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2.5/PM-10 Ratio

검색결과 1,570건 처리시간 0.042초

PET/CT 검사에서 Gastrointestinal Cancer 환자의 Liver 추가촬영에 대한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useful on the additional PET/CT Liver scan)

  • 박세윤;이화진;이무석;김정욱;지혜인
    • 핵의학기술
    • /
    • 제20권2호
    • /
    • pp.46-48
    • /
    • 2016
  • Gastrointestinal cancer 환자의 약 20%가 진단 당시에 이미 간에 전이가 된 상태에서 발견된다. Gastrointestinal cancer 환자에서 PET/CT 검사 시 Liver 추가 촬영을 함으로써 영상의 질적 변화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검사대상은 2015년 9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Gastrointestinal cancer 진단을 받은 152명을 대상으로 PET/CT 검사 후 Liver 부위를 추가를 촬영하였다. Standard 영상과 추가 영상에서 같은 Level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Signal to Noise Ratio(SNR), Standardized Uptake Value(SUV), Tumor/Normal(T/N) ratio의 변화를 통한 영상의 질적변화를 평균값을 산출하여 비교 평가한 결과 SNR은 standard $17.7{\pm}10.3$, 추가영상 $22.3{\pm}9.7$, $SUV_{max}$는 각각 $6.7{\pm}2.8$$7.6{\pm}3.2$, T/N ratio는 standard는 $2.1{\pm}0.6$, 추가촬영에서는 $2.5{\pm}0.8$로 분석되었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R의 변화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Liver 추가 촬영에 따른 SNR과 $SUV_{max}$, T/N ratio는 상대적으로 Standard 보다 높게 나왔고 Liver 추가 촬영을 통한 영상의 질적 향상은 간 전이가 있는 암 환자를 판독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검사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절제된 비소세포암에서 FDG 섭취비와 Glut-1 발현 정도를 이용한 종격동 림프선 전이 여부 예측 (The Ability of FDG Uptake Ratio and Glut-1 Expression to Predict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조석기;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06-512
    • /
    • 2010
  • 배경: 이 연구는 비소세포암 환자에서 종격동 임파선 전이 여부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PET/CT에서 종격동 임파선과 폐종괴의 FDG 섭취비와 폐종괴의 Glut-1 발현 정도를 이용하여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PET/CT에서 폐종괴와 종격동 임파선에서 측정할 수 있는 정도의 FDG섭취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FDG 섭취비는 종격동 임파선의 섭취를 폐종괴의 섭취로 나누어 구하였다. 폐종괴의 Glut-1 발현은 발현 면적으로 나타내었다. 결과: 폐종괴와 종격동 임파선의 mSUV값은 악성군에서 각각 $7.4{\pm}2.2$$4.2{\pm}2.2$, 양성군에서 각각 $7.6{\pm}3.7$$2.8{\pm}6.9$였다. FDG의 섭취비는 악성군과 양성군에서 각각 $0.58{\pm}0.23$$0.45{\pm}0.20$ (p<0.05)였다. FDG 섭취비와 Glut-1 발현 정도를 결합한 모델 중에서 {p/(1-p)}=ratio+glut+ratio${\times}$glut의 식으로 표시된 모델이 FDG 섭취비만을 이용한 모델 보다 정확히 종격동 임파선의 악성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 염증성 폐질환의 병력이 있는 일부 폐암 환자에서 Glut-1 발현 정도를 고려한 FDG 섭취비를 분석한 모델은 종격동 임파선의 악성 정도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아산지역의 황사/비황사시 PM$_{2.5}$, PM$_{10}$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M$_{2.5}$, PM$_{10}$ Concentration at Asian and Non-Asian Dust in Asan Area)

  • 정진도;황승민;최희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111-1115
    • /
    • 2008
  • 아산 호서대 지역에서 대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PM$_{2.5}$와 PM$_{10}$의 이온성분과 중금속성분 분석을 통해 농도 특성을 분석하고 황사 발생에 따른 농도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황사시 미세먼지의 입경별 평균농도는 비황사시에 비해 큰 증가를 보였으나, PM$_{2.5}$ 비율은 79.7%에서 40.1%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원인은 2.1 $\mu$m를 기준으로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로 구분하여 질량농도를 분석한 결과 황사시 조대 입자가 크게 증가하여 PM$_{2.5}$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황사시 이온 성분 농도의 변화는 미세입자 영역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대입자 영역에서는 Ca$^{2+}$이온이 약 40배 정도 증가하였고 Na$^+$, SO$_4{^{2-}}$이온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금속 성분의 분석 결과 황사시 Mn, Fe, Zn, Al 순으로 증가폭이 컸으나 질량농도로 보았을 때 Al이 가장 큰 증가량을 보였다.

