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Comparison of NAEP, PISA, and TIMSS-R

  • Kim, Young-Ok;Wakhungu, Henry Kerre;Ku, In-Suk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79-297
    • /
    • 2009
  • This paper discusses the key differences and common themes among three major assessments of pre-college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Repeat (TIMSS-R),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NAEP).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심층 분석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 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387-401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에 이루어진 대표적인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인 PISA와 TIMSS-R의 성취도를 표준화하여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를 비롯한 영어권 국가들이 각각 유사한 성취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다 체계화하기 위해 PISA의 결과를 문항반응이론에 의해 분석하여 국가별, 문항별 난이도를 조사하였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하여 각 국가의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어렵고 쉬운 문항을 판별한 결과, 30개 중 16개의 문항에서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동일한 성취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취 경향의 유사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과 호주가 각각 강세를 보인 문항들을 추출하여 그 공통점을 탐색하였다. 미국과 호주의 학생들은 열린 구성반응형 문항을 해결하는데 상대적으로 능숙하고, 한국과 일본의 학생들은 함수와 통계 영역의 문항에서 성취 수준이 높지 않으며, 형식화된 수학적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일수록 한국과 일본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에 나타난 수학적 소양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al Literacy from the PISA)

  • 박경미;최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319-328
    • /
    • 2002
  • The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supervised by OECD, aims at producing reliable and internationally comparable indicators of students' literacy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In mathematical literacy, Korean students ranked the 2nd out of the 32 participating countries in PISA. This result is very encouraging in the sense that the scores in the mathematical literacy are a forecasting indicator for the mathematical level of future citizens who are supposed to lead their countries in every field. However, Korean students showed the largest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al literacy, indicating that male student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female counterparts. With the consideration that mathematics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overall achievement level and influences on the long-term career opportunitie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al literacy, and make an effort to reduce it to enhance the overall intelligence level of Korean human resources.

  • PDF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평가(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적 소양 수준 분석 (A Mathematical Literacy Profile of Korean Students in PISA)

  • 박경미;최승현;노국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91-311
    • /
    • 2002
  • The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supervised by OECD, is aimed at producing reliable and internationally comparab1e indicators of students' literacy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In mathematical literacy, Korean students ranked the 2nd out of the 32 participating countries in PISA. This result is very encouraging in the sense that the scores in the mathematical literacy is the forecasting indicator for the mathematical level of future citizens who are supposed to lead their countries in every fields. In contrast to the high performance in mathematics, Korean students possess extremely low level of interest in mathematics. On the other hand, Korea's highest top 5% students are not on a par with the best students in New Zealand, Japan, Swiss, Australia, and England. This finding urges Korean education to put serious efforts to pursue academic excellence. Overall, PISA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effective and efficient. Korean education system should set goals to meet the world standard and the challenges of the lifelong teaming society.

  • PDF

과학문화의 증진과 과학적 소양의 평가: PISA의 평가사례를 중심으로 (On Enhancing Science Culture and Evaluating Scientific Literacy: Focusing on PISA's Projects)

  • 임병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51-68
    • /
    • 2001
  • 사회적 차원에서의 '과학문화'는 심리적 차원에서의 '과학교양, 과학적 소양'의 개념과 반드시 상관성을 지닌다. 성숙된 과학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과학문화의 평가가능성'에 대한 신념과 더불어 '평가기준의 모색'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전제에 바탕을 두고, OECD 주관 하에 시행중인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가 채택한 '과학적 소양'의 개념이 어떠한 과학철학적-인지과학적 배경 위에 서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실제로 활용된 예제 문항들을 검토해보고, 결론적으로 PISA의 '과학적 소양' 개념은 <논리경험주의, 자연주의 과학철학, 사회적 구성주의>의 세 가지 입장이 함께 상보적으로 반영되었음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최근의 과학철학적-인지과학적 연구에 입각해, 과학문화의 증진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과학적 소양 개념이 필요하며, 장차 그러한 과학적 소양 개념에 반영되어야 할 점 몇 가지를 제안한다.

  • PDF

PISA 2주기 검사에서 한국 학생들의 문제해결 영역 성취도 분석 (Korean Students' Performance in Problem Solving Literacy in PISA 2003)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647-655
    • /
    • 2004
  • PISA의 두 번째 주기에 해당되는 PISA 2003에서는 문제해결 영역에 대한 평가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PISA 2003 본검사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1) 의사결정, (2) 체제 분석 및 설계, (3) 문제점 해결 등의 세 가지 문제해결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범교과적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ISA 2003 본검사에 포함된 문제해결 영역문항들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을 살펴보고, 문제해결 문항들 중 개방형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답안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림이나 그래프로 표상하는 과제에 취약하며, 긴 문장으로 제시된 지문 해석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에게는 다소 낯선 맥락이나 소재를 활용한 과제의 경우 낮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PISA 2003 문제해결 영역을 분석한 결과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하였다.