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S(Power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3초

복합화력 발전소의 PMS 서버와 Client 간의 통신 패킷 추출 기법에 관한 연구 (Extraction Technique of Communication Packet between PMS server and Clients in Combined Cycle Power Plant)

  • 강필순;현석환;차동진;정재화;서석빈;안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81-6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특정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패킷을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추출된 통신 패킷은 일반적인 클라이언트가 특정 서버에 접속할 경우에 요구되는 드라이버를 제작하는 소스로 활용된다. 제안된 방식은 중계서버를 이용하여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많은 통신 패킷 중 필요한 패킷만을 추출하는데 이용된다 제안된 방식은 복합화력 발전소의 PMS 서버와 ProDAS 클라이언트 사이의 패킷 추출을 통해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식은 일반적인 서버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패킷 추출에도 응용할 수 있다.

  • PDF

Gas Turbine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Combined Cycle Power Plant

  • Kang, Feel-S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405-410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a gas turbine. The proposed system entitled C-Tune DAS plays an important role to make an analysis of the real-time operation of the gas turbine under maintenance. The designed LabVIEW based softwar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ir original functions, i.e., data acquisition, data analysis with display, and data storage. The data acquisition part receives data from a PMS (Plant Management System) server and two cFPs (Compact-Field Poin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ystem, it is applied to gas turbines in the combined cycle power plant in Korea.

전력계통 Peak-Shaving 성능향상을 위한 1일 부하곡선 생성 (Generation of Daily Load Curve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Power System Peak-Shaving)

  • 손수빈;송화창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41-146
    • /
    • 2014
  • 본 논문은 Peak Shaving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을 위한 예측 부하 곡선의 생성의 한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논하는 Peak Shaving 알고리즘은 대용량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 (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을 위한 PMS (Power Management System)의 장주기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위의 PMS는 주로 배터리에서 에너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데에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Peak Shaving 알고리즘이 사용되는데, 여기서 예측 부하곡선과 실제 부하곡선 사이의 불확실성이 나타난다. 원활한 에너지의 충,방전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주 단위의 표준화 방법과 계절별 부하의 특성을 고려한 예측 부하 곡선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비상전원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시스템 표준화 기술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with Emergency Power Function of Standardization Technology)

  • 홍경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87-192
    • /
    • 2019
  • 수요관리와 정전에 대한 비상전원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전력저장시스템으로 비상발전설비가 필요한 빌딩 및 공장건축 시에 투자비를 최소화하고, 상시 전력비를 절감함으로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평상시에 STS(Static Transfer Switch)를 통해 부하에 계통 전력을 공급하고 PCS는 계통에 병렬로 연계되어 수요관리를 수행한다. EMS는 수요예측을 통한 전력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ESS에 충방전 지령을 PMS(Power Management System)로 하달하고 PMS는 다시 PCS 제어기로 지령을 전달하여 시스템을 운용한다. 정전시에는 STS가 계통으로부터 빠르게 이탈되면서 PCS는 독립 전원이 되어 부하 측에 정전압/정주파수의 전력을 공급할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ESS에 대한 실 계통 연계 및 독립 운전 성능 검증을 통한 신뢰성을 확보할수 있고, 저탄소 녹색성장 기술의 효율적 전력망과 연계 운영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ESS 연계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한 불규칙한 전력 품질개선, 피크부하 기여도 제고가 가능하다. 또한 현재 석탄 화력이 담당하고 있는 주파수추종 예비력을 ESS로 대체함에 따라 연료비가 높은 LNG 발전기 가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대효과가 있다.

무인기용 연료전지 추진 시스템의 동력 관리 (Power Management of Fuel Cell Propulsion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 김태규;심현철;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7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3-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무인기용 추진 시스템으로 연료전지를 사용하였다. 연료전지 추진 시스템은 고항속 무인기를 위한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이상적인 대체 동력원이다. 연료전지 동력 시스템은 기폰 배터리의 5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액체상태로 저장되는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수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수소 생성 시스템은 촉매 반응기, 펌프, 연료, 카트리지, 분리기로 구성된다. 연료전지와 리륨-폴리머 배터리의 하이브리드 동력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모터, 펌프, 팬은 연료전지 시스댐의 피트백 신호에 따라 배터리 동력으로 작동되고 배터리는 연료전지의 잉여 동력으로 재충전되었다.