라이다와 스카이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서울지역 라이다 비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Lidar Ratio Determined from Lidar and Sky Radiometer Measurements in Seoul)

  • 김만해;김상우;윤순창;;손병주
    • 대기
    • /
    • 제21권1호
    • /
    • pp.57-67
    • /
    • 2011
  • 2006년 3월부터 4년간 서울대학교에서 관측한 라이다와 스카이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로부터 에어러솔의 라이다 비를 산출하고 그 계절 변화 특성을 살펴 보았다. 서울지역의 라이다 비는 여름철에 $68.1{\pm}16.8$ sr로 가장 높고 점차 감소하여 겨울철에 $57.2{\pm}17.9$ sr로 가장 낮았으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전 기간 동안 산출된 라이다 비가 30 sr에서 최대 110 sr까지의 범위에서 분포하며 관측 전 기간의 표준편차가 16.46 sr인 것을 감안하면 계절변동은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이처럼 계절 변동이 약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도심지역에 해당하는 서울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연중 인위적인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라이다와 스카이 라디오미터 관측으로 얻은 옹스트롬 지수, 편광소멸도 및 에어러솔 광학두께와 산출된 라이다 비의 관계도 살펴 보았다. 옹스트롬 지수와 편광소멸도는 음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 에어러솔 입자의 크기가 클 경우 비구형을 띄며 크기가 작을수록 구형에 가까워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이다 비가 작게 나타나는 깨끗한 날을 제외하면 라이다 비는 옹스트롬 지수가 증가할수록 (편광소멸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가졌다. 이를 바탕으로 에어러솔 광학두께가 하위 10%에 해당하는 깨끗한 날과 옹스트롬 지수가 하위 10%에 해당하는 황사입자가 우세한 사례, 옹스트롬 지수가 상위 10%에 해당하는 오염물질이 우세한 사례로 나누어 라이다 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오염물질이 우세한 사례에서의 라이다 비는 $62.2{\pm}13.2$ sr로 기존의 오염물질에 의한 라이다 비와 잘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깨끗한 날과 황사가 우세한 사례의 경우는 각각 $45.0{\pm}9.5$ sr와 $51.7{\pm}13.7$ sr로 나타나 선행 연구 결과보다는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이는 앞에서 언급하였다시피 도심지역에 해당하는 서울은 항상 주변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오염물질의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부산 구덕산 미세먼지의 금속성분 및 이온성분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Elements Concentration in PM10 at Guducsan in Busan)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15-72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elements concentrati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ransport path, and factor analysis in $PM_{10}$ at Guducsan in Busan in the springtime of 2015. $PM_{10}$ concentration in Guducsan and Gwaebeopdong were $59.5{\pm}9.04{\mu}g/m^3$ and $87.5{\pm}20.2{\mu}g/m^3$, respectively. Contribution rate of water-soluble ions and secondary ion in $PM_{10}$ concentration in Guducsan were 37.0% and 27.8% respectively. [$NO_3{^-}/SO{_4}^{2-}$] ratio and contribution rate of sea salt of $PM_{10}$ in Guducsan and Gwaebeopdong were 0.91 and 1.12, 7.0% and 5.3%,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backward trajectory analysis indicates that $PM_{10}$ concentration, total inorganic water-soluble ions and total secondary ions were high when the air parcels moved from Sandong region in China than non-Sandong and northen China to Busan area.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t Guducsan indicates that factor 1 was anthropogenic source effects such as automobile emissions and industrial combustion processes, factor 2 was marine sources such as sea salts from sea, and factor 3 was soil component sources.

