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MA cement augment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PHILOS plate fixation with polymethyl methacrylate cement augmentation of an osteoporotic proximal humerus fracture

  • Kim, Do-Young;Kim, Tae-Yeong;Hwang, Jung-Tae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3호
    • /
    • pp.156-158
    • /
    • 2020
  • PHILOS plate fixation in osteoporotic proximal humerus fracture of old age is well-known for high complication rate, especially metal failure, providing various augmentation techniques, such as calcium phosphate cement, allogenous or autologous bone graft. We report a case of polymethyl methacrylate augmentation to provide appropriate reduction with a significant mechanical support. This can be a treatment option for displaced unstable osteoporotic proximal humerus fracture with marked bony defect.

LiF-maleic acid 첨가 calcium aluminate 골시멘트 및 CA-PMMA 복합 골시멘트가 백서 두개골 결손부 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F-maleic acid added calcium aluminate hone cement & CA-PMMA composite bone cement on the healing of calvarial defect6))

  • 신정아;윤정호;오승한;백정원;최세영;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753-76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istologically the effect of LiF-maleic acid added calcium aluminate(LM-CA) bone cement & CA-PMMA composite bone cement on the healing of calvarial defect in Sprague-Dawley rats. The critical size defects were surgically produced in the calvarial bone using the 8mm trephine bur. The rats were divided in three groups : In the control group, nothing was applied into the defect of each rat. LM-CA bone cement was impla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1 and CA-PMMA composite bone cement was impla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2. Rats were sacrificed at 2, 8 weeks after surgical procedure. The specimens were examined by histologic analysis, especially about the bone-cement interface and the response of surrounding tiss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control group, inflammatory infiltration was observed at 2 weeks. At 8 weeks, periosteum and duramater were continuously joined together in the defect area. But the center of defect area was filled up with the loose connective tissue. 2. In the experimental group 1, the bonding between implanted bone cement and the existing bone was seen, which more increased in 8 weeks than 2 weeks. Inflammatory infiltration and the dispersion of implanted bone cement particles were seen in both 2 weeks and 8 weeks. 3. In the experimental group 2, implanted bone itself had a dimensional stability and no bonding between implanted bone cement and the existing bone was seen in both 2 weeks and 8 weeks. Implanted bone cement was encapsulated by fibrous connective tissue. In addition, inflammatory infiltration was seen around implanted bone ce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hen LM-CA bone cement or CA-PMMA composite bone cement was implanted in rat calvarial defect, LM-CA bone cement can be used as a bioactive bone graft material due to ability of bonding to the existing bone and CA-PMMA can be used as a graft material for augmentation of bone-volume due to dimensional stability.

Repeat Vertebroplasty for the Subsequent Refracture of Procedured Vertebra

  • Choi, Sang Sik;Hur, Won Seok;Lee, Jae Jin;Oh, Seok Kyeong;Lee, Mi K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6권1호
    • /
    • pp.94-97
    • /
    • 2013
  • Vertebroplasty (VP) can effectively treat pain and immobility caused by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Because of complications such as extravasation of bone cement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adjacent vertebral fractures, some practitioners prefer to inject a small volume of PMMA. In that case, however, insufficient augmentation or a subsequent refracture of the treated vertebrae can occur. A 65-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unrelieved severe low back and bilateral flank pain even after she had undergone VP on the $1^{st}$ and $4^{th}$ (L1 and L4) lumbar vertebrae a month earlier. Radiologic findings showed the refracture of L1. We successfully performed the repeat VP by filling the vertebra with a sufficient volume of PMMA, and no complications occurred. The patient's pain and immobility resolved completely three days after the procedure and she remained symptom-free a month later. In conclusion, VP with small volume cement impaction may fail to relieve fracture-induced symptoms, and the refracture of an augmented vertebral body may occur. In this case, repeat VP can effectively resolve both the persistent symptoms and problems of new onset resulting from refracture of the augmented vertebral body due to insufficient volume of bone cement.

Bone Cement Augmentation of Pedicular Screwing in Severe Osteoporotic Spondylolisthetic Patients

  • Kim, Hyeun-Sung;Park, In-Ho;Ryu, Jae-Kwang;Kim, Seok-Won;Shi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1호
    • /
    • pp.6-10
    • /
    • 2007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bone cement augmentation of pedicular screwing in severe osteoporotic spondylolisthetic patients.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spondylolisthesis (8 : spondylolytic spondylolisthesis 12 :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who had undergone pedicular screwing and interbody fusion for osteoporotic lumbar spine (T-score on bone mineral density<-3.0) from 2002 to 2005 were reviewed. Mean age was 62.3 years with 3 male and 17 female patients.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4 months. Average T-score on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3.62. After decompression of neural elements, about 6cc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as injected into the each vertebral body through transpedicular route. All patients underwent one level interbody fusion and pedicular screw fixation. Clinical outcome was assessed using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on the last clinical follow-up. In addition, a modified MacNab's grading criteria was used to objectively assess patient's outcome postoperatively. Radiographic analysis of sagittal contour was assessed preoperatively, immediately post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including fusion rate. Results : Eighteen of 20 patients were graded as excellent or good according to the modified MacNab's criteria. An significant improvement of ODI was achieved in both groups. Mean sagittal angle at the preoperative state, postoperative state and at the last follow-up state was $11.0^{\circ},\;20.1^{\circ}$ and $18.3^{\circ}$, respectively, with mean sagittal angle correction gain $7.3^{\circ}$. Firm fus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There were one compression fracture above the fused segment after 6 months follow-up and one case of seroma. But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lated to bone cement leakage and pedicular screwings such as screw pullout or screw cut-up. Conclusion : Bone cement augmentation of pedicular screwing can be an effective procedure for osteoporotic lumbar spine in spondylolisthetic patients.

