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W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Phospholipid polymer can reduce cytotoxicity of poly (lactic acid) nanoparticles in a high-content screening assay

  • Kim, Hyung Il;Ishihara, Kazuhiko
    •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Bioengineering
    • /
    • 제1권2호
    • /
    • pp.95-10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poly (lactic acid) (PLA) nanoparticles. We used a water-soluble, amphiphilic phospholipid polymer, poly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co-n-butyl methacrylate) (PMB30W), as a stabilizer for the PLA nanoparticles. The PLA nanoparticles and PMB30W-modified PLA (PLA/PMB30W)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evaporating tetrahydrofuran (THF) from its aqueous solution. Precipitation of the polymers from the aqueous solution produced PLA and PLA/PMB30W nanoparticles with a size distribution of $0.4-0.5{\mu}m$. The partial coverage of PMB30W on the surface of the PLA/PMB30W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dynamic light-scattering (DLS). A high-content automated screening assay (240 random fields per group) revealed that the PLA nanoparticles induced apoptosis in a mouse macrophage-like cell line (apoptotic population: 73.9% in 0.8 mg PLA/mL), while the PLA/PMB30W nanoparticles remained relatively non-hazardous in vitro (apoptotic population: 13.8% in 0.8 mg PLA/mL). The reduction of the apoptotic population was attributed to the phosphorylcholine groups in the PMB30W bound to the surface of the nanoparticle. In conclusion, precipitation of PLA in THF aqueous solution enabled the preparation of PLA nanoparticles with similar shapes and size distribution but different surface characteristics. PMB30W was an effective stabilizer and surface modifier, which reduced the cytotoxicity of PLA nanoparticles by enabling their avoidance of the mononuclear phagocyte system.

7.5 W CMP-PLA 방열판을 적용한 LED 등기구 특성 (Characteristics of LED Lighting Device Using Heat Sinks of 7.5 W CMP-PLA)

  • 김영곤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920-923
    • /
    • 2013
  •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a carbon nanotube composite heat sink proposed to replace the advanced Al heat sinks for LED lighting devices were studied. Proposed CMP-PLA heat sink was made by mixing 20~70 wt% carbon nanotube, 20~70 wt% bio-degradable polymer of melt-blended PLA (poly lactic acid) and PBS (poly butylene succinate) and PLA nucleating agents composed of the mixture of soybean oil and biotites, at $150{\sim}220^{\circ}C$ with 1,000~1,500 rpm. Optical and electric characteristics of 7.5 W LED lighting devices using heat sinks with such prepared CMP-PLA were investigated. And, the properties of the heat, which was not released from the CMP-PLA type heat sinks, was also investigated. The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ing devices using the CMP-PLA heat sinks was 5,956 K, which is x= 0.32 and y= 0.34 in the XY chromaticity, and the color rendering index was 75. The luminous flux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LED lighting devices using the CMP-PLA heat sinks was 540.6 lm and 72.68 lm/W respectively. Measured initial temperature of the heat sinks was $27^{\circ}C$, and their temperature increased as time to be saturated at $52^{\circ}C$ after an hour.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Polylactide for Paper Coating Application - $Poly(_{L} -lactide)\;and\;Poly(_{D}-lactide)$ Blend -

  • Lim Hyun A;Kang Jin Ha
    • 펄프종이기술
    • /
    • 제36권5호
    • /
    • pp.53-61
    • /
    • 2004
  • [ $Poly(_{D}-ldactide)\;(_{D}-PLA)$ ] was synthesized to have low molecular weight for miscible blends with a high molecular $poly(_{L}-lactide)\;(_{L} -PLA)$. The blends were prepared by dissolving the two components of $_{L}-PLA\;and\;_{D}-PLA\;(w/w)$ in chloroform (l00/0, 90/10, 70/30, 50/50, 30/70, 0/100). The miscibility of these miscible blends was characterized by gel-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the selective degradability by enzymes (proteinase K, subtilisin and $\alpha$-chymotrypsin). The coating efficiency of PLA blends onto paper was determined and the degrading activity cellulases by on these blends. The miscibility, coating efficiency and enzymatic degradability of these blend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_{D}-PLA$ blending part. Such results were attributed to the extent of coating application of PLA, with better miscibility (compatibility), coating efficiency and degradability due to a higher $_{L}-PLA$ content.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한 Silk/PLA 바이오복합재료의 계면접착 (Interfacial Adhesion of Silk/PLA Biocomposites by Plasma Surface Treatment)

  • 추보영;권미연;이승구;조동환;박원호;한성옥
    • 접착 및 계면
    • /
    • 제5권4호
    • /
    • pp.9-16
    • /
    • 2004
  • 견섬유와 폴리라틱산(PLA) 사이의 계면접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천연섬유 표면을 아르곤과 에틸렌 플라즈마로 각각 처리하였다. 플라즈마 표면처리 후, 견섬유의 표면 모폴로지와 접착이 크게 변화하였다. 다음의 여러 플라즈마 처리조건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10, 25, 50 그리고 150 W의 전력, 1, 3, 5, 7 그리고 10분의 처리시간 및 10과 50 sccm의 가스흐름속도, 플라즈마 처리된 Silk/PLA 바이오복합재료의 계면전단강도는 단섬유 micro-droplet debonding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Silk/PLA 바이오복합재료의 계면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플라즈마 처리 조건을 제공하여 주었다.