장기간 (1989 ~ 2012) 측정자료를 이용한 용인-수원지역에서의 PM10 및 PM2.5의 오염특성 분석 (질량농도 중심) (PM10 and PM2.5 Characterization based on Mass Concentration Long-term (1989 ~ 2012) Database in Yongin-Suwon Area)

  • 임효지;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9-222
    • /
    • 2015
  • Fine and coarse PM had been collected by LVCI (low volume cascade impactor) and HVAS (high volume air sampler) during January 1989 to April 2012 at Kyung Hee University, Global Campus located on the boarder of Yongin and Suwon. The database of PM mass concentration was constructed and then intensively and extensively investigated to understand monthly, seasonal, and annual patterns of each PM behavior. Especially the study separated all the PM data into the 5 Period Zones, which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soci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at might be influencing local ambient air quality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The overall $PM_{10}$ level had been continuously decreased until 2005 and after then was staggering due to rapidly increasing $PM_{2.5}$ level in $PM_{10}$. The annual average of $PM_{2.5}$ concentration varied from $34.3{\mu}g/m^3$ to $59.0{\mu}g/m^3$,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e 2015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The $PM_{2.5}$ level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haze events, while both $PM_{10}$ and $PM_{2.5}$ levels were associated with Yellow storm events. Daily concentrations of $PM_{2.5}$ were ranged $13.1{\sim}212.9{\mu}g/m^3$ in haze days and $33.6{\sim}124.6{\mu}g/m^3$ in Asian dust days. The study also intensively investigated annual and seasonal patterns of $PM_{2.5}/PM_{10}$ ratios.

배양액 종류가 B6D2F1 마우스 배아발생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ype of Culture Media on B6D2F1 Mice Oogenesis)

  • 유창석;박기상;서병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25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ype of culture media (BM, G2, OS, TCM, and MEM) on B6D2F1 mice o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B6D2F1/CrljOri $F_1$ mice were utilized in order to maximize oogenesis. Also we used TCM-199, Dulbecco's medified Eagle's medium (DMEM), embryo culture medium (Fertilization medium, Cleavage medium, Blastocyst medium), G series medium and One step medium. In vitro maturation was highest in BM followed by the order of OS, MEM, TCM and G2 ($90{\pm}2.8%>88{\pm}3.2%>85{\pm}4.9%>78{\pm}10.2%>64{\pm}7.7%$, respectively). To note, the G2 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the fertilization rate was highest in the G2 group followed by BM, OS, TCM, and MEM ($87{\pm}7.2%>85{\pm}6.9%>74{\pm}14.0%>71{\pm}13.8%>2{\pm}1.4%$, respectively). The MEM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The developmental rate was highest in the OS group followed by the G2 group and the BM group albei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73{\pm}11.6%>71{\pm}9.2%>66{\pm}10.4%$). Of note, all cells of the TCM and MEM groups were died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The zona hatched rate ($51{\pm}9.8%$ vs. $50{\pm}9.1%$ vs. $47{\pm}7.2%$ for BM, G2, and OS respectively) and attached rate ($45{\pm}12.3%$ vs. $38{\pm}16.1%$ vs. $37{\pm}11.5%$ for BM, G2, and OS respectively) were not different amongst group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otal cell numbers ($74{\pm}13.9$ vs. $64{\pm}9.2$ vs. $76{\pm}6.7$ for BM, G2, and OS respectively), ICM cell numbers ($20{\pm}1.9$ vs. $14{\pm}1.8$ vs. $15{\pm}2.1$), TE cell numbers ($55{\pm}12.5$ vs. $49{\pm}10.7$ vs. $61{\pm}5.9$), % ICM ($30{\pm}2.8%$ vs. $24{\pm}7.0%$ vs. $22.8{\pm}2.2%$) and ICM:TE ratio ($1:2{\pm}0.5$ vs. $1:3.1{\pm}0.8$ vs. $1:3.1{\pm}0.5$) amongst groups. In summary, these results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to maximize culture condition for in vitro fertilization on B6D2F1 mice.

자주식(自走式)퇴비교반기 개발을 위한 제조방법별 양송이 퇴비배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mushroom compost produced by different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a self-propelled compost turner)

