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Q-Part II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지지 측정을 위한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Part II의 타당도 (STRUCTURAL VALIDATION OF THE PRQ PART II (PERCEIVED SOCIAL SUPPORT) MEASURE FOR ADOLESCENTS)

  • 이은영;탁영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36-243
    • /
    • 1999
  • 방법론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메타 분석의 결과 사회적 지지의 연구 결과는 측정된 도구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RQ Part II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이론검증연구에서 건강 관련 행위와의 예측 타당도 검증은 이루어 졌으나, 한국에서의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PRQ-Part II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 검정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다면적인 개념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방법론의 향상을 위해서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한국청소년을 대상으로 PRQ-Part II 25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15문항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1에 해당하는 5가지 항목은 2개의 지도/정보(assistance/guidance), 3개의 정서적지지(intimacy)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요인 1을 '정서/지도/정보 지지'라고 명명하였다. 15문항의 PRQ-Part II한국 청소년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로 나타났다. 4가지의 요인 추출로 구성된 15문항의 PRQ-Part II가 부모-자녀 관계, 또는 대처에서 더 높은 상관계수로 구성 타당도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이에 청소년의 정신 건강의 완충 및 중재 변인으로서의 인지적 사회적 지지에 관심을 둔 이론 검정 연구 및 청소년 평가와 진단에서 15문항의 PRQ-Part II가 구성 타당도면에서 적절함을 제시한다.

  • PDF

후기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지지 및 대처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Coping in Late Adolescents)

  • 이은영;탁영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358-36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of female in late adolescents and its relationships. The underlying assumption is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based on internal working cognition affects 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77 female students of colleg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Parker, Tupling & Brown. 1979), Personal resources questionnaire : PRQ-part II (Weinert ' Brant, 1987), and Way of coping (Folkman & Lazarus, 198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ie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t-test. As a result. perceived social suppor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arental care and negatively with parental overprote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ping. Perceived social support differed according to parent-child relationship type. The group of 'affectionate constraint' high care and high overprotection. reported high perceived social support, but 'affectionless control'(low care and high overprotection) reported low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group of high perceived social support showed higher parental care and higher coping than low one. The group of high coping showed higher parental care, lower parental overprotection and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than low one. Findings from this study linking retrospective accounts of early parental relationships to current working models concerning the nature of supportive relationships are consistent with attachment theory that individual who, as children, experienced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that were independent-encourage. affectionate, and not overprotective developed working models of others as available to provide social support.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related to coping in dealing with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