  • PDF

고에너지 전자선 치료 시 텅스텐 함유 3D 프린팅 물질의 차폐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hielding Performance of Tungsten Containing 3D Printing Materials for High-energy Electron Radiation Therapy)

  • 조용인;김정훈;배상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41-64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차폐체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고에너지 전자선 치료 시 차폐체로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고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3D 프린팅 재료의 차폐성능 평가를 위해 실측과 몬테카를로 기반의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모의실험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 IAEA의 TRS-398 권고를 참조하여 선원항 평가를 수행하였다. 두 번째, PLA+W (93%) 재료에 대한 차폐 성능 분석을 위해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고, 전자선 에너지에 따른 두께별 차폐율을 평가하였다. 세 번째, PLA+W (93%)와 기존 차폐체 간 차폐 성능 비교 분석을 통해 전자선 치료 시 필요한 차폐 두께를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실측과 모의실험을 통한 선원항 평가 결과, 1% 이내의 오차로 TRS-398 권고를 만족하여 모의실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두 번째, PLA+W (93%)에 대한 차폐 성능 분석 결과, 6 MeV 전자선은 3.12 mm에서 95% 이상의 차폐율을 나타냈고, 15 MeV 전자선은 10 mm 두께에서 90% 이상의 차폐율을 나타내었다. 세 번째, 모의실험을 통해 PLA+W (93%) 재료와 기존 차폐체 간 비교 분석을 통해 동일 두께 내에서 텅스텐, 납, 구리, PLA+W (93%), 알루미늄 순서로 차폐율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6 MeV 전자선은 5 mm 이상, 15 MeV 전자선은 10 mm 이상 두께에서 거의 유사한 차폐율을 나타내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고에너지 전자선 치료 시 PLA+W (93%) 재료를 이용한 환자의 맞춤형 차폐체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PLA(polylactic acid) 필름의 표면특성 변화 (Surface Characteristics of PLA(Polylactic acid) Film Treated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 정진석;류욱연;최호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59-6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polylactic acid(PLA) 필름의 표면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극성 용매인 물과 비극성 용매인 Diiodomethane을 사용하여 표면의 접촉각을 측정하고, 이 값을 이용해 표면자유에너지 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대기압 플라즈마의 처리 조건에 따른 PLA 필름의 접촉각과 표면자유에너지 값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시간 30 sec, RF-power 70 W, Ar 가스 유량은 6 lpm, 공기 중의 노출 시간은 5 min이었을 때가 가장 낮은 물 접촉각을 나타내었고, 표면자유에너지는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XPS 분석을 통해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전 후 PLA 필름의 화학적 관능기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PLA 표면에 -C=O, -CO, -COO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발수 에멀션의 제조 (I) - PLA 및 PBS 에멀션의 제조 - (Preparation of Emulsion from Biodegradable Polymer (I) - Preparation of PLA and PBS Emulsions -)

  • 이민형;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6호
    • /
    • pp.28-35
    • /
    • 2012
  • Water-in-oil emulsion (W/O) and oil-in-water emulsion (O/W) types biodegradable polymer emulsions prepared to PLA and PBS. The optimal mixing ratio of polymer : solvent : OA : TEA : water was found be 10 : 40 : 4 : 6 : 30(g) when preparing emulsions. Biodegradability was most retained after preparation of polymer emulsions. Particle size of PLA and PBS emulsions were 2-3 ${\mu}m$ and 3-4 ${\mu}m$, respectively. Molecular weight of PLA and PBS emulsions were 108,000 and 92,000, respectively. And molecular weight of PLA and PBS emulsions becam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pellets.

3D 프린팅용 금속 입자 필라멘트의 물성 및 차폐 능력 평가 (Evaluation of Metal Composite Filaments for 3D Printing)

  • 박기석;최우전;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97-704
    • /
    • 2021
  • 3D 프린팅 FDM방식의 재료인 필라멘트 중 차폐성능을 지닌 필라멘트는 국내에 판매되지 않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금속 입자가 함유된 필라멘트의 물성과 방사선의 차폐능력을 평가하여 3D 프린트를 이용한 방사선 차폐체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금속입자 강화재가 함유된 금속 필라멘트 5가지를 선정 후 ASTM의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인장강도, 밀도, XRD, 무게측정 등 물성을 평가하고 방사선 차폐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산업표준의 방호용구류 시험방법에 따라서 방사선 차폐율을 구하였다. 인장강도는 PLA + SS가 가장 높았고 ABS + W가 가장 낮았으며 밀도는 ABS + W 가 3.13 g/cm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XRD결과 시편의 표면의 입자의 XRD peak 패턴이 각 입자 강화재 분말 금속의 패턴과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어 프린트된 시편이 분말금속이 함유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D 프린트 복합 필라멘트별 차폐효과는 ABS + W, ABS + Bi, PLA + SS, PLA + Cu, PLA + Al의 순서로 실효원자번호와 밀도에 비례하여 차폐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재로 금속 분말이 함유된 금속입자 복합 필라멘트는 방사선의 차폐능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방사선 차폐용 필라멘트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