  • 유병기;이성현;이찬중;김영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0-154
    • /
    • 2017
  • 야외발효 양송이 퇴비배지를 저비용 고효율로 제조하기 위하여 자주식교반기를 개발하여 굴삭기와 퇴비혼합기, 자주식교반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퇴비의 균일도와 기계류의 특징과 성능을 비교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의 재료는 볏짚과 계분을 건물기준 3:1로 혼합하고 사용하고 마지막 교반이 끝난 후 퇴비더미 단면의 내부 온도 분포, 배지의 함수율과 건물에 대한 회분비율 및 균일도를 조사하였다. 퇴비가 제조된 후 관행, 배지혼합기, 자주식교반기에서 함수율은 $69.9{\pm}0.54$, $72.1{\pm}0.15$, $74.5{\pm}0.82%$였고, 제조된 각각의 퇴비에서 볏짚의 길이를 측정했을 때 $47.5{\pm}15.4cm$, $24.9{\pm}10.1cm$, $31.0{\pm}10.6cm$로 나타났다. 부숙도의 기준으로 표시한 건물 중 회분은 $25.0{\pm}6.2%$, $33.6{\pm}4.2%$, $28.2{\pm}1.1%$였다. 볏짚의 길이 부숙도의 편차 등은 퇴비혼합기와 자주식교반기에서는 회전날개의 타격 선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자주식교반기는 9 m/s, 퇴비혼합기는 21.5 m/s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장 균일하게 양송이 퇴비배지를 만드는 기계는 자주식교반기로 판단되었다.

줄녹색박각시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Cephonodes hylas (Linne) (Sphingidae: Lepidoptera))

  • 여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0-307
    • /
    • 1995
  • 치자나무의 실생묘포장에서 잎을 식해하는줄녹색박각시의 생활사를 1984년부터 1985년까지 남해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줄녹색박각시의 산란기간은 5월 하순부터 26일간이었고, 평균 20.4개의 알을 기주 식물의 잎 뒷면에 산란하였다. 산란후 14일부터 16일 사이에 부화하고, 부화율은 97.6%였다. 알은 타원형이고, 크기는 지름이 1.01mm 길이가 1.14 mm이고 난기간은 14.6일이다. 유충의 평균 길이는 1령이 $3.52\pm$1.01 mm, 2령이 $6.46\pm$0.45mm, 3령이 $13.19\pm$4.27mm, 4령이 $24.08\pm$2.22mm, 5령이 $43.71\pm$5.62 mm이고, 유충의 평균체중은 1령이 $13.34\pm$2.41mg, 2령이 $29.83\pm$6.88mg, 3령이 $76.64\pm$31.31mg, 4령이 $292.09\pm$107.70mg, 5령이 $2,144.84\pm$760.70mg이다. 유충기간은 7월부터 10월까지로 1령이, 12일, 2령이 36일, 3령이 32일, 4령이 16일, 5령이 20일로 총유충기간은 116일이었고, 유충기간 동안에 1마리의 유충이 실생묘 17.18주를 가해하였다. 제5령 유웅이 종령유충으로 평균 15 mm 땅속에 들어가 토립으로 집을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월동하며, 번데기의 평균 길이는 33.6mm이고, 평균 체중은 2,032mg이다. 성충은 이듬해 5월 중순에서 하순까지 우화하는데, 성충의 성비는 암컷이 42.82%이고, 체색형의 비는 갈색형이 89.93%였다.

  • PDF

Effects of Thermotherapy on Th1/Th2 Cells in Esophage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 Hong, Mei;Jiang, Zao;Zhou, Ying-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359-2362
    • /
    • 2014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uble radiofrequency hyperthermia on Th1/Th2 cells in esophage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22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were divided into a radiotherapy group (10 cases) and a combined group (double radiofrequency hyperthermia combined with radiotherapy group, 12 cases). Both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radiotherapy using a cobalt-60 therapy apparatus (TD60-66Gy/30-33F). Patients in the combined group also underwent double radiofrequency hyperthermia (2F/W, 8-10F).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1, Th2, Tc1 and Tc2 cells in peripheral blood were determined with flow cytometry. Results: In the radiotherapy group, Th1 cell contents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were $17.5{\pm}5.26%$ and $9.69{\pm}4.86%$, respectively,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Th1/Th2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8.2{\pm}14.3$ to $16.5{\pm}10.4 $(p<0.01). In the combined group, Th1 cell content before radiotherapy was $15.9{\pm}8.18%$, and it increased to $18.6{\pm}8.84$ after radiotherapy (p>0.05), the Th1/Th2 ratio decreasing from $38.4{\pm}36.3$ to $28.1{\pm}24.0$ (p>0.05). Changes in Th2, Tc1 and Tc2 cell level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rapy (p>0.05). Conclusions: Double radiofrequency hyperthermia can promote the conversion from Th2 to Th1 cells, and regulate the balance of Th1/Th2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