등쪽 관골절구 결손을 가진 진도견의 인공 대퇴 관절 전치환술 (Total Hip Replacement in a Jindo Dog with Dorsal Acetabular Rim Deficiency: a Case Report)

  • 허수영;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1-124
    • /
    • 2014
  • 7년령의 암컷 진도견이 뒷다리 파행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상에서 대퇴관절의 신전시 염발음과 통증을 보였고 방사선 검사상에서 양측 대퇴 관절 이형성증에 의한 퇴행성 관절염과 오른쪽 부위의 전측 대퇴 탈구를 보여 주었다. 오른쪽 관절의 탈구의 치료를 위해 인공 대퇴 관절 전치환 술을 실시하였다. 수술 중 오른쪽 등쪽 관절절구의 결손으로 인한 인공 관절절구 컵의 탈구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등쪽 관절절구의 결손을 잠김 금속판과 골시멘트를 이용하여 보강하였다. 수술 후 환자는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오른쪽 대퇴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과 근육량이 개선 되었다. 등쪽 관골절구 결손을 가진 대퇴 관절 탈구에서 잠김 금속판과 골시멘트 이용하여 인공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증례와 같은 수술 기법이 등쪽 관골절구 결손이 있을 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흉요추부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수술적 치료: 골시멘트 보강술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 고정 (Surgical Treatment of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at Thoraco-Lumbar Levels: Only Pedicle Screw Constructs with Polymethylmethacrylate Augmentation)

  • 전득수;백종민;박지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27-335
    • /
    • 2019
  •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 시 골시멘트(polymethylmethacrylate) 보강의 방사선적 효용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에서 골시멘트 보강술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 고정을 시행한 20예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6개월이었으며, 인구학적인 자료,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 유합 분절, 척추경 나사의 사용 개수 및 골시멘트 주입량은 의무기록을 통하여 검토되었다. 방사선적인 결과를 산출하기 위하여 시간 순차적(수술 전, 수술 직후, 술 후 6주, 술 후 3, 6개월 및 술 후 1년) 추시를 통해 방사선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총 20명의 환자(여자 16예[80.0%]; 평균 나이, 69.1±8.9세)가 포함되었다. 평균 BMD는 -2.5±0.9 g/cm2, 각각의 추체당 평균 골시멘트 주입량은 6.3 ml였다. 술 전 측정한 후만각(Cobb angle)은 32.7°±7.0°였으며, 술 후 측정값은 8.7°±6.9° (p<0.001)로 큰 호전을 나타내었고, 교정은 술 후 시간 순차적인 추시에서도 유지됨을 보였다. 기구 고정 후 후만각, 설상각, 시상지표 또한 유사한 호전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골절된 추체의 전방 높이 또한 수술 전 11.0±5.0 mm에서 수술 후 18.5±5.7 mm (p=0.006)로 호전되었고 3, 6개월 및 1년간의 추시 간에도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결론: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에서 골시멘트 보강술을 이용한 척추경 나사 고정은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생각되며, 이 술식을 통해 국소 흉요추부 후만의 충분한 교정을 얻을 수 있고 술 후에도 잘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골다공증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olymethylmethacrylate-Augmented Screw Fixation for Stabilization of the Osteoporotic Spine : A Three-Year Follow-Up of 37 Patients

  • Moon, Bong-Ju;Cho, Bo-Young;Choi, Eun-Young;Zhang, Ho-Yeo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4호
    • /
    • pp.305-311
    • /
    • 200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radiological findings,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lumbar stenosis and osteoporosis after the use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ugmentation of a cannulated pedicle screw. Methods : Thirty-seven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inal stenosis and osteoporosis (T-score < -2.5) underwent lumbar fusion using the Dream Technology Pedicle Screw ($DTPS^{TM}$, Dream Spine Total Solutions, Dream STS, Seoul. Korea) between 2005 and 2007.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Prolo scale. Radiologic findings were documented through computed tomography (CT) and plain films. Results : Thirty-seven patients were evaluated and included, 2 males and 35 females with an averag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0.47g/cm^2$.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8.7 (range, 57-88). The preoperative VAS for low back and leg pain ($7.87{\pm}0.95$ and $8.82{\pm}0.83$) were higher as compared with postoperative VAS ($2.30{\pm}1.61$ and $1.42{\pm}0.73$)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06, p = 0.003). According to the Prolo scale, 11, 22, one and three patients were in excellent, good, fair and poor conditions, respectively. The average amount of the injected cement per one cannulated screw was $1.83{\pm}0.11\;mL$.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favorable outcome both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for 37 patients who underwent lumbar fusion using $DTPS^{TM}$ and PMMA. Based on the results, the use of this surgical method can be a safe and effective option for the operation on the osteoporotic spine.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새로운 수술기법에 관한 생체역학적 분석 (A Biomechanical Study on a New Surgical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relation to Osteoporosis of Varying Degrees)

