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 polymer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5초

Biomass-based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mass-based Polymer Blend Films(2))

  • 이수;박명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polylactic acid)의 기계적 열적 물성 향상을 위해 목재에서 얻은 펄프분말을 블랜딩하여 펄프분말의 함량에 따른 PLA/펄프 복합필름의 기계적, 열적 물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 복합필름에 가교제로 TDI(toluene diisocyanate)를 첨가하여 복합필름의 물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순수한 PLA 필름의 경우 인장강도가 $565.25kg_f/cm^2$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펄프분말의 함량이 0.25 wt% 일 때의 인장강도가 $624.20kg_f/cm^2$로 약 9.1 %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신율의 경우 전 복합필름이 순수 PLA 필름에 비해 약 5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교제로 TDI를 첨가한 PLA/펄프분말의 경우도 TDI의 함량에 관계없이 0.25 wt%의 펄프분말만을 첨가한 복합필름에 비해 연신율이 낮았으며, 인장강도의 경우 500% TDI를 첨가한 경우 $640.43kg_f/cm^2$로 증가하였다. 또한, PLA/펄프 복합필름에서 TDI를 가교시킨 PLA/펄프 복합필름은 가교시키지 않은 PLA/펄프 복합필름에 비해 $300^{\circ}C$ 이하에서의 열적 안정성은 우레탄기의 형성에 의해 TDI의 함량이 높은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알루미늄 화합물 혼합촉매계의 L-lactide 용액중합 특성 연구 (Study on Solution Polymerization Behaviors by Mixed Aluminium Compound Catalysts)

  • 유지연;김다희;고영수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593-5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Al계 화합물 혼합촉매 시스템의 L-lactide 용액중합을 실시하여 단일 Al계 화합물과 Al계 혼합화합물의 용액중합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Al(O-i-Pr)_3$와 triisobutylaluminium(TIBA)를 혼합한 촉매의 경우 생성된 polylactide(PLA)의 분자량은 $Al(O-i-Pr)_3$의 조성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분자량 분포곡선은 혼합촉매 시스템의 경우 고분자량 부분에서 shoulder가 형성되었으며 TIBA가 80%인 경우에는 거의 bimodal 형태의 곡선을 가졌다. Trimethylaluminium(TMA)와 TIBA를 혼합한 촉매를 이용한 결과 TMA의 조성비가 증가할수록 전환율은 감소하였다. Trioctylaluminium(TOA)와 TIBA를 혼합한 촉매를 이용하여 생성된 PLA의 전환율은 TOA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분자량 분포곡선은 TOA 조성비가 40%부터 크게 줄기 시작하여 unimodal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다양한 조합의 Al계 혼합촉매 시스템을 통해 GPC 곡선에서 PLA의 고분자량 shoulder을 형성할 수 있다.

In situ Gel Forming Stereocomplex Composed of Four-Arm PEG-PDLA and PEG-PLLA Block Copolymers

  • Jun, Yeo-Jin;Park, Kyung-Min;Joung, Yoon-Ki;Park, Ki-Dong;Lee, Seung-Ji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8호
    • /
    • pp.704-710
    • /
    • 2008
  • Injectable hydrogels are quite promising materials due to their potential to minimize invasive implantation and this provides versatile fitness irrespective of the damaged regions and facilitates the incorporation of bioactive agents or cells. In situ gel formation through stereocomplex formation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injectable hydrogels. In this paper, a new series of enantiomeric, four-arm, PEG-PLA block copolymers and their stereocomplexed hydrogels were prepared by bulk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D-lactide and L-lactide, respectively, with stannous octoate as a catalyst. The prepar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ourier-transform infrared (FT IR) spectroscop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thermal gravitational analysis (TGA), confirming the tailored structure and chain lengths. The swelling and degradation behavior of the hydrogels formed from a selected copolymer series were observ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degradation r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polymer content in the solution. The rheological behavior indicated that the prepared hydrogel underwent in situ gelation and had favorable mechanical strength. In addition, its feasibility as an injectable scaffold was evaluated using a media dependence test for cell culture. A Tris solution was more favorable for in situ gel formation than PBS and DMEM solutions we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in situ formation of hydrogel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stereocomplex with enantiomeric, 4-arm, PEG-PLA copolymers. Overall, enantiomeric, 4-arm, PEG-PLA copolymers are a new species of stereocomplexed hydrogels that are suitable for further research into injectable hydrogels.