  • PDF

PMS HILS 구축을 위한 Dual Fuel Generator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Dual Fuel Generator Modeling and Simulation for Development of PMS HILS)

  • 황준태;홍석윤;권현웅;이광국;송지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13-61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PMS(Power Management System) HILS(Hardware In the Loop Simulaition) 가상 제어기 환경 구축을 위하여 디젤과 LNG를 연료로 사용가능한 DF(Dual Fuel) Generator를 MATLAB/SIMULINK 기반으로 모델링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 결과 모니터링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DF Generator의 주요 구성은 기계적 동력을 공급하는 DF 엔진과 기계적 동력을 받아 전력을 생산 및 공급을 하는 동기발전기가 있다. DF 엔진의 서브모델은 throttle body, intake manifold, torque generation 그리고 mass of LNG and diesel quantity 가 있다. 또한, 단일 용량을 초과하는 전체 부하를 공유하기 위하여 병렬 연결된 DF Generator 와 governor 모델을 이용하여 부하 분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가상 부하에 따른 예상 결과의 비교를 통해 DF Generator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LabVIEW 기반의 가스터빈 데이터취득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as Turbine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LabVIEW)

  • 강필순;차동진;정재화;서석빈;안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70-27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LabVIEW 기반의 가스터빈 데이터 취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C-Tune DAS로 명명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가스터빈의 유지/보수시 실시간 동작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LabVIEW 소프트웨어는 고유 기능별로 데이터 취득부, 데이터 분석 및 표시부,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된다. 데이터 취득부를 통해 PMS 서버와 두 대의 cFP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복합화력 발전소의 상용 가스터빈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LabVIEW 기반의 가스터빈 데이터 취득 시스템 (Gas Turbine Data Acquisition System based on LabVIEW)

  • 강필순;차동진;정재화;서석빈;안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082-108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LabVIEW 기반의 가스터빈 데이터 취득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C-Tune DAS로 명명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가스터빈의 유지/보수시 실시간 동작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LabVIEW 소프트웨어는 고유 기능별로 데이터 취득부, 데이터 분석 및 표시부,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된다. 데이터 취득부를 통해 PMS 서버와 두 대의 cFP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복합화력 발전소의 상용 가스터빈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퍼지 LP 기반 전력망 Peak Shaving 알고리즘 (Fuzzy LP Based Power Network Peak Shaving Algorithm)

  • 온성민;김정수;송화창;장병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54-760
    • /
    • 2012
  • 본 논문은 MW 스케일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BESS)을 위한 PMS (power management systems)의 장기간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하나로서 peak shaving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PMS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배터리 모듈의 AC 입출력을 제어하는 데 있다. 1일전 부하 곡선이 제공된다는 가정 하에서, 오프라인 peak shaving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 오프라인 알고리즘의 결과를 적용할 경우 부하 곡선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에 의하여 그 적용 결과가 실시간 운전에서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MS의 peak shaving 문제에서 부하 곡선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퍼지 LP 문제 형태로 정식화하고 그 해법과 실시간 운전 시 적용 방안에 대하여 논한다.

전기화학적 기법에 의한 미생물연료전지 내부저항 특성 파악 및 전력관리시스템 연계 전압 변화와 유기물 저감에 미치는 영향 (Identification of Internal Resistance of Microbial Fuel Cell by Electrochemical Technique and Its Effect on Voltage Change and Organic Matter Reduction Associated with Power Management System)

  • 장재경;박혜민;김태영;양윤석;여정진;강석원;백이;권진경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20-228
    • /
    • 2018
  • The internal resistance of microbial fuel cell (MFC) using stainless steel skein for oxidizing electrode was investiga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voltage generation were identified.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power management system (PMS) on the usability for MFC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pollutants. The performance of a stack microbial fuel cell connected with (PMS) or PMS+LED was analyzed by the voltage generation and organic matter reduction.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the unit cells was found to be $5.82W/m^3$ at $200{\Omega}$. The maximum current density was $47.53A/m^3$ without power overshoot even under $1{\Omega}$. The ohmic resistance ($R_s$) and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R_{ct}$) of the oxidation electrode using stainless steel skein electrode, were $0.56{\Omega}$ and $0.02{\Omega}$, respectively. However, the sum of internal resistance for reduction electrode using graphite felts loaded Pt/C catalyst was $6.64{\Omega}$. Al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nal resistance, the current interruption method was used by changing the external resistance as $50{\Omega}$, $300{\Omega}$, $5k{\Omega}$. It has been shown that the ohm resistance ($R_s$) decreased with the external resistance. In the case of a series-connected microbial fuel cell, the reversal phenomenon occurred even though two cells having the similar performance. However, the output of the PMS constantly remained for 20 hours even when voltage reversal occurred. Also the removal ability of organic pollutants (SCOD) was not reduc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uffering effec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voltage reversal occur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bial fuel cell did not have a serious effect on the energy loss or the operation of the microbial fuel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