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ient Removal of Humic Substances in Preparing DNA Extract from Marine Sediments

해양퇴적물의 핵산추출물에서 humic substances의 효율적인 제거방법

  • Lee, Jung-Hyun (Marine Microbiology Lab.,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Shin, Hyun-Hee (Marine Microbiology Lab.,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Lee, HongKun (Marine Microbiology Lab.,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Kwon, Kae Kyoung (Marine Microbiology Lab.,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Ki, Sang-Jin (Marine Microbiology Lab.,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이정현 (한국해양연구소 생물부 미생물연구실) ;
  • 신현희 (한국해양연구소 생물부 미생물연구실) ;
  • 이홍금 (한국해양연구소 생물부 미생물연구실) ;
  • 권개경 (한국해양연구소 생물부 미생물연구실) ;
  • 김상진 (한국해양연구소 생물부 미생물연구실)
  • Received : 1998.04.30
  • Accepted : 1998.06.10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Molecular analyses of natural microbial communities are often dependent upon the obtainments of pure nucleic acids. The four methods (elution after agarose gel electrophoresis, G-75 microspin columns, hydroxyapatite mi-crospin columns, and polyvinylpolypyrrolidone (PVPP) microspin columns) were compared for the removal of PCR-inhibitory humic substances from the crude DNA extracts of marine sediment samples. The PVPP microspin columns have shown superior removal of humic substances from the crude DNA extract of marine sediment samples, with yield of $4.8{\mu}g/g$ (dry weight of sediment). The purified DNA by this rapid method was pure enough to amplify 1.5 kb fragment corresponding almost full length of 16S rRNA genes.

자연환경의 미생물군집을 분자생태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핵산의 분리가 필요하다. 해양퇴적물에서 핵산을 추출할 때 같이 추출되는 부식물질(humic substances)은 핵산중폭반응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네 가지의 방법, 아가로즈젤 전기영동후 용출, Sephadex G-75 젤, Hydroxyapatite 젤, 그리고 PVPP(poluvinylpolypyrrolidone) microspin column 방법에 대해 그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조산된 방법 중에서 PVPP microspin column을 이용하면 건조 퇴적물 1g당 $4.8{\mu}g$의 순수한 DNA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얻을 수 있었고, 이 방법으로 분리된 DNA를 PCR의 주형으로 사용한 결과 16S rRNA 유전자의 거의 전 범위에 해당하는 1.5 kb 크기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해양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