UV조사에 의한 Poly(lactic acid)-g-Acrylic Acid 이온교환체의 합성 및 흡착특성 (Synthesis of Poly(lactic acid)-g-Acrylic Acid Ion Exchanger by UV Radiation Method and Metal Adsorption Properties)

  • 최은미;손복기;이창수;황택성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52-57
    • /
    • 2009
  • 본 연구는 UV 조사법으로 poly(lactic acid)-g-acrylic acid(PLA-g-AAc) 이온교환체를 합성하고 이들의 금속흡착 특성을 ICP-AE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PLA-g-AAC의 UV 조사량과 AAc의 농도변화에 따른 함수율, 그래프트율 및 이온교환용량을 측정하였다. 그래프트율은 AAc 및 benzophenone(BP) 농도가 각각 1.0, 0.1 mol/L일때 최대 28%이었으며,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은 각각 1.13 meq/g와 38%로 UV 조사량 및 AAc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한편, PLA-g-AAc의 흡착시간에 따른 $Cu^{2+}$, $Co^{2+}$, $Ni^{2+}$에 대한 선택 흡착성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Cu^{2+}$가 가장 우수한 선택흡착성을 나타내었다.

PEDOT:PSS로 코팅된 PLA 나노섬유 웹의 전기전도성 텍스타일 제조 (Fabrication of Electroconductive Textiles Based PLA Nanofiber Web Coated with PEDOT:PSS)

  • 신성은;차수진;조길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3-239
    • /
    • 2020
  • We proposed a simple process of fabricating electroconductive textiles by coating conductive polymer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on biocompatible PLA (Poly Lactic Acid) nanofiber web for application to smart healthcare. Electroconductive textiles were obtained by a drop-coating process using different amounts of PEDOT:PSS solutions., DMSO (dimethyl sulfoxide) was then used as an additive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to improve conductivity.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specimens was observed by FE-SEM.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specimens were characterized using FTIR. The electrical properties (linear and sheet resistance) of the specimens were measured. The effect of the bending angles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was also investigated to confirm their applicability as wearable smart textiles. FE-SEM and FTI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eposition of PEDOT:PSS on the PLA nanofiber web surface was successful. The conductivity of the PEDOT:PSS/PLA nanofiber web was enhanced up to 1.5 ml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PEDOT:PSS solution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2.0 ml. The optimum condition of PEDOT:PSS deposition was established to 1.5 ml. Even when the specimen coated with 1.5 ml was bent every 30°, the change in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was still low within 3.7 Ω. It confirmed that stable electrical performance was maintained and proved the applicability as a flexible textile sensor.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구를 이용한 indomethacin의 방출제어 (Controlled Rrelease of Indomethacin us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s)

  • 임승;이기영;이무성;최창남;김영대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505-510
    • /
    • 2001
  • 생분해성 합성고분자인 PLA와 천연고분자 물질 tamarind gum과 levan을 불용화시킨 다당 아세타이트를 solvent evaporation 방법을 통해 약물(indomethacin)이 포함된 미세구를 제조하였다. PLA 미세구의 경우, 약물의 방출속도는 함유된 약물의 양에 따라 달라졌으며 담체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약물의 방출이 지연되었다. 다당 아세테이트를 이용해서 제조한 미세구의 경우에도 방출지연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볼 때 본 실험에서 사용한 생체분해성 고분자 미세구들이 방출지연담체로 사용될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sposable golf tees using biodegradable polymer through 3D printing

