 때 같이 추출되는 부식물질(humic substances)은 핵산중폭반응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네 가지의 방법, 아가로즈젤 전기영동후 용출, Sephadex G-75 젤, Hydroxyapatite 젤, 그리고 PVPP(poluvinylpolypyrrolidone) microspin column 방법에 대해 그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조산된 방법 중에서 PVPP microspin column을 이용하면 건조 퇴적물 1g당 $4.8{\mu}g$의 순수한 DNA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었고, 이 방법으로 분리된 DNA를 PCR의 주형으로 사용한 결과 16S rRNA 유전자의 거의 전 범위에 해당하는 1.5 kb 크기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시차주사열량분석을 이용한 배합성 연구 (Compatibility Study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손영택;이애경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9권2호
    • /
    • pp.117-126
    • /
    • 1999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was used as a screening technique for assessing the compatibility of some drugs with excipients. On the basis of DSC results, interaction of ibuprofen with PVP K40 was found and eutectic formations with PEG 6000 or magnesium stearate were demonstrated. Fenoprofen Ca was found to interact with PEG 6000. Naproxen showed interactions with PEG 6000, PVP K40, PVPP and Mg stearate. Interactions of tiaprofenic acid with PVP K40 or PVPP were found and eutectic formations with PEG 6000 or Mg stearate were observed. Bisoprolol hemifumarate, metoprolol tartrate and penbutolol sulfate were found to interact with lactose.

  • PDF

쌀.포도 혼합 발효주의 갈변특성 및 갈변저해방법 (Browning and Its Inhibition in Fermentation of Rice-grape Wine)

  • 구하나;육철;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54-561
    • /
    • 2006
  • 쌀을 혼합해 발효시킨 포도주에 다양한 갈변저해 첨가제를 사용하여 숙성 기간 동안 품질의 변화와 갈변의 억제 정도를 관찰하고 저장성을 증대시켜 새로운 개념의 쌀을 혼합, 발효시킨 포도주의 개발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쌀 포도 혼합 발효주의 발효과정 중의 갈변도를 알아본 결과 포도주, 탁주, 쌀 포도 혼합 발효주 중 쌀 포도 혼합 발효주의 갈변도의 변화가 가장 컸으며, 발효 중 polyphenoloxidase activity와 hydroxymethyl furfural의 함량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효소적 갈변과 비효소적인 갈변이 동시에 진행되었고 효소적인 갈변반응보다는 비효소적인 갈변반응이 쌀 포도 혼합 발효주에서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갈변저해 첨가제 처리에 따른 갈변 기질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총 페놀 함량, 아미노산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변반응으로 인해 소진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중 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색도, Hue, intensity 값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A_{420}$(absorbance at 420 nm)와 $A_{520}$(absorbance at 520nm)의 합을 나타나는 intensity는 그 값이 대조구와 PVPP 처리 시험구에서는 1.0이 넘어 적포도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또 $A_{420}/A_{520}$는 포도주의 Hue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역시 대조구와 PVPP 처리 시험구에서 1.0이 넘는 값을 나타내 적포도주로서 부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L, a, b value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다. 쌀 포도 발효주의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와 polyvinylpolypyrrolidone를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otassium metabisulfite를 처리한 시험구가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Optimization of RNA Purification Method from Ecklonia cava Kjellman (Laminariales, Phaeophyceae)

  • Ahn, Jong-Sung;Woo, Seon-Ock;Kim, Jeong-Ha;Oh, Yoon-Sik;Oak, Jung-Hyun;Yum, Seung-Shic
    • ALGAE
    • /
    • 제19권2호
    • /
    • pp.123-127
    • /
    • 2004
  • A more rapid and efficient method to extract RNA from Ecklonia cava Kjellman (Laminariales, Phaeophyceae) was introduced in this study. Each step of the procedure was evaluated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each chemical in the lysis solution was determined. Tissue pulverization with PVPP and β-mercaptoethanol in the lysis solution were not essential for RNA extraction of this species. The highest yield and purity of E. cava RNA were obtained by the lysis solution containing 1% CTAB, 1 M NaCl, 0.7% PVP, 10mM EDTA and 100mM Tris-Cl (pH 9.0). Approximately 8μg of RNA was obtained from 200 mg of ground tissue. The ratios of the absorbance at 260 nm and 280 nm were from 1.6 to 1.8 and those of at 230 nm and 260 nm were from 1.8 to 2.0. The extracted RNAs obtain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have a sufficient quality for cDNA synthesis.