  • 김봉주;이성재;권순용;탁계래;이권용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1-41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 대한 다양한 수술기법을 골밀도 변화에 따라 생체역학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구현된 모델들은 압박 고관절 나사만을 이용하여 시술한 모델 (Type I), 삽입된 압박 고관절 나사 주위에 시멘트 영역을 확보한 뒤 골 시멘트로 보강하는 시술을 구현한 모델 (Type II),대학교추가의 골소실이 없이 시멘트를 가압하여 주입하는 시술을 구현한 모델 (TypeIII)의 3가지 형태로 구현하였다. 시술 상황에 따라 골절부위와 삽입물의 경계면 주위에 접촉요소를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마찰계수를 설정하였으며, 골다공증 정도 (Singh Indices, II∼V)에 따라 대퇴골의 물성치를 적절하게 적용시켰다. 각 모델에 있어 골밀도 변화에 따른 수술기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자를 분석하였다 : (a) 대퇴골두 내에서의 von Mises 응력 부피비, (b) 대퇴골두 망상골과 인공 삽입물내에서의 최대 von Mises 응력 (PVMS), (c) 대퇴골두 내에서의 최대 von Mises 변형률 (MVMS), (d) 골절 부위와 인공 삽입물 주위에서의 미세운동량. 수술기법 중 Type III가 대퇴골두 내에서 골밀도 변화에 상관없이 가장 낮은 PVMS, MVMS 수치를 보여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시술법 (Type I,II)에 비해 내고정 실패 가능성이 가장 적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골밀도가 낮을 때에는 Type III의 수술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삽입물 주위에서 미세운동량을 분석한 결과, Type III의 수치가 다른 시술법들의 15∼20%로 나타나 시멘트를 가 압하여 보강하는 시술법이 삽입물 주위의 미세운동을 억제하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이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압박 고관절 나사를 이용한 대퇴골두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골 시멘트를 가압하여 보강하는 방법이 골밀도가 낮은 환자에 있어 인공삽입물의 내고정 및 골유합에 가장 큰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영상 분석과 유한요소법을 통한 추체 성형술의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생체 역학적 효과 분석 (A Biomechanical Study on the Various Factors of Vertebroplasty Using Image Analysi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 전봉재;권순영;이창섭;탁계래;이권용;이성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1-1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의료 영상과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골절된 척추체의 치료를 위해 골 시멘트를 주입하는 추체 성형술(vertebroplasty)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에 대해 생체 역학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의료 영상을 통해 구현된 모델들은 분석하고자 하는 인자에 대하여 크게 단분절과 다분절 유한요소 모델의 2 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 단분절 유한요소 모델을 통해 골다공증의 정도, 주입된 골 시멘트의 양, 골 시멘트의 주입량 및 환자에게 주입된 골 시멘트 양의 적절성을 평가하였으며, 골 시멘트의 주입이 척추체의 구조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척추체 상종판에 수직 압축하중을 가하여 이때의 최대 수진 변위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단분절 척추체의 강성도(stiffness) 값을 산출한 뒤, 정상 상태의 척추체의 강성도 값으로 정규화 하였다. 다분절 유한요소 모델의 경우, 압박 골절 상태를 적용하여 척추 만곡의 변화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골절의 정도를 3 가지로 구현하였으며, 모델의 최상부에 압축 하중을 가한 후의 척추 만곡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추체 성형술에 대한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분석 결과, 추체 성형술을 통해 환자의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BMD 50mg/$m\ell$이상)와 환자의 척추체 망상골 부피의 약 15%에 해당하는 골 시멘트 주입 시 가장 큰 척추체의 구조적 안정성의 증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척추 골절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2.8$^{\circ}$의 정상적인 후만곡을 가지는 T12∼L2 운동 분절이 골절의 모델링 후 약 9∼17$^{\circ}$의 큰 전만곡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척추 만곡의 변화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급격한 척추 만곡의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절의 정도가 심할수록 척추 변형은 더욱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전반적으로 추체 성형술은 골 시멘트의 주입량 또는 골밀도에 상관없이 약화된 척추체의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의 증가 효과를 가져왔으며 골절로 인해 추체의 높이가 손상되었을 경우 이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한 인자의 하나임을 나타내는 결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