  • Jihyuk Jung;Kwang Sun Huh;Jungho Jae;Kwang Se Lee
    • 청정기술
    • /
    • 제29권3호
    • /
    • pp.172-177
    • /
    • 2023
  •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ndiscriminate use of plastic due to the environment problems it has caused all over the world. This problem can be mitigated by using eco-friendly/biodegradable plastics that can be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or enzymes. This study focused on addressing the plastic golf tees that are thrown away at golf courses. In order to replace conventional golf tees (ABS) with a more eco-friendly alternative, this study explored a biodegradable plastic and 3D printing method for producing golf tees. Among the biodegradable plastics, PLA (polylactic acid) was found to be a good candidate as an eco-friendly material because it is biodegradable by microorganisms. Thus, golf tees were prepared by using PLA via 3D printing, 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es were evaluated. The amorphous region of PLA was confirmed through XRD. Also, FT-IR showed the unique peak of PLA without impurities. It was confirmed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that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roughness had increased. This structure plays a role in firmly fixing the golf tee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groun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ressive load compared to ABS golf tees while also decreasing the compressive stretching.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와 폴리유산과의 블렌드에 대한 기계적 물성 및 모폴로지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oly(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nd Poly(lactic acid) Blends)

  • 이윤균;김지문;김우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38-4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oly(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와 poly(lactic acid)(PLA)를 블렌드할 경우 상용화제의 효과에 의한 기계적 물성과 모폴로지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상용화제로는 poly(styrene-acrylonitrile)-g-maleic anhydride) (SAN-g-MAH), poly(ethylene-co-octene) rubber-maleic anhydride(EOR-MAH)와 poly(ethylene-co-glycidyl methacrylate) (EGMA)를 사용하였다. ABS/PLA 블렌드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를 포함한 기계적 강도 측정 결과 SAN-g-MAH, EOR-MAH 그리고 EGMA 상용화제 모두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중에서 SAN-g-MAH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3 phr 함량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SEM 모폴로지의 경우 세 종류의 상용화제 모두 ABS/PLA 블렌드에서 PLA의 droplet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약하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과 모폴로지 측정 결과 ABS/PLA블렌드에서 세 종류의 상용화제중 SAN-g-MAH (3 phr)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상용화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수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극성 공용매로 변형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L-PLA 미세입자 제조 (Preparation of L-PLA Microparticles using Pure and Cosolvent-modifi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재훈;이상윤;김병용;유종훈;임교빈
    • KSBB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385-392
    • /
    • 2003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효율적인 DDS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상용성이 있으면서 고분자에 대해서는 비용매로 작용하는 극성 공용매로 변형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생체분해성 고분자인 L-PLA의 미세입자 형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L-PLA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 크기는 증가하였으며, 약 4%이상의 농도에서는 입자들 간의 강한 응집으로 인하여 입자의 형태가 구형에서 섬유상으로 변화하였다. 침전기 내 초임계 유체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성된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입자의 분포는 불균일하게 나타났다. 용액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구형 입자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입자의 평균 크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경우 모든 실험 조건에서 입자 회수율은 약 30∼40% 정도로 나타났다. 입자 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극성 공용매를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혼합하여 입자를 제조하였다. 메탄올과 에탄올을 이산화탄소 대비 몰비 0.5로 혼합한 경우 회수율은 각각 80%와 70%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평균 직경 1 $\mu\textrm{m}$이하의 매우 작은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디메틸에테르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고분자량 폴리락티드 스테레오 콤플렉스의 제조 (A Faster Approach to Stereocomplex Form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lactide Using Supercritical Dimethyl Ether)

  • 굴나즈비비;정영미;임종주;김수현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453-460
    • /
    • 2015
  • 초임계 유체 기술을 이용한 폴리락티드 스테레오 콤플렉스 제조는 폴리락티드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좋은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임계 유체인 디메틸에테르를 이용하여 고분자량 폴리락티드를 높은 수율로 100% 스테레오 콤플렉스화를 시켰다. 폴리락티드에 대한 디메틸에테르의 높은 용해성은 이 공정의 핵심요소로 250 bar, $70^{\circ}C$, 1.5시간에 반응이 종료되었다. 폴리락티드의 스테레오 콤플렉스 연구는 압력, 온도, 시간, 농도 및 분자량을 변화시키며 진행하였다. 스테레오 콤플렉스화는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 때 높아졌다. 분자량 20만 이상인 PLLA와 PDLA는 6%의 디메틸에테르에서 100% 스테레오 콤플렉스화가 이루어졌다. 스테레오 콤플렉스화 정도는 DSC 및 XRD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DSC 및 TGA 분석을 통해 융점이 $50^{\circ}C$ 이상 높아진 폴리락티드가 얻어졌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