백포도주 양조중 페놀류의 함량과 갈변도 (Phenolics Content and Browning Capacity during the White Winemaking)

  • 송동훈;김찬조;노태욱;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7-793
    • /
    • 1988
  • 백포도주 양조시 페놀성분의 산화에 의한 갈변을 억제하여 색상과 풍미가 좋은 백포도주를 생산하고자 Golden Queen과 Neo-Muscat 및 Seibell-9110을 착즙전 또는 착즙후 아황산과 pectinase를 처리하여 과즙을 얻고 이를 $18{\sim}20^{\circ}C$에서 7-14일간 발효시켜 백포도주를 양조한 후 각 양조과정중 페놀류의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고 양조한 백포도주에 polyclar AT(PVPP)를 처리한 후 열처리기간에 따른 갈변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즙중의 충 페놀함량은 파쇄한 과육에 아황산 pet-tinase 병행 처리구의 과즙이 무처리구보다 Golden Queen에서 33%, Neo-Muscat 70%, Seibell-9110에서 40% 더 높았고 청징도와 과즙 수율도 더 높았다. 백포도주의 일반성분은 품종별, 처리구간별 큰 차이가 없었으나 아황산 pectinase 병행 처리구의 메탄을 함량이 타구에 비하여 높았다. 또한 과즙에 비하여 백포도주의 총 페놀함량은 25-50%, 색도는 $50{\sim}80%$ 낮았다. PVPP 처리로 과즙중의 flavonoid phenol 함량은 $10{\sim}24%$, non-flavonoid phenol 함량은 약 3%가 제거되었다. 열처리 $(45^{\circ}C)$ 기간중 백포도주의 갈변은 Neo-Muscat과 Golden Queen의 경우 각 처리구에서 420nm의 흡광도가 0.3 이하로 심하지 않았으나 Seibell-9110의 경우 특히 파쇄한 과육에 아황산과 pectinase를 병행 처리한 구에서 심하게 갈변 하였다.

  • PDF

최소가공기술을 이용한 오디 과실주스의 제조 (Preparation of Minimally Processed Mulberry (Morus spp.) Juices)

  • 김인숙;이준영;이순재;윤광섭;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1-328
    • /
    • 2004
  • 오디 과실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가공식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 일환으로 먼저 최소가공기술을 이용한 오디 과실주스 제조 방법을 조사하였다. 오디 과실의 물추출액을 면포여과, 감압여과(Whatman No. 4 filter paper를 이용한) 및 원심분리를 각각 실시한 결과 원심분리가 가장 좋은 청징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여러 여과보조제 및 청징제를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오디 과실즙의 색의 변화는 처리한 여과보조제, 청징제 및 청징 효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casei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PVPP는 오디 색소를 강하게 흡착하였으며, 그리고 청징효소 중 ${\alpha}-amylase$ 처리구가 가장 좋은 청징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음, 오디 과즙을 원심분리한 후 $0.01\;{\mu}m$ 막여과를 실시한 결과 오디주스의 청징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나 한외여과방법은 오디 색소의 강한 흡착으로 적절하지 않았다. 한편, 4가지 갈변저해제 처리에 따른 오디 과실주스의 갈변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ppm sodium hydrosulfite 처리구가 가장 갈변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아울러 0.1% L-ascorbic acid(L-AsA) 및 citric acid(CA)도 갈변억제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위의 3가지 갈변저해제를 2중 복합병행 처리한 결과 0.1% L-AsA+0.1% CA 처리구가 가장 좋은 갈변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오디주스의 최적 당/산비는 40-50이었으며, 또한 상업적 살균 온도($85-90^{\circ}C$)에서 처리시간은 10분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Characterization of Poly(vinyl phosphate-b-styrene) by Solid-State $^{31}P$ NMR and Titration

  • Li, Guang-Hua;Kim, Sang-Hun;Cho, Chang-Gi;Park, Tae-Joon;Kim, Yong-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5호
    • /
    • pp.504-509
    • /
    • 2006
  • Poly(vinyl phosphate-b-styrene) (PVPP-b-PS)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successfully from poly(vinyl alcohol-b-styrene) (PVA-b-PS) by reaction with phosphorus oxychloride and subsequent hydrolysis. The obtained block copolymers were slightly crosslinked, and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The total phosphorus content and the ratio of the differently bound phosphorus were obtained by both solid-state $^{31}P$ NMR and pH titration, but the results differed slightly. Characterization by energy dispersion X-ray analysis (EDS) or Rutherford back scattering (RBS), on the other hand, determined the total phosphorus contents, but the result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by solid-state $^{31}P$ N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